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죽음
사망
귀천
소멸
폐업
뉴스
"
사멸
"(으)로 총 404건 검색되었습니다.
알츠하이머병·파킨슨병 공통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6
나타났다. 여기에 미토콘드리아 칼슘채널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처리하자, 신경세포
사멸
이 지연되고 신경세포 기능 이상도 회복됐다. 이 연구원은 “세포소기관 상호작용 조절인자는 미토콘드리아 칼슘 항상성 조절을 통한 신경퇴행성질환 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표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 ...
세포 죽음 유도하는 단백질 복합체 형성과정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20
“DISC의 형성 과정에 대해 실험적인 결과와 일치하는 모델도 제시했다”며 “세포
사멸
과정에 대한 인류의 학문적 이해가 한층 깊어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지난 11일 국제학술지 ‘세포죽음과 분화’을 통해 발표됐다. ... ...
완치도 가능하다는 3세대 항암제 효과 한층 더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1
T세포의 기능을 저하시키지 못하도록 막는다. 면역세포의 공격을 견디지 못한 암이
사멸
되도록 유도하는 방식으로 몇 가지 암에서 일부 환자의 완치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1, 2세대 항암제를 이용할 경우 수술 없이 항암제만으로 완치사례를 보기는 어려워서 혁신적인 성과로 인정받고 있다. ... ...
단시간에 ‘녹조’만 골라 '킬'
동아사이언스
l
2018.09.05
녹조의 광합성을 방해해 생장을 억제하고, 녹조의 세포 속에서 ‘활성산소’를 발생시켜
사멸
을 유도한다. 약품이 물속에 남지 않기 때문에 생태계 교란도 일어나지 않는다. 수중의 먹이생물인 유용 미세조류는 파괴하지 않아 생태계에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교수는 “환경독성 평가 ... ...
해조류 죽이는 바이러스가 구름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8.08.28
연구원은 단세포 해조류인 에밀리아니아 훅슬레이(Emiliania huxleyi·사진)와 이를
사멸
시키는 바이러스 ‘EhV’를 이용해 바닷속과 공기 중 코콜리스 입자 수의 변화를 수조 실험으로 확인했다. 해조류가 EhV에 감염되기 전 수조에 담긴 바닷물에는 mL당 코콜리스 입자가 2000만 개가량인 것으로 조사됐다. ... ...
항생제 없이 박테리아의 바이오필름 제거
과학동아
l
2018.08.16
억제한다. 연구를 주도한 최종훈 중앙대 융합공학부 교수는 “박테리아만 선별적으로
사멸
할 수 있다”며 “항생제 내성이 있는 슈퍼박테리아도 공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나노스케일’ 7월 2일자에 게재됐다. doi:10.1039/C8NR0276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암세포 표면의 OR2AT4를 활성화시켜 신호를 발생시키자 세포의 분열이 억제되고 세포
사멸
이 촉진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 뒤 백혈구 표면에 존재하는 또 다른 후각수용체인 OR51B5도 인식하는 분자인 아이소노닐알코올(isononylalcohol)로 활성화시키자 암세포의 분열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을 위해 사(私, 개별 세포)는 언제라도 희생될 수 있는 극단적인 전체주의 사회다. 즉 세포
사멸
(apoptosis) 명령이 떨어지면 이유를 묻지 않고 자살을 해야 하는 것이다. 우리가 한 개체로 100년 가까이 살 수 있는 것도 제 역할을 마치고 부담스러운 존재가 된 수많은 세포가 스스로 사라지는 운명을 ... ...
[과학사진관] 반짝반짝 작은 별 아름답게 비추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6
스트레스를 받거나 손상을 입으면 서로 뭉쳐 에너지를 더 이상 만들 수 없게
사멸
한다. 세포의 유전체 불안정성을 유도할 수 있는 유전자 발현을 억제할 때, 미토콘드리아가 서로 뭉치며 손상된다는 실험을 진행하던 중 위 이미지를 포착했다. 갈색지방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를 붉은 색으로, ... ...
‘치매 단백질’ 연결고리 최초 확인
과학동아
l
2018.05.08
표지 분석을 통해 알츠하이머 환자의 타우 단백질 증가가 단순한 신경세포
사멸
의 부산물이 아니라, 치매를 발병시킬 수 있는 능동적 과정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한 알츠하이머 환자 24명을 분석해 베타아밀로이드의 양이 늘어나면 타우 단백질도 늘어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베이트먼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