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드디어 두번째 천체가 발표됐다. ‘2012VP113’이라는 이름의 소천체는 2012년 처음
발견
됐다. 이 천체는 긴 궤도 반지름이 약 500AU으로, 세드나의 절반 정도다. 이들은 오르트 구름의 안쪽 경계 부근에서 태양을 아주 느리게 공전하고 있다. 이런 천체가 더 있지 않을지, 두터운 오르트 구름 속에는 훨씬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사용하는 숟가락을 살펴보면 쌀밥의 역사도 볼 수 있다. 6세기에 만들어진 무령왕릉에서
발견
된 청동 숟가락은 손잡이 부분이 볼록해 실제로 쓰기는 어려운 형태였다. 4세기에 만들어진 부산 기장의 젓가락은 길이가 무려 30cm가 넘는다. 이런 비정상적인 숟가락과 젓가락은 왕의 권세를 나타내는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쉬었답니다.“할머니, 늙지 않는 방법은 없어요?”“아직까지는 없단다. 하지만 조만간
발견
할 수 있을지도 모르지.”노화를 멈추는 방법을 찾아라!듣기로는 참 많은 과학자들이 노화를 늦추고 수명을 늘리는 방법을 찾고 있다고 하더구나. 하지만 아직까지는 주변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전염병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그리는 것까지만 성공했다. 진정한 고본 삼각형 퍼즐의 매력을 느끼고 싶다면, 아직
발견
되지 않은 새로운 삼각형을 찾는 데 도전해 보자.이번에는 정사각형을 만들어 보자. 이쑤시개를 가지고 견고한 정사각형을 만들기 위해서는 최소 몇 개가 필요할까? 여기서 견고한 정사각형이란, 평면 상에서 ... ...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컴퓨터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중첩상태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동시다발적 계산이 가능하다. 그루버가
발견
한 양자 찾기 알고리듬이 기존 방식보다 빠른 이유도 한꺼번에 여러 개를 탐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양자컴퓨터 안에서 중첩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측정 당하지 말아야 한다. 즉 결어긋남(decoherence)을 ... ...
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기존 환경과 다르기 때문에 에볼라가 증식하고 복제하기 어렵다. 코빙거 박사가
발견
한 공기전염 사례는 그럼 어떻게 된 일일까. 그는 최근 자신의 연구를 뒤집는 논문을 발표했다. 7월 25일자 사이언티픽 리포트에는 “연구자들이 동물우리를 물로 청소하다가 체액이 튀었을 것”이라는 추정이 담겨 ... ...
[hot science] 중심별에 바싹 붙은 뜨거운 목성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물질의 응집력과 조석력이 균형을 이루는 지점인 ‘로시 한계’ 근처부터는 외계행성이
발견
되지 않는다. 물론 중심별이 적색거성으로 진화하면서 부풀어 올라도 가까이 있는 행성을 삼켜버릴 수 있다. 우리 목성은 태양으로부터 충분히 멀리 있으므로 어떤 상황에서도 태양에 삼켜지지는 않을 ... ...
독도에 풍덩 천국문이 활짝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독도에서는 처음
발견
된 해양생물도 7종이나 됐다. 명 소장은 “독도 연안에서
발견
된 해양생물은 현재까지 100여 종을 넘는다”며 “‘독도가 아열대바다가 됐다’는 말도 있지만 아직 이르고 길게 관찰해야 결론을 낼 수 있다”고 말했다.생태지도는 이걸로 끝이 아니다. 해양과기원은 2017년까지 1 ... ...
식물끼리 대화? “RNA로 해요”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반대로 숙주인 애기장대와 토마토에서도 새삼의 전령RNA가 각각 0.6%, 0.38% 있다는 사실도
발견
됐다. 연구팀은 이것이 새삼과 숙주가 서로 전령RNA를 주고받는 것으로 해석했다.연구팀은 “새삼은 숙주의 전령RNA를 얻어 숙주의 방어 시스템을 확인하는 것 같다”며 “이 연구를 역으로 이용하면 ... ...
‘닭벼슬’ 달린 익룡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추정했다. 연구를 이끈 고생물학자 알렉산더 켈너 박사는 “익룡은 주로 해안가에서
발견
되는데 이번 연구로 오아시스가 있는 내륙의 일부 지역에서도 서식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며 “한 장소에 모여 살다가 사막의 폭풍이나 지독한 가뭄에 몰살당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 ...
이전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