d라이브러리
"방법"(으)로 총 12,96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장의 연구가 발표되자 수학계는 흥분했다. 폴리매스 프로젝트도 곧바로 이탕 장의 연구 방법을 활용해서 n을 더 작은 값으로 끌어내리기 위한 연구에 돌입했다. 여러 명의 지식이 더해지자 연구에 가속도가 붙었다. 이탕 장의 논문이 발표되고 세 달만에 n이 7000만에서 4680까지 줄어드는 놀라운 ... ...
- [소프트웨어] 눈에 보이는 게 다가 아니지~ 착시 퍼즐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또 어떤 착시 도형이 쓰였는지 알아보는 것도 모뉴먼트 밸리를 재미있게 즐기는 한 방법이에요. 기하학의 묘미 즐기다 보면 나도 착시 전문가!착시 현상을 이용한 게임의 원조는 플레이 스테이션 게임인 ‘무한회랑’이에요. 이 게임 역시 에스허르의 작품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만들었어요. ... ...
- [수학동아클리닉] 한 눈에 알아보는 비율그래프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배를 해서 중심각을 구하면 됩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자료를 효과적으로 나타내는 방법에는 띠그래프와 원그래프가 있으며, 자료의 특성에 따라 띠그래프와 원그래프 중에서 잘 골라 활용하는 게 중요합니다 ...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지원사업 일부가 성격상 그랜트에 속한다.반면 콘트랙트는 ‘국가가 연구 주제와 목표, 방법 등을 기획한 뒤 이를 수행할 연구자들을 모집해 지원하는 방식’으로, 한국에서는 이와 취재팀의 논문 분석 결과 흥미로웠던 사례는 외부 연구비 없이 연구한 경우다. 초고해상도 현미경을 개발한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어느 날은 아침부터 식당에서 커피를 마시면서 이야기를 하기 시작했어요. 새로운 방법이 없을지 함께 고민한 거죠. 그렇게 하루 종일 식당에 있었어요. 쉬지도 않고요. 그 아이디어를 가지고 다음날 각자 그룹 리더에게 가서 둘이 함께 연구해 보겠다고 했습니다. 연구 방향을 완전히 바꾼 거였죠. ... ...
- PART 1. 수학자는 공동연구를 좋아해~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될 수 없다.장승욱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연구원은 “혼자만 아는 것은 가장 안 좋은 공부 방법”이라며, “수학자가 꿈이라면 수다쟁이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아무도 풀지 못한 문제를 풀려면 서로의 지식을 최대한 활용해야 하는데, 지식을 나누는 데 익숙지 않으면 힘들다는 것이다 ... ...
- PART 3. 수학으로 중력파를 찾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변환’이라는 수학 이론을 이용해 중력파와 잡음을 분류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이 방법으로 잡음을 더 효과적으로 제거해 데이터의 질을 올릴 수 있다. 기계학습을 활용해 잡음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소프트웨어도 만들고 있다.실험의 한계 넘을 수학 이론이 필요그러나 중력파 ... ...
- [수학동아클리닉] 깎은 정이십면체 축구공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오늘은 체육 시간에 축구 경기를 하는 날이다. 드디어 내 발 앞에 공이 왔고, 야심 차게 골대를 향해 슛!~을 날렸지만…. 안타깝게도 축구공은 골대 위를 훌쩍 넘어가 버린다 ... 준정다면체의 모습을 모두 발견할 수 있다. 지금부터 간단하게 종이를 이용해 축구공 만드는 방법을 배워보자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흔들리는 현상(미소 지진)을 포착하는 것이다. 미소 지진을 관측해서 강진을 예측하는 방법은 지금까지 딱 한 번 성공했다. 1975년 중국 다롄 인근 도시 하이청에서 미소 지진이 포착돼 100만 명의 주민이 대피한 결과 규모 7.5의 강진을 피할 수 있었다. 그러나 김 교수는 “미소 지진을 포착하는 것은 ...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가능한 일이다. 치아검색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사용한 5만8000명의 자료, 흉부 엑스선 방법에 사용한 수만 장의 엑스선 필름들, 그리고 시체농장에 들어오는 수많은 기증자들이 바로 데이터다.한국엔 한 해 평균 120건 이상 백골 시체가 발견된 다. 이들이 모두 유가족에게 성공적으로 돌아가려면 ... ...
이전3783793803813823833843853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