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연구자의 꿈을 이뤄주는 ‘슈퍼’ 도우미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실험값과 맞지 않다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D’ 1월 29일자에
발표
됐다. 강지훈 KISTI 슈퍼컴퓨팅응용실장은 “매년 약 200팀의 연구 과제를 선정해 지원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나오는 논문만 해마다 약 150건”이라고 말했다.강궁원 KISTI 책임연구원은 올해 초 중력파를 ... ...
[과학뉴스] 컴퓨터가 연출한 그림자 연극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하는 공간탐색 알고리즘을 개발해 학술지 ‘ACM 트랜젝션즈 온 그래픽스’ 7월 24일자에
발표
했다.그림자 연극의 주요 요소는 빛, 스크린, 배우다. 빛과 스크린은 고정적이나 배우들의 위치와 동작은 계속 변하며 이에 따라 그림자의 모양이 결정된다. 연구팀은 나타내고자 하는 그림자 모양을 만들 수 ... ...
[과학뉴스] 세포 운명 결정짓는 대사물질 발견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초기단계에 분화 시점을 결정짓는다는 사실을 ‘셀 메타볼리즘’ 7월 28일자 온라인판에
발표
했다.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줄기세포에서 알파-케토글루타르산을 생성하는 효소를 감소시키면 줄기세포의 전분화능과 자가 복제에 심각한 손상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줄기세포 분화 초기에 ... ...
[과학뉴스] 절지동물은 부자 동네를 좋아해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부자 효과(luxury effect)’가 곤충에서도 증명됐다. 부자 효과란 소득 수준이 높은 부촌일수록 주변에 동물과 식물의 종류가 더 다양하다는 주장이다.미국 캘리포니아 과학 ... 찾아 집까지 들어왔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커런트 바이올로지’ 8월 3일자에
발표
됐다 ... ...
[과학뉴스] 얼음물 샤워, 과학적인 성과 내다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orf2’ 등 ALS를 유발하는 원인 유전자 3개를 찾아냈다고 ‘네이처 제네틱스’ 7월 25일자에
발표
했다.ALS 환자의 약 10%는 유전적인 원인으로 발병한다. 이런 환자 5명 중 1명은 21번 염색체에 이상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정확히 어떤 유전자가 ALS를 유발하는지 밝히기 위해 ALS 환자와 ... ...
[과학뉴스] 철새의 졸음비행…괜찮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조류연구소 닐스 로텐보그 연구원팀은 큰군함조가 비행 도중 잠을 잔다는 연구결과를
발표
했다. 연구팀은 평균 16일 동안 큰군함조 15마리의 뇌전도를 측정한 결과, 비행 중에 수면 상태와 유사한 뇌전도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큰군함조의 뇌는 좌우반구 중 한 쪽만 잠드는 경우도 있었다. ... ...
[과학뉴스] 제5의 힘, 존재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아닌 새로운 힘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입자가 있다고 ‘피지컬 리뷰 레터’ 8월 12일자에
발표
했다.연구팀이 밝힌 입자는 1년 전 헝가리 실험물리학자들이 발견한 입자다. 당초 이들은 암흑물질을 찾기 위한 실험을 진행했는데, 암흑물질이 아닌 전자보다 약 30배 무거운 입자의 흔적을 포착했다. ... ...
[포커스 뉴스] DNA에 새겨진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비극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미국 전역에 사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DNA를 조사해 ‘플로스 유전학’ 5월 27일자에
발표
했다.아프리카 유전자 82.1%+ 유럽 유전자 16.7%연구팀은 서로 다른 세 가지 의학 연구에 참여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3726명의 DNA를 분석했다. 평균적으로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보유한 유전자의 82.1%는 ... ...
[News & Issue] 꿀벌은 꿀맛을 알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of consciousness)’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3일자에
발표
했다. 논리는 이렇다. “인간의 의식은우리 뇌의 핵심 영역인 중뇌에서 비롯된다. 그런데 곤충 뇌의 ‘중심복합체(central complex)’라는 부위가 의식 중 가장 기초단계에 해당하는 ‘주관적 경험’을 처리한다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때문에, 미생물 생태계 즉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연구가 활발히 이뤄졌다.그동안
발표
된 수천 편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인간의 장 속에는 수만 종의 미생물이 산다. 각각의 개인은 이중 수백 종 정도의 미생물을 가지고 살아간다. 이것들은 면역 및 신경계 발달에 큰 영향을 준다. 특히 ... ...
이전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