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공감만으론 세상을 바꿀 수 없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사람들의 감정에 이입을 잘 하고 타인의 감정을 자기 것처럼 느끼는(공감) 사람들은 그 정도가 심할수록 오히려 기부를 덜 하는 경향을 보였다.세상 바꾸는 것은 공감이 아니라 의지나 결심다른 사람을 도와줘야겠다는 생각이 들고 실제로 행동에 옮기는 것은 의지나 결심의 문제다. 매번 누군가의 ... ...
- [Tech & Fun] 디즈니 리서치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건물은 삼 면이 모두 유리창으로 돼 있고, 창가를 따라서 연구실과 회의실이 스무 개 정도 쪼르르 늘어서 있습니다. 안쪽에 열린 공간은 인턴들이 사용합니다. 연구실의 문은 넓은 통유리로 돼 있어 안이 훤히 들여다보인다고 해요. 누가 어떤 연구를 하는지 쉽게 알 수 있겠죠. 연구실은 연구원들의 ... ...
- [Career] 기발한 저온 공학 기술이 창업 아이템이 되기까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피부에 10~20초 갖다 대기만 하면 마취가 되는데, 주사바늘을 찔러 넣어도 느낌이 없을 정도로 효과가 좋다. 세포 손상이나 약물 부작용도 없고, 오래 기다릴 필요도 없어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꿈의 마취술’로 꼽히던 기술이다.신경세포의 온도를 정밀하고 빠르게 조절하면 마취약을 대체할 수 ... ...
- Part 4. 요원들이 억울하게 붙잡힌 이유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수도 줄어듭니다. 원래대로라면 일반인보다 9배 더 위험하다고 평가받았을 사람도 3배 정도만 더 위험한 사람이 됩니다. 범죄를 일으킬 가능성에 대한 사전 확률을 쓰긴 쓰되 2차 검색 대상자의 수를 줄여서 불필요한 낭비를 막는 효과가 있습니다.공항 전신 스캐너, 논란 잠재울까?일본 ... ...
- [지식] 빛과 거울, 명작의 비밀병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상은 거꾸로 맺혔습니다. 오목거울은 빛의 반사 법칙을 그대로 따르기 때문에 어느 정도 거리가 멀어지면 상이 반대로 맺히기 때문이지요.다른 사람의 초상화를 그릴 때처럼 오목거울을 하나만 이용하면 옆모습 밖에 그릴 수 없게 됩니다. 화가가 자화상을 그리려면 평면거울이 하나 더 ... ...
- [소프트웨어] 스마트폰으로 즐기는 프라모델 놀이터 셈스게임즈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성공할 거라는 확신이 있었다.“2010년 애플이 내놓은 아이폰4와 아이패드를 보면서 이 정도 기술력이면 스마트기기에서 프라모델을 만들어도 되겠다고 판단했어요.”20년 전만 해도 음악을 들으려면 테이프나 CD가 꼭 있어야 했다. 그런데 애플이 mp3플레이어 시장에 뛰어들면서 컴퓨터와 ... ...
- Intro. 백두산 폭발 대해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없다고 안심했던 사람들은 그 후, 백두산이 1000년 전 지구 전체에 기후변화를 가져올 정도의 큰 분출을 일으켰고, 폭발 주기가 약 100년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백두산의 마지막 분화는 1903년.어쩌면 임박했을지 모르는 다음 폭발에 대비해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관련기사를 계속 ...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노두마다 박편을 만들기로 의견이 모아졌다. 박편은 암석을 두께 30μm(100만 분의 1m) 정도로 얇게 포 뜨는 작업으로, 얇은 암석을 기포 없이 유리에 붙이기 위해서는 노하우가 필요하다고 했다(문득 스마트폰에 액정보호 필름을 붙일 때의 노력이 떠올랐다!).이윤수 책임연구원은 “백두산 암석 샘플은 ... ...
- [News & Issue]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생겨도 가동하는 데 문제가 없다. 전기 공급이 모두 끊길 경우 자체 발전기로 한 달 정도는 충분히 저장고를 가동할 수 있다. 또 발전기마저 멈춘다 해도 지하 터널의 온도가 한여름에도 15℃를 넘지 않기 때문에 저장고 내부 온도가 급격하게 높아지지 않아 한동안 버틸 수 있다.장기저장고 내부에 ... ...
- [News & Issue] 슈퍼문, 또 떴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2주 뒤에 슈퍼문이 떴습니다. 2005년 인도네시아에 거대한 해일이 발생했을 때도 2주 정도 뒤 슈퍼문이 떴죠. 지난 9월엔 거대한 지진이 보름달이나 초승달이 뜬 시기에 많이 발생한다는 연구결과도 나왔습니다(참고 논문 ➊). 최근 20년 동안 발생한 대형 지진을 분석한 결과, 약 2주 전에 조수간만의 ... ...
이전3693703713723733743753763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