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누구도 완벽한 결정을 내릴 순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넘어가지 못한다.우여곡절 끝에 선택을 하게 되더라도 자신의 선택을 잘 믿지 못한다. 처음부터 불안 수준이 높아 확신에 대한 역치도 매우 높기 때문이다. ‘잘못된 결정이면 어떡하지’, ‘아직도 정보가 부족한 거 같아’라는 불안에 끊임없이 시달린다. 보통 사람이 고민과 노력을 들인 결과에 ... ...
- 1.6mm의 바삭한 과학! 감자칩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양념 감자칩은 1950년대에 처음으로 나왔다. 아일랜드의 감자칩 회사에서 시작했는데, 처음 개발한 맛은 치즈&양파, 바비큐, 소금&비네거(포도주로 만드는 소스의 일종)라는 3가지 맛이었다.2014년 달콤한 감자칩 등장감자도 몰랐던 감자칩의 과학그러니까 요즘 ‘대세’는 꿀과 버터를 바른 ... ...
- Part 1 전통의 빅데이터, 족보수학동아 l2015년 02호
- 경우가 드물어 분석하지 못했다.분석 결과 재미있는 경향이 나타났다. 어떤 이름이 처음 나타나 조금씩 쓰이기 시작한다. 30년 뒤부터는 급격히 늘어나다가 50년 뒤쯤에 유행의 전성기를 맞는다. 하지만 가장 인기를 끌었던 시점에서 15년이 지나면 그 이름을 사용하는 빈도가 절반으로 뚝 떨어진다. ... ...
- [창의] 2화 붉은 벽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2호
- ’ 너무 딱 들어맞아 영원히 그대로일 것만 같던 벽돌이 조금씩 움직였다. 벽돌은 처음보다 절반쯤 들어가 멈췄다. 오 선생은 부지런히 의자를 오르내리며 붉은 벽 곳곳의 벽돌을 밀기 시작했다. 마지막으로 오른쪽 맨 아래의 벽돌을 밀어 넣곤 의자에 털썩 주저 않았다.“아이고, 숨차다. 이젠 이 ... ...
- 800년 동안 바다 속에 있던 보물선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마도 해역에서 발견된 고려시대 선박이었답니다.이 배가 마도 해역 수심 15~21m에서 처음 발견됐을 때, 남아 있는 배 아랫 부분(저판)의 크기는 길이 10.8m, 너비 3.7m였어요. 바다에서 발굴된 고려시대 선박 중에 가장 큰 규모였지요. 이 배는 발견된 해역의 이름을 따 ‘마도 1호선’이라고 ... ...
- [생활] 교묘한 데이터 조작, 벤포드 법칙은 못 속인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오른쪽 표와 같다. 첫 자릿수로 1이 다른 수보다 많이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그런데 처음에 100만 원으로 시작해서 또는 연이율을 10%로 해서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의심할 수 있다. 그러나 아무 수나 가지고 계산을 해도 다른 수보다 1이 훨씬 많이 나온다. 700만 원씩 예금해도 마찬가지다.1938년 ... ...
- [생활] 허리케인이 만든 음악을 들어보세요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세로로 쌓아 올렸어요. 작품은 제 마음 가는대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오직 기상 정보와 처음에 결정한 변수로 완성되죠. 이렇게 바구니로 만들면 단순히 노트에 정리했던 2차원 그래프로 나타낼 수 없는 부분까지 표현할 수 있어요. 가로축을 ‘시간’이라고 정했지만, 시간 정보를 기초로 하는 ... ...
- PART 4. 추위가 불러온 '인간성'의 폭발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인류는 처음으로 아프리카를 벗어났다. 바로 ‘아웃 오브 아프리카’다. 이 때 인류는 처음으로 사시사철 더운 사바나나 숲을 벗어나 ‘추위’가 있는 온대지방으로 진출했다. 인류는 이후 빠른 속도로 동아시아 지역으로 확산됐다. 유럽으로의 확산은 좀 느렸다.동서로 퍼진 인류는 각기 흔적 ... ...
- [과학뉴스] 8000년 만에 찾아온 ‘러브조이’ 혜성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됐다. 천문학자들의 연구결과 8000년 주기로 지구를 찾는 것으로 계산됐다.러브조이는 처음 발견할 때 8인치 망원경을 이용했다. 발견 당시 혜성은 지구와 대략 4억2000만 km 떨어진 거리에 있었으며, 밝기는 15등급 정도였다. 이 밝기는 맨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어두운 별보다 4000배 정도 어두워 ... ...
- [Hot Issue] 전기, 이제 주변에서 수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경우에 치중해 있었다. 샤워기나 변기 물내림 등 흐르는 물에서 전기를 생산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실험 결과, 40μL(마이크로리터) 가량의 물방울이 흐를 때 최대 0.42mW의 전기를 생산했다. 이는 LED 전구 3~4개를 켤 수 있는 전력이다. 미국 워싱턴포스트지는 ‘변기 물 내리는 힘(The power in a toilet flush .. ...
이전3733743753763773783793803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