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신체의 패턴화(body patterning)’라고 부릅니다. 몸의 ‘패턴’을 결정하는 혹스 유전자
우리
몸이 어떻게 패턴화되는지에 대한 연구는 초파리에서 시작합니다. 과일 껍질을 제대로 버리지 않고 놔두면 모여드는 작은 파리들이 바로 초파리인데요. 주방에서는 골칫덩어리일지 모르지만 유전학과 ... ...
[Culture] 알골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이목을 끌 거고요. 그리고 저는 아직도 희망을 품고 있습니다. 정부의 과학자들이
우리
가 다른 사람과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법을 찾아낼지 모른다는. 저희가 여기서 사라진다면 작가님 같은 분의 연구 보고서를 앞으로 어떻게 받아보겠습니까?” “그 문제에 있어서만큼은 저나 멀린은 당신보다 ... ...
위상수학자가 도넛을 사랑하는 이유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지구 표면을 들 수 있습니다.
우리
가 사는 지구는 구에 가깝습니다. 지구 표면에 있는
우리
눈에는 주변이 평평하게 보일지라도 실제로는 둥근 모습이지요. 곡면은 2차원의 면으로 이뤄진 공간입니다. 지구 표면뿐만 아니라 모든 물체의 표면이 곡면이지요. 중요한 건 어떤 곡면이든 그 위의 한 점에 ... ...
Part 4. 거대로봇, 기하학으로 일어서다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거대로봇 결투가 축구나 야구 같은 스포츠로 자리매김할 날이 멀지 않은 것 같아요.
우리
몸 속으로 들어가 병을 치료하는 아주 작은 종이접기 로봇, 공간의 크기에 따라 변신하는 로봇, 옷처럼 두르고 다니는 로봇이 등장할 날도 멀지 않았어요. 과학과 공학 기술의 집합체인 로봇이 바꿀 세상이 ... ...
통계 법정 사건의 재구성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좋은 도구가 없거든요. 하지만 통계의 잘못된 사용을 집어내지 못한다면 피해는
우리
의 몫입니다. 앞으로 통계 공부를 열심히 해야겠지요? 저 도도한은 통계로 억울한 사람이 생기면 또 돌아옵니다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오육칠 박사의 연구실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있지?”오로라 역시 시원이의 이야기를 듣고 깜짝 놀랐답니다.“그 옆에 서 있는 사람이
우리
아빠야…! 도대체 무슨 일이지?”바로 그때, 누군가 연구실 문을 벌컥 열고 들어왔어요.“아니? 연구실에 손님이 왔구먼 ... ...
Part 1. 플라스틱 소라게가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뚜껑, 병 뚜껑, 세제 뚜껑은 물론 깨진 유리컵과 플라스틱 숟가락, 전구 소켓까지…!
우리
소라게들이 집으로 삼고 있는 다양한 해양 쓰레기 목록이야. 우린 몸을 보호하기 위해 어디든 들어가 살지. 집게 뒤에 숨겨진 연약한 배를 보호하라!소라게를 보면 집 밖으로 빼꼼 내민 두 개의 눈과 단단한 ... ...
[에디터 노트] 노벨상의 시간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노벨상은 최소 20~30년 전의 연구 성과에 주어진다는 점에서 ‘기다림의 미학’에 가깝다.
우리
에게 필요한 건 끈기와 시간이다. ‘노벨상의 시간’은 느리게 흐르기에 ... ...
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가장 바깥 쪽 표면에는 그래핀이 벗겨지지 않도록 얇은 폴리우레탄 층을 코팅한다.
우리
는 이 복합필름을 배트슈트의 기본 재료로 이용할 것이다. 배트슈트는 몸체 각 부분의 용도에 따라 다르게 제작하는 게 좋다. 가령 가슴 부위처럼 방탄 능력이 중요한 부위는 복합필름을 여러 장 겹쳐 ... ...
Part 5. 플래시 스피드포스 초소형 가속기 기술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책상 위에 올릴 수 있을 만큼 작아져 누구나 쉽게 가속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면
우리
가 아는 지식의 경계는 훨씬 더 넓어질 것이다. 가속되는 입자의 에너지를 더 높이고 발생한 입자의 빔 품질을 향상시키는 등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남아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누구나 ... ...
이전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