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생명을 살리는 바이오 프린터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표면 처리 기술을 연구했던 문 박사는 3D 프린팅에 자연스럽게 관심을 갖게 됐다. 처음에는 명함 위에 3D 프린터로 점자를 출력했다. 하지만 응용할 분야를 찾지 못했다. 점자 전문 출판사와 점자 도서관에도 찾아갔지만, 기존 기술로도 충분하다는 답을 얻었다. 그 때 육근혜 한국점자도서관장이 ... ...
- PART3. 터치스크린 발표에 농담도 영어로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수 있도록, 1년 동안 제품 기획·설계·제작을 실습하는 특별 과정이다. 1994년 우리나라에 처음 도입됐을 때만 해도(기자가 학교를 다니던 때까지도) 기계과, 전자과 등 일부 학과에서만 실시하던 ‘선택’이었는데 최근 2~3년 사이 ‘필수’ 코스로 자리 잡았다.인턴십 프로그램도 진화했다. ‘코업(co ... ...
- [과학뉴스] 황우석․미탈리포프, 중국과 손잡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것으로 분석했다. 미탈리포프 교수는 2009년 일명 ‘세 부모 수정’을 원숭이를 대상으로 처음으로 성공시켰다.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를 가진 난자에서 미토콘드리아를 제거한 뒤, 정상인 제3자의 미토콘드리아를 넣어 체외 수정을 하는 시술법이다. 2012년에는 연구 대상을 사람으로 넓히고, 2015년까지 ... ...
- [과학뉴스] “여기는 탐사선 던, 소행성 세레스 14만 km까지 접근 중”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최대의 천체이자 유일한 왜행성인 ‘세레스(지름 950km)’가 처음으로 얼굴을 드러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월 4일, 미국의 소행성 탐사선 던(Dawn)이 세레스에 14만km까지 접근해 찍은 영상을 공개했다. 지금까지 얻은 가장 선명한 영상으로 크레이터가 보이기 시작했다. 던은 2007년 9월 발사된 무인 ... ...
- [Hot Issue] 셰일가스, 물과의 전쟁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지금도 ‘셰일가스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하지만 개발 방식 때문에 셰일가스는 처음부터 환경오염의 우려가 끊이지 않았다. 먼저 지하수 오염이다. 개발업체들은 셰일층이 지하수층보다 수km나 밑에 있기 때문에 안전하다고 강조한다. 하지만 암석의 깨진 틈을 타고 메탄가스와 화학물질이 ... ...
- [Knowledge] 달리기 명수 타조공룡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아래로 굽었다. 이빨도 없었다. 위에서는 1400개에 달하는 위석까지 나왔다. 연구팀은 처음에는 데이노케이루스가 초식을 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결정적인 증거가 추가로 발견되면서, 데이노케이루스는 잡식성임이 드러났다. 위에서 소화되다 만 먹이가 발견됐는데, 물고기의 ... ...
- [Knowledge] 지상에서 운용되는 우주기술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적용됐다. 두 기술 모두 지구에서 응용 중이다.우주왕복선이 지구를 떠나기 위해서는 처음 9분 동안 72만5000kg의 추진체를 연소해야 하며, 이때 온도는 3300℃에 도달한다. 엔진이 과열되지 않도록 영하 158℃의 액체 수소를 냉각 튜브를 통해 흘려준다. 지구에서 가장 효율이 좋은 로켓엔진은 초고압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바이오이미징이 우리나라 먹여 살릴 겁니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학문입니다.Q 공대와 기초과학은 완전 다르지 않나기초과학이 없으면 응용도 없습니다. 처음 기초원리를 발견한 사람이 응용할 때 시너지도 더 큽니다. 특히 MRI 같은 융합과학에는 경계가 없습니다. 우리 실험실에서 연구를 하는 학생들은 전자공학은 물론이고 해부학, 생리학도 알아야 합니다. ... ...
- PART 1. “2015년, 지금은 빙하시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뜻이었다. 이 경향은 열대와 아열대지방에서만 밝혀져 있었는데 이번에 중위도에서 처음 밝혀졌다. 조 박사는 “(많은 비와 온난화를 불러오는) 열대수렴대(ITCZ)가 북상하거나 남하하면서 중위도 지역의 기후에 변화를 불러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조 박사는 “빙하기와 간빙기라는 거시적 ... ...
- [Knowledge] 방사능벨트가 지구 보호한다고?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붙잡혀 도넛 모양으로 분포해 있는 ‘반 앨런 벨트(반 앨런대)’는 이렇게 인류에게 처음으로 그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자기장의 비대칭 때문에 입자가 갇힌다 반 앨런대는 지구를 두 겹으로 둘러싸고 있습니다. 방사능이라는 말을 핵폭탄이나 후쿠시마 원전 사고 등을 통해 접한 사람들은 반 ... ...
이전3713723733743753763773783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