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물리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연구하던 중, 박막을 전자빔으로 때리자 N형이던 반도체가 P형으로 변하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를 바탕으로 마그네슘을 입힌 P형 질화갈륨 반도체를 얻는 데 성공한다. 연구팀은 마침내 1992년 최초의 파란색 LED를 만드는 데 성공한다. 하지만 아직 산업화에 한계가 있었다. 마그네슘이 문제였다. 정공 ...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유전체의학연구소장의 업적은 유전자의 ‘단위반복변이(CNV·Copy Number Variation)’를 발견한 것이다. CNV는 사람마다 같은 유전자라도 개수가 다르다는 것을 뜻한다. 당시만 해도 유전자의 염기서열 차이가 눈동자 색과 질병민감성 등 겉으로 보이는 형질을 바꾼다고 알려져 있었는데 이 소장은 기존 ...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상동)을 짓고 있어 매우 안정돼 있다. 그러나 Y 몰락설은 여전히 유효하다. Y 염색체에서 발견된 핵심 유전자의 수가 아직 적기 때문이다. 그레이브즈 교수는 “현재는 Y 염색체 몰락이 잠시 소강상태에 머문 것에 불과하다”며 “두더지들쥐나 고슴도치 중에는 Y 염색체가 아예 없는 동물 종도 ... ...
- [knowledge] 우주 미아 찾기 대작전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라그랑주점에 최초로 도착해 태양 관측 임무를 수행했다. 태양에서 불어오는 태양풍을 발견하게 된 것도 ISEE-3호의 공이 컸다. (라그랑주점 : 지구와 태양이 서로 당기는 힘(중력)이 평형을 이루는 지점이다. 탐사선이 라그랑주점에 도착하면 태양이나 지구에 끌려가지 않고 정지한 채 궤도를 유지할 ...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간경화 등과도 구분이 안 됐다. 백 교수팀이 발견한 표지 단백질은 간암 환자에게만 발견된 것으로 초기 간암도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세계 단백질 연구, 한국이 주도HUPO 현장에서는 한국인 과학자의 리더십이 돋보인다는 사실을 느낄 수 있었다. HUPO의 창립 멤버이자 회장을 지낸 백 교수는 ... ...
- Part 2 테러리스트 검거, 데이터 분석이 책임진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행색의 남자가 사고 현장에 폭탄이 든 것으로 추정되는 가방을 놓고 가는 영상을 발견했다.데이터 마이닝이란 통계분석 중 하나로, 대규모 데이터에서 새로운 정보를 얻어내는 작업이다. 그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법은 ‘분류’다. 데이터가 어디에 속하는지 결정하는 규칙을 만드는 것이다. ... ...
- [재미] 11회 지리산에 있는 벽돌집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불빛이 깜빡이고 있어요. 혹시 저기에 집이 있는 건 아닐까요? 어서 가 봐요!”박 형사가 발견한 것은 희미한 불빛이었다. 불빛을 따라가자, 세 사람이 오매불망 찾던 붉은 벽돌집이 나타났다! 세 사람은 곧장 문을 박차고 들어갔다.“바…, 반장님! 여기 여…, 여자가 쓰…러져 있어요!”거실에는 ... ...
- [hot science] 충격! 화성에도 과학동아 독자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민물 호수의 흔적을 발견했습니다. 미생물의 생존에 필요한 탄소, 수소, 황 같은 원소도 발견했지요. 과거 이곳의 물은 너무 산성이 강하거나 짜지 않아 생명체가 살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자들이 가능성을 인정하고 있는 화성의 고대 생명체는 미생물 수준입니다. 산소 농도가 낮아서 ... ...
- INTRO. 신종헌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것 같지만, 지금까지 밝혀진 종은 전체의 1%도 채 안 된다. 설마 싶나? 작년 한 해 새로 발견된 생물만 해도 무려 1만8000종. 당신이 글을 읽고 있는 이 순간에도 3~4만 명에 이르는 신종헌터들이 지구 곳곳에서, 특히 오지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종을 찾아내고 있다. 아직 남아있는 99%는 어디에 숨어있는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입었다. 만약 네안데르탈인의 얼굴을 볼 수 있다면, 우리는 아마 고된 삶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네안 데르탈인은 힘든 삶 와중에도 빨간 물감으로 그림을 그렸다. 아마 그들의 눈은 예술적인 영감으로 번득였을 것이다. 고된 삶 가운데에서도 예술 행위 를 놓지 않는 모습. ... ...
이전3733743753763773783793803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