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생체 이식 칩의 진화, 내 안에 ‘칩’ 있다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시대가 올 것은 분명하다. 영화에서 보던 사이보그가
우리
곁으로 점점 다가오는 셈이다.
우리
에게도 곧 선택의 순간이 올 것이다. 어떤가, 당신도 이식하겠는가 ... ...
[Future] 내가 진정한 파란 꽃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원예학과 교수는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에 “(이번에 개발된 파란 국화는)
우리
가 얻을 수 있는 가장 훌륭한 파란색”이라고 평가했다. 표피세포 모양 따라서도 꽃 색 달라져과학자들이 인위적으로 푸른색을 만들어내기까지 무려 20여 년이 걸렸다. 그 이유는 꽃잎의 색을 결정하는 변수가 너무 ... ...
[Culture] 센서티브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시작한 걸까. 오늘은 저녁에 네 방을 치웠어. 평소보다 깨끗하게 치웠어. 아마 다시는
우리
집으로 돌아오지 못할 테니까. 폭탄은 구하기 어렵지 않더라. 폭탄을 파는 사람들은 센서 같은 건 거의 없는 곳에서 만나려고 하더라구. 상당히 많은 양을 사기는 했어. 돈이 모자라지는 않았어. 평생 운전만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목표는 마고!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본 시험도 아니었는데요, 뭐.”“그게 중요해? 결과가 좋다면 그걸로 된 거지. 덕분에
우리
모두의 운명이 바뀔 거다.”“모, 모르겠어요. 좋게 바뀌는 건가요? 누구에게나 좋기만 한 게 있나요?”화학선생님은 잠시 고개를 갸웃거리더니 말했다.“수업시간엔 잠만 자더니 이럴 때는 용케 말대꾸를 ... ...
[공룡은 왜?] 뿔만 봐도 다 알아! 코스모케라톱스의 화려한 뿔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육중한 몸집과 거대한 다리를 자랑하는 용각류 등이 있어요. 그 중에서도 외모만으로
우리
의 큰 관심을 끄는 공룡은 뿔공룡이지요. 화려하면서도 독특하게 생긴 뿔공룡의 이야기를 들어 보세요.뿔이 아래로 난 코스모케라톱스흔히 ‘뿔공룡’으로 불리는 케라톱스류 공룡은 코뿔소 같은 뿔과 머리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우리
몸을 입체모형으로 배워 보자! ‘사이언스크래프트’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재밌게 배울 수 있었다”고 말했어요. 친구들도 사이언스크래프트로
우리
몸속 탐험을 떠나 보세요. 평면 속 그림을 보는 것보다 훨씬 쉽게 몸의 구조를 배울 수 있을 거예요 ... ...
Part 3. [세 번째 사연] 동물원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9호
, 향긋한 똥 냄새~! 안녕하세요. 저는 동물원 생활 5년차 사자예요. 몇 해 전에 비하면
우리
고민이 조금씩 줄어들고 있긴 해요. 사람들이 최근엔 동물들이 행복한 동물원을 만들자며 동물원을 조금씩 바꾸기 시작했거든요. 1단계 동물들의 행동을 다양하게 ‘행동풍부화’혹시 동물원에서 앞뒤로 ... ...
Part 3. [안내] 사람과 동물 모두를 위한 인공 음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첨단 과학기술을 이용해 인공 음식을 만들고 있는 거랍니다.#
우리
는 이렇게 인공 음식을 만들면서 모두가 행복해질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어요. 하지만 아직 실험실 레스토랑의 메뉴판은 많이 비어 있답니다. 앞으로 또 어떤 인공 음식이 나올까요? 친구들도 ... ...
[Focus News] ‘살충제 계란’ 공포, 계란 계속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친환경 인증제 개선 등 제도개선 대책도 조속히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렇다면
우리
집 계란에는 살충제가 없을까. 살충제 부적합 계란 관련 정보는 식약처 홈페이지(www.mfds.go.kr)와 식품안전정보포탈 식품안전나라(www.foodsafetykorea.go.kr)를 통해 볼 수 있다. 이를 계란에 찍힌 고유번호와 ... ...
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로봇 등 새로운 기술을 시험해볼 수 있는 테스트베드가 바로 우주라는 것이다. 그는 “
우리
나라가 선도할 수 있는 분야를 빨리 찾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항우연은 개발기간을 2년 더 늘리면서 궤도선의 임무 수명을 3개월에서 1년으로 늘리고, 탑재체 수를 4개에서 2개 더 추가해 총 ... ...
이전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