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죽음
사망
귀천
소멸
폐업
뉴스
"
사멸
"(으)로 총 404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 속 ‘발전소’에서 신경암 해법 찾았다
2016.04.27
생성이 줄어들어 세포의 생명 유지 기능이 저하되며, 칼슘이 과도하게 늘어나면 세포가
사멸
한다. 연구팀은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미로(Miro) 단백질이 미토콘드리아의 칼슘 흡수를 촉진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한 미토콘드리아의 칼슘 농도에 따라 신경줄기세포의 자가 재생산 활성 정도를 ... ...
내 텔로미어 내 손으로 자른다
2016.04.11
분열이 거듭할수록 텔로미어의 길이가 줄어들고, 완전히 사라지면 세포 복제가 멈추면서
사멸
하기 때문이지요. 즉, 텔로미어가 짧아지면 죽는 겁니다. 죽기 위해 제 무덤 제가 파는 것처럼 제 텔로미어를 제가 스스로 자르는 거지요. 텔로미어는 2009년 노벨의학상을 받게 한 소재기도 합니다. 무한 ... ...
말기 심부전 환자의 딱딱한 심장, 말랑하게 만들 유전자 확인
2016.03.29
심장 섬유화를 일으키는 근섬유아세포의 생성을 억제하고, 근섬유아세포의 세포
사멸
을 유발해 심장 세포 사이에 쌓인 콜라겐의 양을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유전자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심부전을 유발시킨 생쥐의 심장에 CCN5 유전자를 보냈다. 여기에는 심장에만 유전자를 ... ...
근육 키우고 줄이는 유전자 발견
2016.03.23
반면, 스태빌린-2가 결핍된 쥐의 근육에는 여전히 손상이 남아있었다. 김 연구원은 “
사멸
세포가 아닌 살아있는 근육세포에서 융합을 조절하는 수용체를 발견한 것은 세계 최초”라며 “향후 연구를 거듭하면 스태빌린-2의 발현량을 조절해 근육의 회복 및 성장 속도를 늘리는 약물을 개발할 수 ... ...
“이재한 형사님, 과학수사 오류도 바로 잡아주세요”
2016.03.13
증거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일조하고 있다. 생명공학 기술을 이용하면 박테리아가
사멸
한 시간을 통해 피해자의 사망 시각을 추정할 수 있고, 컴퓨터과학자의 도움 속에 목소리로 화자를 식별하거나 비트코인처럼 암호화된 화폐의 사용내역에서 범죄자를 추적하기도 한다. 립스틱 브랜드마다 ... ...
방사능 치료 부작용 줄일 방법 찾았다
2016.03.06
환자의 GDF15 단백질의 발현이나 분비를 억제한다면 정상 혈관은 보호하면서 암세포를
사멸
시킬 수 있다”며 “방사선 치료의 효율과 안전성을 동시에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연구결과를 암 분야 국제학술지 ‘온코타깃(Oncotarget)’ 2월호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또 방사선에 ... ...
“플랑크톤도 기생충에 감염 돼”
2016.02.15
추세 등의 전반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섬모충 플랑크톤의
사멸
이 계속 진행되면 해양 생태계의 먹이사슬이 끊어져 생태계 교란이 일어날 수 있다”며 “기후변화는 물론 다양한 요인이 작용했을 것으로 보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 ...
[토요판 커버스토리]1경4000조원 시장 新에너지 혁명 ‘쨍’
동아일보
l
2016.01.16
시간을 줄이고 해상도를 높이며 발버둥쳤어도 결국 디지털카메라의 기술 흐름을 놓쳐
사멸
직전까지 갔던 것을 기억하라는 것이다. 그런데 왜 고작 1.4%? 실제로 과거 에너지 산업을 좌지우지했던 석탄 기업들의 쇠락은 눈에 띄게 빨라지고 있다. 미국 내 석탄 생산 2위를 달리던 ‘아크콜(Arch Coal)’의 ... ...
부작용 없으면서 효과 큰 항암 후보물질 개발
2015.12.07
물질 ‘M1’을 찾아냈다. 실제로 실험실에서 배양한 암세포에 M1을 처리하자 암세포가 100%
사멸
되는 것이 확인됐다. 반대로 정상세포에서는 M1이 이렇다할 부작용을 보이지 않았다. 임 교수는 “암세포가 생명을 유지하지 못하도록 막는 신약 후보물질을 발견한 것”이라면서도 “세포단계 ... ...
청양고추 매운 맛이 파킨슨병 치료제?
2015.11.08
뇌의 도파민 신경세포가 점차 소실돼 발생한다. 기존 파킨슨병 치료는 신경세포의
사멸
을 늦추거나 증상을 완화시키는 수준에 머물렀다. 최근에는 신경세포의 발달에 관여하는 ‘신경영양인자’를 합성해 뇌에 투여하는 치료가 도입됐지만, 외과 수술의 위험성이 단점으로 지적됐다. 연구진은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