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떠다니는 해양과학연구소 이사부호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보면 태풍으로 인한 인명, 재산 피해는 엄청나다. 한국환경정책연구원이 2011년
발표
한 ‘우리나라 기후변화의 경제학적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100년까지 태풍과 같은 기후변화가 한반도에 줄 수 있는 피해 규모는 약 2800조 원. 태풍 예보의 정확도가 20%만 높아져도 연간 300억 원의 피해를 줄일 수 ... ...
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탐사를 위한 기초 연구를 시작할 계획이다.마스2020의 프로젝트 리더인 미치 슐트 박사의
발표
로 문을 연 콘퍼런스는 상상 이상으로 흥미진진했다. 마스2020 로버는 큐리오시티보다 기술적으로 많이 향상된 모습이었으며, 새로운 장비도 눈에 띄었다. 광물의 미세구조와 유기물 분석을 담당하는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어느 정도 구상이 구체화됐을 때 박사과정을 그만두고 한국으로 돌아왔습니다. 논문으로
발표
할 내용은 아니었거든요.”“전화 설문조사 대신 뇌파를 측정하는 겁니까?”“이해가 빠르시네요. 뇌파를 이용한 여론조사는 두 가지 큰 장점이 있습니다. 하나는 엄청나게 많은 것을 물어볼 수 있다는 ... ...
[교과연계수업] 멸종위기 생물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제라르도 세바요스 박사팀은 현대에 들어 멸종 속도가 100배 빨라졌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
했어요. 1500년 이전의 척추동물 멸종 속도와 이후의 속도를 비교한 결과였죠. 1500년 이전에는 100년 동안 1만 종 중 2종이 사라졌던 반면, 1500년 이후에는 그 속도가 8~100배 빨라진 거예요. 게다가 1500년 이후 ... ...
PART 2. 우주배경복사가 들려준 이야기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이론만으로 설명할 수가 없었다. 이는 1980년에 앨런 구스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 교수가
발표
한 ‘급팽창 이론’으로 해결됐다.구스 교수는 우주가 태어난 직후 아주 짧은 시간 동안 급격한 팽창을 겪었다는 아이디어를 냈다. 균일했던 초기우주가 순식간에 너무 커져버렸기 때문에 지금까지 거의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 2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자른 전지나 PPT에 통계 포스터를 만든다. 남은 두 수업에서는 모둠별로 통계 포스터를
발표
한다. 모둠장이 프로젝트 평가서를 작성한다.학생이 수업 이끄는 비결?많은 학생이 어려워하는 부분이 바로 단원을 마무리할 때쯤 나오는 ‘활용’ 문제다. 거꾸로 교실에서는 학생이 문제 출제자가 돼 활용 ... ...
[과학뉴스] 임상종양학회지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해도 과언이 아니다. 명성에 걸맞게 국내에 소개되는 암에 대한 연구 결과도 여기에
발표
된 논문인 경우가 많다.미국임상종양학회가 1983년 1월부터 발행한 이 학술지는 지난해 학계에서의 영향력을 평가하는 ‘임팩트 팩터(IF)’가 20.982였다. 임상 암 연구 결과를 다루는 학술지 중 최고다. 저널에는 ... ...
[과학뉴스] 사람은 초기 인류보다 뇌 혈류량 6배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뇌의 크기보다 혈류량을 늘리는 방향으로 진화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
됐다.호주 아델레이드대 로저 세이머 교수팀은 초기 인류에 비해 현생인류의 뇌 혈류량이 6배나 많다는 연구 결과를 ‘영국왕립학회오픈과학저널’ 8월 31일자에 밝혔다.연구팀은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를 포함해 ... ...
Intro. 데이터로 본 노벨 생태계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많은 한국인의 이목이 스웨덴 노벨위원회에 집중된다. 하루 한 분야씩 노벨상 수상자를
발표
하기 때문이다. ‘올해는 우리나라 과학자가 노벨과학상을 탈 수 있을까’ 하는 기대감에, 각종 매체에 과학자들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하지만 매년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 하는 경험을 반복하고 있다 ... ...
[News & Issue] 최후의 날, 공룡에겐 무슨 일이 있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공룡을 멸종으로 내몰았다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016년 7월 5일자에
발표
했다.렌 교수팀은 데칸고원 용암대지의 연대를 측정한 결과 유카탄반도의 운석충돌 시기와 맞물려 있었으며, 데칸고원 화산의 70% 정도가 분출했을 때 운석충돌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했다. 피터슨 교수팀은 ... ...
이전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