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슈퍼카에서 하이퍼카로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달릴 때는 가솔린 엔진 대신 작동하다가 빠른 속도로 가속할 때는 가솔린 엔진을 도와 큰 출력을 내고 엔진 전체의 효율을 높인다.배기가스 규제로부터 자유로운 것도 장점이다. 슈퍼카는 엔진이 빠르게 동작하기 때문에 그만큼 배기가스가 많이 나온다. 1970년 배기가스 규제가 심해졌을 때 자동차 ... ...
- 인형뽑기 마스터의 길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다 뽑을 수 있다는 박예빈 씨도 처음에는 기자와 다를 바 없었다. 인형 한 개 뽑겠다며 큰돈을 투자했지만 하나도 뽑지 못하고 돌아왔다. 집에 돌아와 유튜브에 올라온 인형뽑기 영상을 보면서 공부했다. 뽑기 고수들은 단순히 뽑기 좋아 보이는 인형을 노리지 않고, 뽑을 수 있는 인형을 노린다는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최석정의 직교라틴방진이 보드게임으로! 1258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라틴방진을 n차 행렬로 표시합니다. n차 행렬이란 n×n 정사각형 안에 수나 문자를 쓴 다음 큰 괄호로 묶은 거예요. 따라서 1, 2, 5, 8을 이용해 라틴방진을 만들면 다음과 같이 행렬 A 또는 B로 나타낼 수 있어요. 이제 두 라틴방진을 합쳐야겠지요. 두 행렬의 원소가 만드는 서로 다른 순서쌍을 모두 모아 ... ...
- Part 4. [움직임] 사람의 움직임을 따라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뇌파는 실제 뇌파의 80~90%에 불과해요. 이 때문에 뇌파로 드론을 움직일 수 있지만, 큰 로봇을 정교하게 조절하기는 어렵다는 거지요.●전기전도도 : 전기가 통하기 쉬운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를 해결하기 위해 뇌에 직접 마이크로칩을 심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어요. 대뇌에 바늘 모양의 전극 칩을 ... ...
- [과학뉴스] 크리스퍼, 표적 외 다른 유전자에 변형 일으켜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유전자 치료에 혁명을 가져올 것으로 주목 받는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에 적신호가 켜졌다. 미국 스탠퍼드대 오믹스 연구실 켈리 새퍼 연구원팀 ... 찾기 위해 전체 유전자를 확인하지 않지만, 단일 뉴클레오티드 돌연변이 하나가 큰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말했다. doi:10.1038/nmeth.429 ... ...
- [Future] 건강한 전통? 생존의 문화? 흙 먹는 ‘토식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로보 아굴루는 건물과 그릇에 주로 쓰는, 강둑과 습지에서 나온 점토가 주성분이다. 큰 알갱이가 없고 질감이 부드러우며 시고 쓴 맛이 난다. 도시 외곽에서 찾을 수 있는 붉은개미와 흰개미의 집도 많이 먹는 것으로 확인됐다. 건조하고 부드러우며 신맛이 나지 않는다.연구팀은 이들이 흙을 먹는 ... ...
- [Issue] 때 아닌 ‘개 코’ 논란 사람도 개 만큼 맡는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연구 결과를 보면 포유류의 후각신경구에 있는 신경세포 수는 약 1000만 개씩으로 대부분 큰 차이가 없었다. 사람의 후각능력이 쥐나 토끼, 원숭이 등에게 결코 밀리지 않는다는 증거다.후각신경구의 크기가 서로 다른 데도 신경세포의 수가 같은 이유는 무엇일까. 맥건 교수는 “그저 (후각신경구를 ... ...
- [Photo] 문명의 대들보 철과 그 광물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만들게 된다.원자번호 26, 질량수 56인 철(양성자수 26+중성자수 30)은 결합력이 가장 큰 안정한 원자핵을 가지고 있다. 이런 이유로 철이 형성된 뒤에는 핵융합을 일으키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가 너무 커져서 더 이상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기 어렵다. 철은 거대한 별의 일생에서 마지막 종착역이자, ... ...
- [Culture] 치카우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젖병을 물리는 것이 적합한지 알지 못해, 귓구멍에 젖병을 꽂으려고 하다가 또 한 번 큰 위기를 겪기도 했다.그리고, 둘의 위기는 그것으로 끝이 아니었다. 아기가 우유를 먹을 만큼 충분히 먹은 후에도 다시 울기 시작한 것이다. 둘은 절망했다. 잠시 후 괴이하게도 자연스럽게 아기가 울음을 조금 ... ...
- [정수 남매의 가상인터뷰] 황제펭귄을 수호하라!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있지만, 장기적으로 도움이 안 된다고 합니다.우리 종족의 수가 줄어드는 가장 큰 이유는 기후 변화입니다. 이상 고온 현상으로 해빙(바다 얼음)이 너무 많이 녹으면서 주요 먹잇감인 크릴이 자취를 감추고, 최적의 번식 장소 또한 찾기 어려워지고 있지요.사실 해빙이 너무 작아도 문제지만, 너무 ... ...
이전3413423433443453463473483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