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최초의 섹스, 판피어의 은밀한 사생활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발명한 판피어가 이제 좀 달라 보이지 않나요? 결국 우리는 최소 3억8500만 년 전 물고기가 처음으로 진화시킨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짝짓기를 하고 있는 겁니다. 인간을 비롯한 수많은 척추동물은 판피어에게 감사해야 할 것 같아요 ... ...
- [지식] 녹아버린 초콜릿에서 영감을 얻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본격적으로 ‘가정용 전기 오븐’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가정용 전기오븐은 1952년 처음 선을 보이기 시작했고, 1967년에 탄생한 조리대용 레이더레인지는 지금의 가치로 495달러(약 54만 원)로 가격이 결정되면서 차츰차츰 주방의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했다.❶ 레이더레인지의 최초 모습. ❷,❻ 전기 ... ...
- [매스투어] 불교문화 속 띠군을 찾아~ 태국으로!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보였는데, 어느 날 코 부분이 벗겨지면서 천연의 옥색이 드러났습니다. 그런데 맨 처음 옥색의 몸체를 발견한 스님은 그 보석이 에메랄드인 줄 알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옥으로 만든 이 부처가 ‘에메랄드 부다’라고 부른 것이지요.태국 사람들은 여러 불상 중에서도 이 에메랄드 부다를 가장 ... ...
-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중반에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가 발견되면서 빅뱅 우주론의 시대가 열렸으니까요. 처음에 내가 한 일은 로저 펜로즈 등과 같이 시공간이 시작할 때 특이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보인 일입니다. 그러면 특이점에서는 일반상대론이 깨지게 됩니다. 한 5년 동안 우리는 일반 상대론 내의 인과 구조에 ... ...
- [Knowledge] 매혹의 공생 생물, 지의류의 ‘버티는 삶’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분명히 생명체의 흔적이었다. “여기에도 생명이 있어요”라고 주장하는 듯 했다.“처음 보실 거예요. 제주도에서 채집한 ‘지의류’ 표본이에요.” 성서 속 비상식량, 루돌프의 도시락지의류는 낯선 생물이다. 이름부터 낯설고 어색하다. 일상생활에서는 화제에 올릴 일이 거의 없다. 하지만 ... ...
- Epilogue. 상대성이론 가지고 놀기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이름은 ‘아인슈타인-로젠 다리’였다. 아인슈타인과 로젠이 1935년에 논문을 발표하면서 처음 언급했기 때문이다. 휠러가 1957년 ‘벌레구멍(wormhole)’이라는 발랄한 이름을 제안하지 않았으면 지금도 저 난해한 이름을 쓰고 있을지 모른다.아침 8시, 신도림역에는 블랙홀이 나타난다일반상대론은 ... ...
- Part 1. 차세대 비행기 설계도 5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그뿐만이 아닙니다. 신형 여객기 ‘보잉777X’를 볼까요. 2013년 12월 두바이 에어쇼에서 처음 공개됐는데요, 날개 폭이 71.1m에 이릅니다. 기존 날개보다 더 길어서 연료를 똑같이 써도 양력(뜨는 힘)을 많이 받을 수 있어요. 보잉에 따르면, 경쟁 기종보다 에너지를 12% 절약할 수 있다고 합니다. 게다가 ... ...
- [Hot Issue] 2015 태양계 탐사선 어디로 가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근접 통과, 명왕성 및 위성 관측미국항공우주국이 2006년 1월 발사한 뉴호라이즌호는 처음부터 태양계 외곽 관측을 목표로 계획됐다.1차 목표는 태양계 외곽 왜행성인 명왕성이며 무려 10년의 여행 끝에 올해 7월 14일 도착한다. 비록 직접혜성에 착륙한 로제타처럼 극적인 사건 없이 그저 스쳐 ... ...
- [Life & Tech] 한류스타가 내게 문자를?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뜨겁다. 이진열 ㈜마이돌 대표는 “우리가 재밌어서 시작한 서비스”라고 말했다.“처음에 하고 싶었던 건 정보를 제공하는 잠금화면이었어요. 뉴스 서비스를 시작했는데, 실적이 좋지 않았습니다. 2주 만에 내린 결론은 ‘우리가 잠금화면은 잘 만드니까 다른 것도 해보자’라는 거였죠.”그렇게 ... ...
- 산타도 깜짝 놀란 착한 과학 선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말라리아는 말라리아원충에 감염된 얼룩날개 모기류에게 물려 걸리는 병이에요. 처음엔 감기와 비슷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적혈구가 파괴되는 등 훨씬 심각한 증상이 이어져요. 지금도 1년에 200만 명 이상이 말라리아에 걸려 목숨을 잃고 있답니다. 안타깝게도 사망자의 87%가 아프리카 지역의 5세 ... ...
이전3773783793803813823833843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