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죽음
사망
귀천
소멸
폐업
뉴스
"
사멸
"(으)로 총 404건 검색되었습니다.
심근세포 운명 좌지우지하는, 너는 누구냐
2014.12.25
활성화되면서 Bcl-2라는, 세포생존 촉진에 관여하는 단백질 발현이 줄어들면서 세포
사멸
을 유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조 교수는 “정보기술(IT)과 생명공학기술(BT)을 융합해 심근세포의 운명을 결정하는 기작을 규명했다”면서 “이를 통해 심근세포의 운명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면 심부전, ... ...
암세포 ‘에너지 공장’만 골라 죽이는 항암물질 개발
2014.12.23
낮았던 약물의 항암효과를 극대화시켰다”며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공격해
사멸
시키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항암제 합성기술을 개발한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회지(JACS)’ 24일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 ...
2014년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
2014.12.14
달라 붙는 금 나노입자를 체내에 주사한 뒤 레이저로 나노입자를 태우면 암세포가
사멸
된다. - 고려대 제공 ● 그래핀 상용화 앞당기는 기술 개발 황성우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나노일렉트로닉스랩팀 전무와 황동목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교수 공동 연구진은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 ...
성체줄기세포만 쏙쏙 찾는 기술 나왔다
2014.12.09
성체줄기세포가 분열할 때의 고유한 특성을 이용해 성체줄기세포를 쉽게 찾는 기술이 개발됐다. 허양훈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전자현미경연구 ...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인 ‘세포
사멸
과 질병’ 4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암세포 지켜주는 단백질, 너였어?
2014.11.17
T세포를 저해하던 골수성세포의 축적이 저해됨으로써, T세포가 활성화돼 암세포를
사멸
한다. - 서울대 약대 제공 최근 암 치료 연구에서는 환자의 고유한 면역능력을 이용해 암세포를 제거하는 방식이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암세포 주변에는 환자의 면역반응을 제한하는 환경이 만들어져 있어 ... ...
안약으로 실명 원인 1위 질환 치료
2014.11.07
점안액을 만들어 쥐와 돼지, 토끼 등을 대상으로 동물 실험을 진행한 결과 시신경 세포의
사멸
을 막는 효과가 뛰어났다. 김 교수는 “현재까지 시신경 세포의 죽음을 막는 치료제는 개발되지 않았다”며 “치료제 개발에 성공하면 새로운 형태의 치료제 시장을 개척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당뇨에 비만에 암까지 잡는 이 열매는?
2014.11.05
유자 껍질 추출물을 먹이자 시간이 지날수록 암세포의 성장이 느려질 뿐 아니라 암세포
사멸
을 유도하는 효과도 있었다. 이 효과 역시 유자 껍질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뛰어났다. 황 박사팀은 지난해 유자 추출물이 당뇨 예방과 체중 조절, 지방간 개선에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 ...
스튜어디스 직업병은 유방암?
2014.10.20
세포
사멸
에 관여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예를 들어 피리어드1이라는 유전자는 세포
사멸
을 촉진하는데 암조직에서는 발현이 떨어져있다. 피리어드2도 종양억제 기능을 하는데 유방암 조직에서 발현이 떨어져 있거나 심지어 안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시차를 한 차례만 겪어도 ... ...
암 전이 일어나는 이유 드디어 밝혀져
2014.09.02
전이가 나타났다. 컴플렉스Ⅰ 효소가 변형된 경우 '세포
사멸
억제 단백질(Bcl-w)'이 '세포
사멸
유도 단백질(Bax)'에 결합하여 Bax를 컴플렉스Ⅰ로 부터 분리시킨다. 결국, Bax의 방해가 없어진 컴플렉스Ⅰ 효소가 활성산소(ROS)를 생성하고, 이로 인해 암 전이가 촉진된다. - 한국원자력의학원 제공 엄 ... ...
86세 노인 피부세포로 신경세포 제조
2014.08.08
척추에 줄기세포로 만든 신경세포를 이식하려는 시도는 많이 있었지만 모두 세포가
사멸
해 실패했다. 이식한 신경세포가 끊어진 신경을 뇌까지 연결된 것은 최초이지만 아쉽게도 쥐가 팔다리를 다시 움직이지는 못했다. 연구팀은 “늙은 남성의 피부세포로 만든 줄기세포가 긴 신경세포가 된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