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로워 연구팀은 ‘털갈이’ 때문에 새의 몸집이 더 커지기 어렵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
했다(PLOS 생물학 2009년 6월 16일자). 새들의 깃털은 자외선에 계속 노출되고 박테리아에 오염되면서 비행성능이 떨어진다. 털이 군데군데 빠진 배드민턴 공이 멀리 나가지 못하는 것과 같은 원리다. 따라서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기존보다 뛰어난 전달체를 개발하고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015년 8월 6일자에
발표
했다(doi:10.1038/ncomms8930). 안 연구원팀은 특정 물질로 전달체를 만드는 대신, 마치 여러장의 종이를 구겨 뭉치듯 여러 개의 siRNA를 뭉친 복합체를 만들었다. 각각의 siRNA가 서로를 보호하는 형태로, 혈액에 ... ...
[Knowledge] ‘DHL’ 이노베이션 센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아브로보틱스는 드론 스스로 150m~1km 거리에 있는 장애물을 피할 수 있는 기술을 지난 6월
발표
했다. 기존 드론은 장애물을 인식할 때 소형 카메라를 이용하기 때문에 탐지할 수 있는 거리가 50m에 불과했다. 아브로보틱스는 레이더를 사용해 이 거리를 처음으로 1km까지 늘렸다.DHL 비킹 부사장은 ... ...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감정이며, 특히 사회를 이루면서 살아가도록 진화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
했다(doi:10.1080/02699931.2013.837379).초기 인류는 각자 또는 소가족 단위로 사냥을 하거나 먹을 것을 구하고, 위험한 동물이 나타나면 무찔러야 했다. 그만큼 굶거나 다쳐서 죽을 확률이 높았다. 심지어 사람은 ... ...
[Tech & Fun] 과학은 네트워크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만나면 내밀한 기쁨에 미소가 번진다. 미국 SF소설의 거장 어슐러 K. 르 귄이 1982년에
발표
한 ‘정복하지 않은 사람들’도 그렇다. 초기 남극탐험대의 보고서 형식을 띤 소설인데, 성 고정관념을 뒤엎는 이야기로 화제가 됐다. 이 작품은 최근, 유명 SF소설 편집인 부부인 앤 밴더미어와 제프 ... ...
[지식] 세계는 스팸과 전쟁 중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지난 2014년 1월, 집단 해킹을 당한 냉장고와 텔레비전이 대규모 스팸메일을 발송했다고
발표
했다. 신승원 KAIST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이 사건이 정말 집안의 냉장고와 텔레비전에 의한 것인지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사물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를 통해 스팸메일을 보낼 수 있는 건 확실하다”고 ... ...
[과학뉴스] ‘마술종이’로 감쪽같이 사라지는 전자소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않고 분해되는 반도체용 트랜지스터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나노리서치’ 9월 26일자에
발표
했다. 연구팀이 주목한 소재는 니트로셀룰로스로 마술사가 불을 붙였을 때 재를 남기지 않고 감쪽같이 사라져버리는 마술종이의 재료다. 최 교수팀은 니트로셀룰로스 종이 위에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해 ... ...
[과학뉴스] 사람의 뇌 흉내 낸 최초의 기계장치!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영국 연구팀이 인간의 뇌를 모방해 명령을 내릴 수 있는 나노미터(100만 분의 1mm)크기의 인공시스템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영국 사우스햄튼대 전자컴퓨터과학과 알렉스 서브 교수팀은 뇌 ... 자체를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10월 7일자에
발표
됐다 ... ...
[과학뉴스] 젊은 과학자들은 트위터를 좋아해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트위터 같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활용한다고 ‘플로스원(Plos one)’ 10월 12일자에
발표
했다.과학커뮤니케이션센터 킴벌리 콜린 교수팀은 31개국에서 박사과정 이하인 젊은 과학자 587명을 대상으로 어떤 미디어를 선호하고 많이 이용하는지 온라인 설문조사로 알아봤다. 설문은 ‘자신의 연구 ... ...
[과학뉴스] 광합성의 적, 해충보다 더위!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나무는 광합성을 통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에너지원으로 저장한다. 그런데 최근 도시가 뜨거워지면서 나무가 저장하는 탄소가 크게 줄었다는 결과가 나왔다.미국 노스캐롤라이나 ... 예년에 비해 12% 감소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학회보B’ 10월 5일자에
발표
됐다 ... ...
이전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