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고생물학 학술지 ‘레타이아’, 2008년 4월 10일자).산소 농도에 반응해 몸집을 키우는 정도도 곤충 종에 따라 다르다. 미국 애리조나주립대 존 반덴브룩스 교수팀이 바퀴벌레, 잠자리, 메뚜기, 딱정벌레 등 다양한 곤충을 각각 산소 포화도가 다른 환경에서 키우는 실험을 한 결과, 높은 산소 농도에서 ...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진행 중이다.유전자 발현 ‘지휘자’ 작은 RNA작은 RNA는 길이가 수 나노미터에 불과할 정도로 작다. 하지만 생명체 안에서의 영향력은 결코 작지 않다.먼저 RNA가 무엇인지부터 알아보자. 생명체의 DNA는 RNA가 있어야만 단백질을 만들어 생명활동에 직접적으로 관여할 수 있다. DNA 이중나선에서 유전 ... ...
-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앨런 테오 교수는 2004년부터 6년간 사람들마다 어떻게 대인관계를 맺고 외로움을 어느 정도 타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외로움을 이겨내려면 사람을 직접 만나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 아무리 다른 사람과 SNS로, 전화로, 심지어 화상통화로 이야기해도 근본적인 외로움이 해결되지않았다. 테오 ... ...
- [Career] 뇌와 컴퓨터가 만나면 어떤 향기가 날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개발에 도전두 사람은 시도 때도 없이 만난다. 새벽에도 문자메시지를 주고받을 정도로 친해졌다. 서로 생각을 나누는 데 부담이 없다 보니 자연스레 새로운 아이디어도 많아졌다. 그렇게 나온 결과물이 ‘이비인후과용 질환 진단 보조 내시경 시스템’이다.이비인후과에서 중이염이나 부비동염 등 ... ...
- [Career] “세계의 바다를 가를 무인선박을 개발합니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김다민 속도의 차이가 엄청날 것 같습니다.김낙완 기존 어뢰는 최고 속도가 시속 50km 정도입니다. 초공동어뢰는 최고 시속 360km까지 낼 수 있습니다.김다민 최근 조선업이 불황이다 보니 우려의 목소리가 많은데요. 교수님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김낙완 조선해양산업은 대규모 ... ...
- [쇼킹 사이언스] 바람이 돌을 움직인다고?! 항해하는 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땅은 겨울철에 얼었다가 살짝 녹아 진흙이 되는데, 그 때 돌이 진흙위를 1분에 5m정도 움직인다는 사실을 밝혀냈답니다.이때 돌은 마치 얼음뗏목을 타고 움직이는 듯 보였어요. 그래서 사람들은 이 돌을 ‘항해하는 돌’이라고 부르고 있답니다 ... ...
- Part 2. 지금이 ‘인류세’라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거예요.게다가 1500년 이후 멸종된 척추동물 중 1900년 이후에 멸종된 것이 60%나 차지할 정도로 지난 100년 동안 멸종 속도가 급격히 빨라졌답니다. 세바요스 박사팀에 따르면 이렇게 멸종 속도가 빨라지는 건 사람 때문이라고 해요. 자연스러운 멸종 속도라면 800~1만 년이 걸려 사라졌을 동물들이 ... ...
- [매스미디어] 무한대를 본 남자, 라마누잔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발견한 것이라고 말한다.하디는 무신론자였다. 단순히 신의 존재를 믿지 않는 정도가 아니라 신을 싫어했다. 재밌는 일화로 어느 날 하디가 배를 탔는데 폭풍우가 몰아치자 하디는 리만 가설을 해결했다고 전보를 보냈다. 만약 신이 존재하면 거짓을 용납하지 못해 배를 침몰시키지 않을 것이라는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땅을 소인국처럼 작게 줄여야 합니다. 이 때, 실물을 어떤 비율로 줄였는지 나타내는 정도를 ‘축척’이라고 합니다.바닥돌에서 골목길 중간에 있는 3·1 만세운동길까지 거리는 얼마나 될까요? 바닥돌에 새긴 지도의 축척은 1:125입니다. 실제 125m 길이를 지도에서는 1m로 표시했다는 뜻입니다. 이 점을 ... ...
- [Knowledge] DNA 검사는 정말 만능 열쇠일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공유하기 때문에 mtDNA 정보만으로 100% 신원 확인을 장담할 수 없다. 실제 미국 백인의 7% 정도는 동일한 mtDNA를 갖고 있다. 만일 변사자가 이런 흔한 mtDNA를 갖고 있다면 신원 확인 도구로 활용하기 어렵다. 이런 특성 때문에 mtDNA를 성(姓)씨에 비교하기도 한다. ‘제갈’ 씨나 ‘돈’ 씨처럼 특이한 성을 ... ...
이전3723733743753763773783793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