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게임보다 더 재밌는 넥슨컴퓨터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떼려야 뗄 수 없는 중요한 존재, 컴퓨터. 컴퓨터는 처음에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또 앞으로 어떻게 발전할까요? 컴퓨터의 모든 것을 파헤치기 위해 기자단 이원준, 정혜은 친구가 넥슨컴퓨터박물관을 찾아가 보았어요.아시아 최초 컴퓨터 박물관추운 겨울에도 열대식물로 푸르름이 ... ...
- [화보] 모자이크 컬처 식물의 우아한 변신수학동아 l2015년 03호
- 각종 축제나 전시회 등에 많이 등장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 고양 국제 꽃박람회에 처음 선보였다. 모자이크 컬처 작품을 직접 만나보고 싶다면 오는 4월 24일부터 5월 10일까지 열리는 2015 고양 국제 꽃박람회에 가보면 어떨까? 사랑스런 모습으로 변신한 식물의 모습을 볼 수 있다 ... ...
- [지식] 자유를 사랑한 수학자 로랑 슈와르츠 탄생 100주년수학동아 l2015년 03호
- 공학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업적을 인정받아서 1950년 프랑스인으로는 처음 필즈상을 받았다. 프랑스는 슈와르츠 이후로 전체 필즈상 수상자 중에 단일국가로는 가장 많은 13명을 배출하며, 넘볼 수 없는 수학 강국으로 부상했다. 식민지 국가 독립을 외치다유태인인 슈와르츠는 제2차 ... ...
- [생활] 냉장고를 부탁해 수학의 눈으로 본 요리 대결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셰프가 서로 한 번씩 다 대결하려면 최소한 28(=8+20)번의 일대일 대결이 이뤄져야 한다. 처음에는 6명의 셰프가 대결했지만, 최근 박준우 인턴 셰프와 이원일 인턴 셰프가 들어오면서 일대일 대결 수는 그만큼 더 늘어났다.셰프들의 강점과 약점, 전문적인 실력에 따라 대진운을 점쳐볼 수도 있겠지만 ... ...
- 3화 미꾸라지의 수열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찬이도 그곳에서 일하면 조금 숨통이 트이지 않을까 하는 게 누나의 생각이었다. 처음엔 반대하던 삼촌도 찬이의 끈질긴 부탁에 두 손을 들고 말았다. 다음 날부터 찬이는 누나네 김밥집에서 저녁마다 일을 돕기 시작했다. 그러던 어느 날 그녀가 김밥집에 나타났다 ... ...
- [생활] 수학 문제로 신에게 축복을 빌다 산가쿠(算額) 찾아 떠나는 일본여행기 2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절이었다. 신사 안에 있는 작은 암자와도 같은 이 절의 처마 밑에 산가쿠가 걸려 있었다. 처음 본 산가쿠의 감동을 어찌 설명할 수 있을까?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발견하고 외쳤을 법한 환호성을 나는 마음껏 질러댔다. 조용한 시골 신사는 갑자기 나타난 이방인의 고함소리로 가득 찼다. 조용히 ... ...
- 나는 수학자다 앨런 튜링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실리 메시지를 암호 해독하는 데 적용했는데 간혹 맞는 경우가 있었다. 실리를 튜링이 처음 발견한 것은 아니다.독이 묻은 사과를 먹고 자살했다?!“독주에 사과를 담그면 잠결 같은 죽음이 온몸에 퍼지겠지.”1954년 6월 5일 아침, 튜링이 죽어있는 것을 그의 가정부가 발견했다. 그 옆에는 몇 입 베어 ... ...
- PART2. 생명을 살리는 바이오 프린터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표면 처리 기술을 연구했던 문 박사는 3D 프린팅에 자연스럽게 관심을 갖게 됐다. 처음에는 명함 위에 3D 프린터로 점자를 출력했다. 하지만 응용할 분야를 찾지 못했다. 점자 전문 출판사와 점자 도서관에도 찾아갔지만, 기존 기술로도 충분하다는 답을 얻었다. 그 때 육근혜 한국점자도서관장이 ... ...
- PART1. 고교생 100명이 묻고, 공대생이 답하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되는 기초학문을 공부해야 하고 그 과정이 정말 힘들고 지루하다는 걸 알았습니다. 처음에 상상했던 멋진 공대와 현실은 다르지만, 나에게 재밌는 공부가 무엇인지 찾아가고, 학문을 조금씩 발전시켜 나가는 과정에서 보람을 얻고 있습니다. _주은진 Q5 공대가 실제로 ‘취업깡패’인가요? ... ...
- [Hot Issue] 셰일가스, 물과의 전쟁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지금도 ‘셰일가스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하지만 개발 방식 때문에 셰일가스는 처음부터 환경오염의 우려가 끊이지 않았다. 먼저 지하수 오염이다. 개발업체들은 셰일층이 지하수층보다 수km나 밑에 있기 때문에 안전하다고 강조한다. 하지만 암석의 깨진 틈을 타고 메탄가스와 화학물질이 ... ...
이전3693703713723733743753763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