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얼마나 ‘슈퍼’하길래?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디자이너들은 기존의 자동차와 다른 조건 때문에 고민이 많았다. 일반 승용차보다 큰 엔진을 실으려고 뒷좌석을 없애야 했으며 속도를 빠르게 만들기 위해 차체가 낮고 넓게 생겨야 했다. 운전석의 모양, 앞유리의 각도도 달랐다.그런데 이런 가혹한 조건이 오히려 슈퍼카를 더욱 특별하게 만드는 ... ...
- 인터뷰. 육군사관학교 수학과 교수 박석봉수학동아 l2017년 06호
-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의사결정 능력이 중요합니다. 수학은 이런 능력을 함양하는 데 큰 역할을 하지요. 육군사관학교에서 생도들은 국방자료나 수학적 전투 모형을 학습해 군사 실무 능력을 기릅니다. 수학을 기초로 해서 미래 군의 리더가 되고 싶다면 주저하지 말고 육군사관학교 사관생도의 길을 ... ...
- [과학뉴스] 기계연, 움직임 자유로운 발목형 로봇 의족 개발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저렴하고 움직임이 자연스러운 발목형 로봇의족이 개발됐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이 개발한 발목형 로봇의족은 1.4kg으로 실제 발목과 비슷한 무게지 ... 로봇의족을 쓰고 싶어도 너무 비싼 가격 때문에 엄두를 내지 못했던 국내 환자들의 재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 [Future] 나노셀룰로오스의 세계, 나무 갈아 배터리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셀룰로오스로도 가능하다. 이 연구관은 “어떤 나무를 쓰든 크기나 회수율 등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고 말했다. 식물의 35~40%가 셀룰로오스인데다 사실상 식물이 지구 표면을 덮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나노셀룰로오스는 지구 상에 가장 풍부한 천연 고분자인 셈이다.만드는 방법은 크게 두 ... ...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그런데 쌍극자 모멘트를 갖는 기체(크롬, 에르븀, 디스프로슘 등. 단일 원소로서는 가장 큰 자기 쌍극자 모멘트를 가진 원소들로,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로 만드는 데 성공한 원소들이다)로 만든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는 다르다. 운동량이 높을 때 한 순간 에너지가 낮아지는 특이한 현상(로톤 ... ...
- Part 3. 암 치료, 두 가지 트렌드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암세포 표면에 있는 단백질에만 반응하는 단클론항체(하나의 항원에만 반응하는 항체)가 큰 항암효과를 보이고 부작용도 없다는 내용이었다. 암세포 표면에 있는 PD-L1 단백질은, 면역체계를 조절하는 세포에서 발현돼 암을 직접 공격하는 T세포의 PD-1 수용체와 결합한다. 그 결과 T세포의 기능을 ... ...
- [과학뉴스] 아마존 열대우림, 8000년 전 원주민들이 키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나무 등은 다른 나무들에 비해 5배 이상 더 많았지요. 자연스레 수를 늘린 것치곤 너무 큰 차이가 난 거예요.이에 연구팀은 아마존 안에 있는 3000개 이상의 고대 유적지와 나무의 분포를 비교해 봤어요. 고대 유적지를 통해 고대 사람들이 모여 살았던 지역을 알아낸 거예요. 그러자 더 많은 비중을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물을 거꾸로 흐르게 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땅을 뚫고 솟구치는 간헐천이나 아주 센 힘으로 하늘을 향해 던진 공처럼, 중력보다 큰 힘이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면 물체는 위로 솟아올라요.힌트 둘. 시간을 거꾸로 돌리는 착시?!가끔 영상을 보다가 빠르게 회전하는 프로펠러가 실제 방향과 반대로 도는 것처럼 느껴진 적 있나요? 바로 1/3 ... ...
- Part 5. 미래의 사이버그를 위하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정도로 얇고 유연하답니다.#사람들이 징그러워했던 우리 벌레들도 사람들을 돕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니 무척 뿌듯해! 역시 모든 생명체들은 저마다의 역할이 있나 봐! 앞으로 계속될 사이버그의 활약을 쭉 지켜봐 줘!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벌레야? 로봇이야? 사이버그(bug)가 온다 ... ...
- [Issue] 이게 맥주야? 커피야? 질소 커피의 인기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맛에는 원두, 로스팅, 온도 조절 등 모든 과정들이 관여해, 작은 변화도 맛과 향에 큰 변화를 줄 수 있다”며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질소 역시 맛 분자를 변화시킨다는 것이 정설이지만, 정확한 메커니즘은 밝혀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 ...
이전3423433443453463473483493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