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와 데니소바인의 ‘결혼’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등지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2012년 데니소바인의 유전체지도에서 변형 EPAS1이 처음 발견됐는데, 이는 지금까지 알려진 다른 고인류에서는 찾을 수 없는 유전자였다. 연구팀은 티베트인들도 비슷한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티베트인 87%가 EPAS1 변종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201 ... ...
- [Life & Tech] 한밤중 모기의 습격, 불임수컷으로 완전정복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영화 ‘쥐라기공원’이 아예 근거가 없진 않은 셈이다. 이후 몇 개의 조상 화석이 더 발견됐는데 모두 현재의 모기와 해부학적 차이가 거의 없었다. 오랜 시간 지구에 살아남은 모기는 시간이 지나면서 흡혈 대상을 공룡에서 포유류로 갈아탔다.26일이면 새로운 모기가 태어난다우리나라 도시 ... ...
- 장기 괴담, 모조리 씹어먹어 줄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나라도 있을 수 있을 테니까요. 옆나라 중국에서도 한 아이가 안구를 적출당한 채 발견됐다는 뉴스가 나온 적이 있었지요. 하지만 아까 말했듯이 사람을 마취시켜서 신장 하나만 쏙 빼가는 류의 장기 적출이 은밀히 일어난 다는 건 가능성이 매우 낮습니다.실제로 장기 밀매 혐의로 붙잡히는 ... ...
- ❺ 수리생물학 - 수학과 생물학 아무도 예상 못한 커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나중에는 걷잡을 수 없이 요동치며 변하는 ‘카오스’의 세계를 생태계에서도 찾아낸 첫 발견으로 유명합니다. 간단한 수학으로 풀어낸 유전의 비밀쌍꺼풀은 외꺼풀에 비해 우성이므로 두 유전자가 만나면 쌍꺼풀이 나타난다. 그렇다면 외꺼풀은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는 것일까? 답은 ... ...
- 양자컴퓨터 최강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실험까지는 여러 팀이 성공했지만, ‘그 이상’은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오로지 소수의 ‘문파’만이 끝까지 강호를 지켰는데, 의리의 세 문파가 바로 이온트랩과 초전도, 반도체 양자점이었다.“2000년대 중반이 되자 몇 가지 돌파구가 동시다발적으로 열리면서, ... ...
- Part 2. 별별 필즈상 이야기수학동아 l2014년 08호
- 그의 나이가 정확히 만 40세였기 때문이다.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그의 증명에 오류가 발견된 것이다. 청천벽력 같은 소식에 마음이 급해진 앤드루 와일스는 자신의 수제자인 리처드 테일러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그리고 두 사람은 1년 동안 매달린 끝에 오류를 수정할 수 있었다. 하지만 수정을 ... ...
- [체험] 신비로운 도형 아폴로니안 개스킷수학동아 l2014년 08호
- 그림으로 보인 것이 아니라 수학적으로 증명해 냈다.후대 수학자들은 아폴로니우스가 발견한 사실을 이용해 원을 계속해서 그려나갔다. 즉 세 개의 원을 그린 다음, 세 원에 모두 접하는 원을 반복적으로 그린 것이다. 그러자 독특한 모양의 도형이 탄생했고, 이 도형 안에는 무수히 많은 원이 ... ...
- [재미] 8회 두물머리에서 만난 사람들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있을 동안, 사무실을 둘러보던 박 형사와 소마가 알파벳이 쓰여 있는 독특한 사물함을 발견했다.“저기요, 문 반장님. 이 사물함은 뭐예요?”소마가 물었다.“아! 제가 올 때부터 잠겨 있었던 사물함이 에요. 열쇠도 없는데, 버리긴 뭣해서 그냥 두고 있었지요.”‘혹시 이 사물함에 교통사고 기록이 ... ...
- [과학뉴스] 태양보다 1300배 큰 불타는 눈사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우주에서 ‘불타는 눈사람’이 발견됐어요! 이 별은 태양보다도 지름이 1300배, 질량이 39배나 더 큰데다가 두 별이 함께 하는 쌍둥이별이랍니다. 큰 별과 작은 별이 얼마나 가까운지 마치 불타는 눈사람처럼 보여요. 작은 별이 큰 별의 주위를 1300일에 걸쳐 1바퀴씩 돌고 있지요.프랑스 니스에 있는 ... ...
- Part ➌ 한국의 수학 세계를 놀라게 하다!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알린 것이다. 이후 이임학은 자신의 이름을 딴 ‘리(Ree) 군’이라는 대수학 개념을 발견하는 위대한 업적을 남겼다. ‘리(Ree) 군’은 지금까지도 수학자들이 연구하는 중요한 분야다.한편 광복 후, 우리나라에는 여러 훌륭한 수학자들이 등장한다. 국내에서 최초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최윤식’, ... ...
이전3793803813823833843853863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