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사용하는 숟가락을 살펴보면 쌀밥의 역사도 볼 수 있다. 6세기에 만들어진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청동 숟가락은 손잡이 부분이 볼록해 실제로 쓰기는 어려운 형태였다. 4세기에 만들어진 부산 기장의 젓가락은 길이가 무려 30cm가 넘는다. 이런 비정상적인 숟가락과 젓가락은 왕의 권세를 나타내는 ... ...
- [fun] “질병 최전선에 있는 학자”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육로 지도를 만드는 탐험을 하다가 페스트가 창궐하면서 홍콩으로 이동한다. 페스트균을 발견한 것도 이때다. 말년에는 베트남 냐짱에 정착해서 지금은 콜라로 알려진 음료를 발명하는가 하면, 말라리아의 치료제를 얻을 수 있는 키니네나무나 고무나무를 들여와 부자가 되기도 했다.베트남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입었다. 만약 네안데르탈인의 얼굴을 볼 수 있다면, 우리는 아마 고된 삶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네안 데르탈인은 힘든 삶 와중에도 빨간 물감으로 그림을 그렸다. 아마 그들의 눈은 예술적인 영감으로 번득였을 것이다. 고된 삶 가운데에서도 예술 행위 를 놓지 않는 모습. ... ...
- INTRO. 신종헌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것 같지만, 지금까지 밝혀진 종은 전체의 1%도 채 안 된다. 설마 싶나? 작년 한 해 새로 발견된 생물만 해도 무려 1만8000종. 당신이 글을 읽고 있는 이 순간에도 3~4만 명에 이르는 신종헌터들이 지구 곳곳에서, 특히 오지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종을 찾아내고 있다. 아직 남아있는 99%는 어디에 숨어있는 ...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박테리아에서는 가능하다. 조 교수가 2004년 23번째 문을 발견한 이후로 지금까지 3개가 더 발견됐다. 아직도 새로운 문이 70~80개 남아있을 것으로 추정된다.박테리아는 배양해서 콜로니(집합체)를 형성하기 전까지 눈에 보이지 않는다. 현미경으로 관찰해도 신종인지 아닌지 구분할 수조차 없다(PLUS ... ...
- [과학뉴스] 목성 위성 유로파도 ‘판구조론’ 따른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때의 모습과 같다. 또 강원도 면적과 비슷한 약 2만km2의 지각이 갑자기 사라지는 현상도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 부분이 오래된 지각으로, 바로 이웃한 얼음 지각 아래로 들어가 사라졌다고 해석했다. 사라진 지각은 녹아 마치 차가운 용암처럼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런 결과를 종합해, 연구팀은 ... ...
- [과학뉴스] 오후 잠 쫓는 ‘카페인’ 비밀 풀리나과학동아 l2014년 10호
- 9월 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커피에만 존재하는 23개의 새로운 유전자를 발견했다. 그 중에는 카페인을 만들거나 막는 유전자(n-메틸트랜스퍼라아제 등)도 포함돼 있었다. 흥미롭게도 커피의 카페인 유전자는 초콜릿이나 홍차의 카페인 유전자와 다른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이 유전자가 진화 ...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드디어 두번째 천체가 발표됐다. ‘2012VP113’이라는 이름의 소천체는 2012년 처음 발견됐다. 이 천체는 긴 궤도 반지름이 약 500AU으로, 세드나의 절반 정도다. 이들은 오르트 구름의 안쪽 경계 부근에서 태양을 아주 느리게 공전하고 있다. 이런 천체가 더 있지 않을지, 두터운 오르트 구름 속에는 훨씬 ... ...
- [life & tech] 과학자와 예술가의 만남 2014 아티언스 오픈랩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뭔가 복잡한 실험 장치만이 놓인 공간. 사진작가는 그 곳에서 ‘과학자의 즐거움’을 발견했다.다른 컨테이너에는 다시마와 바나나껍질이 놓여 있었다. 작가는 기술이 사라져버린 세상을 상상했다. ‘그때는 어떻게 영화를 보게 될까?’ 과학자의 도움이 필요했다. 다시마와 바나나껍질로 필름을 ... ...
- [hot science] 충격! 화성에도 과학동아 독자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민물 호수의 흔적을 발견했습니다. 미생물의 생존에 필요한 탄소, 수소, 황 같은 원소도 발견했지요. 과거 이곳의 물은 너무 산성이 강하거나 짜지 않아 생명체가 살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자들이 가능성을 인정하고 있는 화성의 고대 생명체는 미생물 수준입니다. 산소 농도가 낮아서 ... ...
이전3753763773783793803813823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