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생겨도 가동하는 데 문제가 없다. 전기 공급이 모두 끊길 경우 자체 발전기로 한 달 정도는 충분히 저장고를 가동할 수 있다. 또 발전기마저 멈춘다 해도 지하 터널의 온도가 한여름에도 15℃를 넘지 않기 때문에 저장고 내부 온도가 급격하게 높아지지 않아 한동안 버틸 수 있다.장기저장고 내부에 ... ...
- Part 3. 진단부터 치료까지 프랙탈 의학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이런 특성을 활용하면 시간에 따른 의식 수준을 판별하거나, 수술 중 마취가 어느 정도 됐는지 알 수 있다. 프랙탈을 활용해 수술 중 각성을 막는 방법을 찾을 수도 있다. 폐에 뚫린 구멍 크기의 분포에서 프랙탈 찾다황정은 서울아산병원 의생명연구소 연구원은 만성폐쇄성폐질환을 정밀하게 ... ...
- [Knowledge] 천연 스펀지로 물 찍어 먹는 침팬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것이다. 고고학자의 분석 결과, 인류가 만들었던 석기와 구별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다. 주의할 것은 이 뗀석기를 카푸친 원숭이가 의도해서 만든 건 아니라는 점이다. 연구팀은 원숭이들이 돌을 부딪쳐 만든 돌 부스러기들을 핥거나 냄새를 맡는 행동만 관찰했을 뿐, 석기를 어디에 쓰는지는 아직 ... ...
- [Tech & Fun] 직장과 집만 고집하는 당신, 변해야 ‘동안’된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몸의 노화에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얼굴에 드러나게 된다. 이때 얼굴에서 판별되는 노화 정도를 통해 향후 남은 수명을 짐작할 수 있다.덴마크 남부덴마크대 공공보건연구소 카레 크리스텐슨 교수는 간호사, 교생 실습생, 동료 노인에게 70세 이상 쌍둥이 1826쌍의 얼굴을 보여주고 나이를 추측하게 ... ...
- [Info] “노벨상 수상 업적 한 자리에”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뛰어난 업적은 다시 나오지 않았다”며 “아무리 뛰어난 학자라도대표 업적은 10년 정도에 집중적으로 나오는 듯 하다”고 말했다. 한 교수는 노벨위원회처럼 직접 프레첼과 베이글, 빵 모형을 들고 나와 위상수학을 설명하고, 물질에서의 의미를 명쾌하게 풀어줬다.과학동아 독자와 과학자가 직접 ... ...
- [과학뉴스] 최초의 우주 호텔 설치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하지만 완전히 펼쳐진 우주 호텔은 긴 지름이 4m, 짧은 지름이 3.2m로, 작은 방 하나 정도의 크기랍니다.우주 호텔의 가장 바깥 부분은 소방복 같은 특수의류를 제작할 때 쓰는 섬유혼합물로 되어 있어요. 열에 견디는 성질이 뛰어나고 두께가 약 50cm로 겹겹이 이루어져 있어 외부 충격에도 강하답니다 ... ...
- Part 1. 제2의 지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자료에 따르면, 2040년엔 전세계 인구가 80억 명이 넘고 에너지 소비량도 1990년의 2배 정도로 늘어날 예정이에요.또한 스티븐 호킹 교수는 자원 고갈이나 환경오염뿐만 아니라 핵전쟁, 지구온난화, 바이러스도 사람이 더 이상 지구에 살 수 없게 될 중요한 이유라고 지적하고 있답니다.그래서 많은 ... ...
- [헷갈린 과학] 상아VS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바깥쪽엔 뼈가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피부가 있지요. 그래서 뿔이 어느 정도 자라면 바깥쪽에 있던 피부는 떨어지고, 뿔은 더 이상 자라지 않는답니다. 그리고 매년 짝짓기철이 끝나면 뿔이 떨어지고, 다음해에 새로 나기 시작하죠.한편 사슴이 아닌 다른 동물들의 뿔은 아기때부터 생기기 ... ...
- [지식] 빛과 거울, 명작의 비밀병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상은 거꾸로 맺혔습니다. 오목거울은 빛의 반사 법칙을 그대로 따르기 때문에 어느 정도 거리가 멀어지면 상이 반대로 맺히기 때문이지요.다른 사람의 초상화를 그릴 때처럼 오목거울을 하나만 이용하면 옆모습 밖에 그릴 수 없게 됩니다. 화가가 자화상을 그리려면 평면거울이 하나 더 ...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노두마다 박편을 만들기로 의견이 모아졌다. 박편은 암석을 두께 30μm(100만 분의 1m) 정도로 얇게 포 뜨는 작업으로, 얇은 암석을 기포 없이 유리에 붙이기 위해서는 노하우가 필요하다고 했다(문득 스마트폰에 액정보호 필름을 붙일 때의 노력이 떠올랐다!).이윤수 책임연구원은 “백두산 암석 샘플은 ... ...
이전3683693703713723733743753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