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프록시마 센타우리는 태양을 닮았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고 ‘영국 왕립천문학회 월간보고’ 10월 11일자에 발표했다.브레드 와젤린 천문학 교수팀은 프록시마 센타우리 표면에서 7년을 주기로 별점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별점은 주변보다 온도가 낮아 검게 보이는 부분이다. 프록시마 센타우리는 2002년에 처음 ... ...
- INTRO. 2016 노벨과학상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역시 발표에 앞서 캐나다 미디어 그룹 톰슨 로이터가 수상이 유력한 노벨상 후보들을 발표했다. 하지만 재미있게도 올해는 노벨과학상 3개 분야에서 모두 빗나갔다.노벨물리학상은 초전도체와 초유체 같은 특이한 상태의 물질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위상수학 개념으로 밝힌 세 과학자에게 돌아갔다 ... ...
- [News & Issue] 떠다니는 해양과학연구소 이사부호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보면 태풍으로 인한 인명, 재산 피해는 엄청나다. 한국환경정책연구원이 2011년 발표한 ‘우리나라 기후변화의 경제학적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100년까지 태풍과 같은 기후변화가 한반도에 줄 수 있는 피해 규모는 약 2800조 원. 태풍 예보의 정확도가 20%만 높아져도 연간 300억 원의 피해를 줄일 수 ... ...
- 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탐사를 위한 기초 연구를 시작할 계획이다.마스2020의 프로젝트 리더인 미치 슐트 박사의 발표로 문을 연 콘퍼런스는 상상 이상으로 흥미진진했다. 마스2020 로버는 큐리오시티보다 기술적으로 많이 향상된 모습이었으며, 새로운 장비도 눈에 띄었다. 광물의 미세구조와 유기물 분석을 담당하는 ... ...
- [Knowledge] 누가 이타성 문제를 처음 해결했는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차례다. 잠깐, 그 전에 살펴봐야 할 것이 하나 있다.할데인은 이타성 문제를 해결한 글을 발표했나1955년에 할데인은 ‘신생물학’에 ‘개체군 유전학’이란 제목의 글을 게재했다. 메이나드 스미스의 서평이 지적하듯이, 이 글은 할데인이 최초로 이타성의 문제를 해결했다는 증거로 흔히 인용된다. ... ...
- [Knowledge] ‘DHL’ 이노베이션 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아브로보틱스는 드론 스스로 150m~1km 거리에 있는 장애물을 피할 수 있는 기술을 지난 6월 발표했다. 기존 드론은 장애물을 인식할 때 소형 카메라를 이용하기 때문에 탐지할 수 있는 거리가 50m에 불과했다. 아브로보틱스는 레이더를 사용해 이 거리를 처음으로 1km까지 늘렸다.DHL 비킹 부사장은 ... ...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지리 및 행성학과 조세프 커슈빙크 교수가 영국왕립학회에서 발표한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doi: 10.1126/science.aaf5803). 커슈빙크 교수는 알루미늄 벽에 코일을 넣어 인위적으로 자기장을 걸 수 있는 방 안에서 사람이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는지 실험했다. 그 결과 방 전체에서 ... ...
- Part 1. 생물들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대한 정보를 모으고 정리한답니다. 그 결과에 따라 매년 생물들을 7등급으로 분류해 발표하고 있어요. 가장 위험도가 낮은 것부터 관심필요종, 취약근 접종, 취약종, 위기종, 위급종, 자생지절멸종, 절멸종으로 나누는 거예요. 또 7등급으로 나눈 동물들의 목록을 ‘적색목록’이라고 하며, 특별히 ... ...
- Part 3. 인간의 이기심이 무서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동물들이 사람들의 관심을 적게 받아 더 쉽게 멸종될 것이라는 주장을 담은 논문을 발표했어요. 플레밍 교수는 호주에 사는 동물들에 대한 연구 중 포유류와 관련된 논문 1만 2508편을 분석했지요. 그 결과 캥거루나 주머니토끼와 같은 동물에 대한 논문이 1만 0921편으로, 박쥐와 설치류에 대한 논문 158 ... ...
- 하트와 홀름스트룀, 그리고 ‘계약 이론’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가르치는 선생님에게 더 많이 보상하기 위해서 실적에 따라 성과금을 주는 임금 계약을 발표한다면 어떨까요? 성과는 가장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요소인 진학률이나 학생의 성적 향상률을 기준으로 삼고요.홀름스트룀 교수에 따르면, 쉽게 확인 가능한 기준으로만 성과를 평가하는 건 몹시 ... ...
이전3533543553563573583593603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