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미세 플라스틱 독성 물질을 끌어당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같은 가소제랍니다.가소제 중에서도 프탈레이트는 대표적인 발암물질이에요.
우리
몸에서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관인 내분비계에 나쁜 영향을 미쳐요.이렇게 독성이 강해진 미세 플라스틱은 동물의 위 속에 들어간 뒤 머금었던 독성 물질을 내뿜어요. 그 결과 나쁜 성분들이 몸으로 흡수되어 건강을 ... ...
[가상인터뷰] 산소가 없어도 18분간 사는 벌거숭이두더지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전달하는 물질이 없어서 통증을 느끼지 못해요.어때요?
우리
정말 특별한 동물이죠?
우리
를 연구하면 질병을 예방하고 오래 사는 비밀을 밝혀낼 수 있을 거예요! 그럼 저는 이만 박사님들을 도와 주러 갈게요. 안녕 ... ...
Part 2. “털! 이번 生엔 널 없애기로 했어”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뿌리를 박고 있기 때문에 피부 구조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피부 표면을 뚫고 나와
우리
가 흔히 털이라 부르는 부위의 생물학적 명칭은 ‘모간(毛幹)’이다. 모간은 상피세포에 발달한 모낭에서 만들어진다. 모낭은 태아 때 발달이 덜 된 망울 형태로 존재한다. 태어날 때 이 망울은 머리에 약 10만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배아줄기세포는
우리
몸의 어떤 세포로든 분화할 수 있는 발달 잠재력을 갖고 있습니다. 성체에 있는 줄기세포들보다 발달 잠재력이 높은 셈인데요. 하지만 배아줄기세포를 사용하는 데에는 항상 생명윤리 문제가 따라다닙니다. 발달을 시작한 지 5~7일 된 배아에서 세포를 꺼내 실험실에서 ... ...
[Culture] ‘가짜 나’를 버리고 ‘진짜 나’를 찾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이마누엘 칸트는 “
우리
가 알고 있는 세계는 있는 그대로 존재하는 실상(實相)이 아니다.
우리
주관으로 만들어진 세계다”라고 설명했다. 인간은 외부의 사물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자신의 경험과 이성에 따라 인식한다는 뜻이다. 독일의 염세주의 철학자 아르투어 쇼펜하우어는 인간의 ... ...
[Interview] ‘빅 히스토리’ 창시자 데이비드 크리스천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통해
우리
종, 바로 인류가 하는 이상한 일들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 그는 “
우리
는 이야기의 아주 끝에 등장하지만, 지구를 바꿀 정도의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므로 이제 이 행성을 잘 관리하는 법을 배워야만 한다”며 “다양한 전문 지식들 사이의 연결을 보지 못하면 행성을 관리하는 ... ...
Part 6. 무한은 칸토어가 만든 낙원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알 수 없다. 그러나 인류의 호기심과 도전은 끝이 없다. 힐베르트가 말한 것처럼 아무도
우리
를 칸토어가 만들어낸 낙원에서 쫓아낼 수 없을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웰컴 투 무한호텔Part 1. 웰컴 투 무한의 세계Part 2. 빈 방 없는 호텔에서 묵을 수 있을까?Part 3. 실수 손님도 ... ...
나도 모르게 왕따 가해자?! 왕따가 생기는 이유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보면 단지 생김새가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아기 오리들은 아기 백조를 괴롭힙니다.
우리
주위에서도 이런 일을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외모가 조금 특이하거나 취향이 다르다고 해서, 마음에 들지 않은 행동을 했다고 해서 무리에서 따돌리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악의를 가지고 따돌리는 하는 ... ...
Part 3. 최첨단 시금치, 전자 기술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효율이 낮아서 아직 상용화는 어렵다”며, “진짜 식물보다 광합성 효율이 좋으면서도
우리
가 원하는 물질을 얻을 수 있는 인공 광합성 기술을 만드는 게 최종 목표”라고 말했어요. 폭탄을 찾는 용감한 시금치?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마이클 스트라노 교수팀이 시금치를 이용해 땅 속에 묻힌 ... ...
[Origin] 쇼미더맛 제6의 맛 쟁탈전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끌리면서도 쓰다고 불쾌해하는 이유에 대해 “칼슘은 세포 간 신호 전달이나 뼈 성장 등
우리
몸에서 꼭 필요한 성분이지만 지나치면 오히려 신장 결석이나 심장질환 등 부작용을 일으킨다”며 “미량만 섭취해도 충분하기 때문에 단맛을 내는 포도당이나 짠맛을 내는 나트륨에 비해 역치가 ... ...
이전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