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행복의 기술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행복을 느꼈다고 고백했다.바로 이러한 행복의 주관적 요소가 행복을 연구하는
학자
들이 흔히 이야기하는 ‘몰입’(flow)의 상태일 것이다. 영화 ‘빌리 엘리어트’에서 광부의 아들인 빌리는 왕립 발레단 입단 시험을 보면서, 심사위원으로부터 “춤을 출 때 어떤 기분이 드는지” 질문을 받는다. ... ...
생명은 어떻게 진화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이번 러시아 자연사박물관전에서도 고생물학의 연구과정을 알 수 있는 ‘어린이 고생물
학자
체험교실’ 프로그램이 마련돼 있다.2008년 새해, 지구의 역사와 더불어 각 지질시대에 살았던 생물의 생태환경과 특징을 알고 싶다면 러시아 자연사박물관전을 관람해보자. 총 90여점의 크고 작은 진품 ... ...
시간 공장, 새해를 만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보람찬 시간이에요.이용복 교수하늘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시간을 연구하길 좋아하는
학자
입니다. 저에게 1초는 하루마다 다른 의미입니다. 어제는 그저 아무 의미도 없이 지나갔었지만 오늘은 연구에 영감을 주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른 귀중한 시간이었지요. 내일은 또 어떤 시간이 될지 ... ...
주방이 '실험실'인 분자요리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 에르베 티스, 『분자요리』중에서-1988년 프랑스 화
학자
에르베 티스와 헝가리 물리
학자
니콜라스 쿠르티는 요리의 물리·화학적 측면에 대한 국제 워크숍을 준비하던 중 이 분야에 적합한 이름을 짓기로 했다. 에르베 티스가 ‘분자요리’(Molecular Gastronomy)라는 용어를 제안하자 니콜라스 쿠르티는 ... ...
tRNA 결정에서 풀어낸 입체 구조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뛰어들었다. 그런데 단백질과는 달리 tRNA는 결정 자체가 만들어지지 않았다. 많은 과
학자
들의 숱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tRNA를 결정으로 만드는데 번번이 실패했다. 김성호 교수는 “결국 사람들은 뉴클레오티드를 연결하는 인산기의 음전하가 분자 표면에 분포하면서 tRNA 분자가 서로 밀치기 때문에 ... ...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고추에 빠져있다고 할 만 하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날까?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심리
학자
폴 로진 교수는 고추의 매운맛으로 인한 통증은 예측이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즉 처음 고추를 먹으면 그 얼얼함에 깜짝 놀라지만 몸에 별탈이 없다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그 뒤에도 안심하고 ... ...
신물질을 디자인합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1991년 일본전기회사(NEC)의 이지마 스미오 박사가 탄소나노튜브를 발견한 뒤 많은 물리
학자
들이 탄소가 아닌 다른 원소로 나노튜브를 만드는 시도를 했다. 그리고 3년 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연구팀이 탄소나노튜브보다 우수한 특성을 가진 질화붕소나노튜브를 이론적으로 발견한 뒤 합성에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분비되는 액체로 질의 산성을 중화시킨다 이 액체가 분비되는 장소와그 역할을 해명한
학자
의 이름을 따 쿠퍼선액이라 부른다 여성의 질은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해 산성을 띠고 있다맨눈으로 관찰하면 한 개의 별로 보이지만 천체망원경 같은 광학기로 보면 두 개 이상으로 보이는 별을 이중성이라 ... ...
생명 2.0시대 오는가?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생물
학자
들의 질문이 달라지고 있다. 그동안 '생명은 어디에서 오는가'라는 물음에 매달렸다면 이제 '생명을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라고 묻고 있는 것. 지구에서 자연스럽게 진화한 버전 1.0 생명체를 연구하는 시대는 가고 인간이 직접 만든 게놈으로 새로운 생명체를 창조하는 '생명 2.0' 시대가 ... ...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균주를 만들어 지구온난화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겠다는 계획을 밝혔다.과
학자
들은 일부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서는 생각이 다를 수 있지만 원론적인 측면에서는 그에게 공감하고 있다. 생명유지에 꼭 필요한 유전자만 갖춰 세포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크게 줄이고, 원하는 ... ...
이전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