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스페셜
"
정도
"(으)로 총 4,079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똑똑한 것 같지만 지혜롭지는 않은 사람들
2025.08.02
세 형제 A, B, C 중 C가 총대를 매고 자비로 일을 진행한 후 나머지 형제들에게도 얼마
정도
비용을 분담하라고 하는 상황이라고 해보자(형제 중 한 명의 배우자가 이야기를 전달한 상황). 이 이야기를 듣고, 지혜로운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다음과 같은 반응을 보였다. 1) 지적 겸손 a.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마음의 독립은 '행복'으로 가는 유일한 길
2025.07.26
라틴계 이민자들의 경우 동아시아계 이민자들과 비슷하게 ‘가족’, 특히 부모를 어느
정도
공경하고 책임져야 한다는 인식이 있어서 내담자가 그런 데서 오는 압박감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 백인 상담사는 스스로를 존중하고 너의 마음이 원하는 바를 따르라고 하는 원론적이지만 해당 사회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고교학점제·통합수능에 시름깊은 고교…논문표절에 묻힌 이진숙 장관 검증
2025.07.16
희생으로 겨우 유지하고 있다'는 응답이 54.9%로 가장 많았고 '폐지를 검토해야 할
정도
로 유지하기 어렵다'는 응답이 31.9%였다. '안정적으로 정책됐다'는 답변은 1.5%에 불과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와 서울교원단체총연합회도 고교 학점제 폐지를 요구하고 있다. 자유로운 '선택 과목'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미룰수 없는 의대생·전공의 복귀…볼썽사나운 특혜 논란
2025.07.02
정체되어 있었던 중세의 교육 방법론은 시대착오적인 것일 수밖에 없다. 하루가 다를
정도
로 빠르게 변화하는 의술을 '먼저 경험했다'는 주장부터 의미가 없어졌다. 전공의를 '자식'처럼 여기는 끈끈한 인간관계도 '평등한 인권'을 최고의 가치로 인정하는 현대 사회에는 어울리지 않는다. 오히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충동구매가 자존감을 높여주진 않는다
2025.06.28
자존감을 느끼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좋은 차나 비싼 물건으로 자신을 꾸미고 어느
정도
과시할 수 있어야 불안하지 않고 만족감을 느낀다. 물론 '늘 새롭고 특별한 무언가를 소유해야만 뒤처지지 않고 행복할 수 있다'는 광고들을 통해 만들어진 불안과 부족하다는 느낌이 강제로 주입되는 세상에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인간관계를 망치는 '정치적 파벌주의'
2025.06.14
중 몇 %가 성소수자일 것 같은지 물었을 때 약 32%일 것이라고 응답했지만 실제로는 6%
정도
라는 결과가 있었다. 반대로 민주당 사람들에게 공화당 사람들 중 몇 %가 연 소득 3억 이상일지 물었을 때 평균적으로 약 38%가 부자일 것 같다는 응답이 나왔지만 실제로는 2%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외롭다고 느낄수록 수명 짧아진다
2025.05.31
존재하는 좋은 인연들이 실은 전혀 당연하지 않고 고마운 기적이었음을 깨달으면 어느
정도
편해질 수 있겠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모두가 그렇게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외로움은 마음이 결정하는 주관적인 것이어서 이 연구에서도 객관적 사회적 고립 지수(objective social isolation index),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싫은 것' 아는 것도 중요하다
2025.05.24
않지만 스스로를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의 경우 외부의 영향에 의해 자존감이 흔들리는
정도
가 비교적 덜 했다는 연구들이 있다. 필자의 경우 역시 어렸을 때 자연스러운 실제 나의 모습을 잘 파악하고 받아들이기보다 외부에서 좋다고 하는 모습들을 최대한 따라하고 거기에서 오는 보상이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때론 '불확실성이' 삶에 도움이 된다
2025.05.17
불편하지만 불확실성은 꼭 느껴야 하는 불편함 중 하나다. 물론 불확실성이 불편한
정도
에도 개인차가 있어서 불확실성을 무조건 안 좋게만 바라보는 사람들에 비해 불확실성에도 좋은 면이 있음을 아는 사람들이 더 적응적인 행동을 보인다는 연구들이 있었다. 예를 들어 불확실성을 보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돈먹는 하마' AI 디지털 교과서
2025.05.07
미리 탑재해 놓은 객관식 정답을 확인하는 수준일 뿐이다. 학생의 영어 발음을 교정하는
정도
에 만족할 수는 없다. 실제로 AIDT가 시중에서 사용하고 있는 디지털 학습도구보다 학습의 질이 낮고 제한적이라는 지적도 있고 심지어 "AI 같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고 한다. 생성형 AI의 가장 심각한 단점인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