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운동량 체크하고 걸음법까지 보정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005년 8월 미국 워싱턴대의 고고
학자
에릭 트린커스 교수는 고고학저널(JAS)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 인류가 수만 년전 튼튼한 신발을 신으면서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이 해부학적으로 약해졌다고 주장했다. 인간의 발은 정말 약해졌을지 모른다. 맨발로 집 밖을 나가는 일은 상상만 해도 차고 ... ...
PART1 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최초의 요리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S라인을 가질 수 있게 태어난 셈이다. 다만 이를 실현하는 건 개인의 몫이다.영장류
학자
하버드대 리처드 랭햄 교수요리가 인류 진화의 원동력이었다는 가설을 제시한 하버드대 인류학과 리처드 랭햄 교수와 관련 분야의 현황과 최근 연구결과에 대해 e메일 인터뷰를 했다.Q_150만년 전 인류가 최초로 ... ...
헬리콥터 100년史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것이 많고 밀착용 인화지는 염화은을 주로 함유한 유제가 사용된다헝가리 출신의 미국 수
학자
인 노이만(J L von Neumann)이 제시한 원리에 따라 만들어진 컴퓨터 노이만은 1946년, 현재의 컴퓨터와 같이 기억장치에 컴퓨터의 명령과 수치를 함께 기억시키는 이른바 내장방식(stored program)을 제안했는데, ... ...
천문
학자
의 '청계천 연가'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최진호 이화여대 나노과학부 교수 등이 청계천을 자주 찾던 과
학자
들이다. 또 국내 천문
학자
들이 전파망원경을 완성하는 과정도 청계천에서 시작됐다. 그들의 발자취를 쫓아가보자.청계천 대한민국 과학실험장비 1번지 청계천 3가에서 4가 쪽으로 가다 보면 세운교가 있다. 복원공사를 마친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달달 외워서라도 시험에 통과하고 싶은 심정이다.18세기 영국의 물리
학자
이자 화
학자
인 존 돌턴과 한국을 대표하는 만화가 이현세의 공통점은? 바로 색각장애를 지녔다는 점이다. 돌턴은 빨간색과 초록색을 잘 구분하지 못하는 적록색맹이었고, 이현세는 색약 때문에 미대 진학을 포기했다고 말한 ... ...
크리스마스 밤하늘 장식하는 '전구별'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사이의 정확한 거리(약 300만 광년)가 처음으로 측정됐다. 청각 장애를 극복한 두 천문
학자
의 100년을 뛰어넘는 업적으로 우주가 그동안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크다는 사실이 밝혀진 셈이다.이달의 천문현상지구에 가장 가까이 다가오는 화성 올해 크리스마스에는 붉은색 ‘전구’ 하나가 밤하늘을 ... ...
12월이 빨리 지나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뇌가 반응할 때, 대뇌피질 세포들이 반응하는 속도가 다른 것을 나타낸다. 미국 뇌과
학자
워렌 메크는 “특정한 사건들은 다양한 길이로 머리에 저장된다”며 “뇌 속에 시간을 재는 수많은 시계(시간간격 시계)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뇌의 보조운동영역과 전두엽, 소뇌 같은 영역엔 각기 ... ...
넷째 손가락 길면 수학 잘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수학을 더 잘했대요. 집게 손가락이 더 길거나 비슷한 어린이는 영어를 더 잘했어요. 과
학자
들은 아기가 자궁에서 자랄 때 남성호르몬에 더 많이 노출되면 넷째 손가락이 더 길어지면서 수학과 관련된 뇌가 더 발달한다고 설명해요. 그러나 이 연구만을 놓고 넷째 손가락이 더 길면 수학을 잘한다, ... ...
티라노는 느림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몸무게가 6~8톤에 달했다고 말했어요. 뛰는 속도도 빨라야 40㎞라고 해요. 예전에 일부
학자
들은 티라노사우루스가 3~4톤이며 시속 60㎞ 이상 빠르게 달렸다고 주장했어요. 그러나 허친슨 박사는 티라노사우루스가 큰 몸집 때문에 몸을 45도 돌리는데도 2초 이상 걸려 재빠른 먹잇감을 잡아먹지 못했을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핵융합이라고 들어 봤지? 물에서 나온 수소를 핵융합시켜 전기를 얻는거란다.”과
학자
들은 2026년이 되면 핵융합 기술이 개발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핵융합 기술을 이용해 발전소를 지으면 물만 있어도 인류가 영원히 쓸 수 있는 에너지가 나온다. 태양을 비롯한 모든 별은 바로 핵융합을 이용해 ... ...
이전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