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죽음
사망
귀천
소멸
폐업
뉴스
"
사멸
"(으)로 총 404건 검색되었습니다.
담뱃잎에서 찾은 치매 치료제 임상 돌입
과학동아
l
2014.07.28
치매에 효과적인 천연단백질을 발견하고 학술지 ‘네이처’ 자매지인 ‘세포
사멸
과 질병(Cell death and disease)’에 관련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당시 동물실험 결과 퇴행성 뇌질환을 유발한 쥐에게 이 천연단백질을 투여하자 퇴행성 뇌질환의 진행이 예방되는 것은 물론 치료 효과가 나타난다는 점이 ... ...
고장난 신경세포 복구 단백질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6.25
말단)의 한쪽 나선의 손상을 인식하는 단백질인 ‘ATR’로부터 신호를 받고, 신경세포의
사멸
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신경세포가 일부 손상을 입으면 더 이상 큰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한쪽 끝을 소멸시키는 것이다. 연구팀은 ATM이 DNA의 이중나선이 지나치게 꼬이지 않게 만드는 효소가 제 ... ...
천식치료제, 소음성 난청 예방에 효과
과학동아
l
2014.06.24
박상면 아주대 의대 교수팀은 “천식치료제 ‘몬테루카스트’가 청각세포의
사멸
을 막아 소음성 난청을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23일 밝혔다. 그간 소음성 난청은 시끄러운 작업 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근로자들의 ‘직업병’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최근 스마트폰 사용이 늘면서 ... ...
세포의 생사 가르는 활성산소 ‘스위치’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6.08
세포증식에 관여하는 ‘ERK’ 단백질을 활성화하지만 활성산소 농도가 높아지면 세포
사멸
에 관여하는 ‘JNK’ 단백질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적절한 환경에서는 ERK를 활성화시켜 세포 분열을 유도하지만 스트레스가 과도한 환경에서는 JNK 단백질을 활성화시켜 분열을 멈추고 세포가 ... ...
세포 스스로 목숨 끊어 결핵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14.05.28
결핵균에 감염된 생쥐의 세포에 특정 화합물을 처리해 자가포식을 유도하자 결핵균이
사멸
되기 시작했다고 28일 밝혔다. 자가포식은 세포가 자신의 단백질 덩어리나 소기관 등을 파괴해 항상성을 유지하려는 활동을 말한다. 결핵 치료는 보통 결핵균 자체를 표적으로 삼는 항결핵제를 통해 ... ...
파킨슨병 치료 가능성 열었다
과학동아
l
2014.04.10
- KIST 제공 연구팀이 신경세포에 이 물질을 투여하자 신경세포는 외부의 자극을 받아도
사멸
하지 않았다. 물질에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증명된 것이다. 또 파킨슨병을 앓던 쥐가 이 물질을 복용하자 운동능력을 회복했다. 모퉁이를 돌 때 12초가 걸린 쥐가 물질을 먹은 ... ...
유방암 걸리면 뇌졸중 걸리기 쉽다는데, 도대체 왜?
과학동아
l
2014.04.09
돌연변이로 제대로 발달하지 못한 뇌(아래). 녹색으로 빛나는 부분이 세포가 '자살'해
사멸
한 부분이다. - PNAS 제공 연구팀은 추가 실험을 통해 p53 단백질이 작용하지 못하도록 유전자를 조작했다. 브라카 유전자와 p53 단백질이 모두 없는 쥐를 만든 것이다. 그 결과, 연구팀은 실험용 쥐의 뇌에서 ... ...
청국장, 건강에 '진짜로' 좋다!
과학동아
l
2014.03.25
효과가 있었다. 흔히 ‘자살세포’로 불리는 NK세포는 암을 비록한 각종 질병을
사멸
시킨다. 홍 연구원은 “이번 연구결과는 청국장 다당의 새로운 효능을 규명한 것으로, 한국 전통식품의 세계화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음식과 독성학 ... ...
담배잎으로 치매를 고친다고?
과학동아
l
2014.03.13
이 물질을 이용해 치매를 치료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발견해 ‘네이처’ 자매지 ‘세포
사멸
과 질병(Cell death and disease)’ 1월 30일자 온라인 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담배 잎에 염분을 가한 뒤,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방법으로 천연 단백질 ‘오스모틴’을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 이렇게 추출한 ... ...
활성산소가 신경세포 죽여 치매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14.02.26
의미다. 연구진은 이 쥐에 NOX1을 억제하는 물질을 주사했더니 해마의 신경세포
사멸
이나 인지기능 손상이 완화되는 것을 발견했다. 최 교수는 “혈관성 치매가 생기는 메커니즘을 규명한 만큼 적절한 NOX1 억제제를 개발한다면 혈관성 치매를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