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알고 보니 '젊은' 서부 그랜드 캐니언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00여 년 전 그랜드캐니언을 처음 탐사한 지질
학자
존 웨슬리 파웰이 ‘위대한 미지’라고 불렀던 그랜드캐니언의 비밀이 벗겨졌다. 미국 뉴멕시코대 라이언 크로우 박사팀은 서부 그랜드캐니언이 72만 5000년보다 젊은 지층이며 4회 이상의 용암분출과 하천의 복합작용으로 만들어졌다고 미국 ... ...
사랑과 절망이 낳은 명작 모딜리아니展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예술적 동지였던 잔의 작품을 만날 수 있다. 그림은 욕망을 숨기지 않는다심리
학자
는 인간의 감정 상태를 면밀히 관찰한 뒤 심리를 파악한다. 정확한 진단과 평가가 내려지면 인지행동치료나 정신분석치료, 연극치료, 음악치료로 환자의 마음을 어루만진다. 최근 환자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 ...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멘토’답게 바로 본론으로 들어간다. “전공을 살려 대학원에 들어갈까 해요.”재료공
학자
가 되겠다는 대답에 한 박사의 얼굴에 흐뭇한 미소가 번진다. 미래전략연구그룹을 이끌고 있는 한 박사는 WISE가 멘토링 프로그램 참여를 부탁했을 때 흔쾌히 수락했다. 우리나라 젊은이들이 갈수록 ... ...
“내 아기를 부탁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유명한 뻐꾸기와 쌍벽을 이룰 나비의 생태가 밝혀졌습니다. 덴마크 동물
학자
데이비드 내시 박사는 유럽산 잔점박이푸른부전나비가 자신의 애벌레를 개미가 키우도록 한다는 사실을 알아 냈어요.이 나비가 습지의 풀 위에 알을 낳으면 습지를 돌아다니던 개미는 그 알을 자신의 알로 착각하고 ... ...
명작으로 다시 보는 쥐 요건 몰랐'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그래서 미로를 이용해 지능과 학습 능력을 실험하는 데 많이 이용된다. 미국의 생명과
학자
챈스와 미드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굶주린 쥐를 먹이와 이상한 물건들이 가득 차 있는 미궁 속을 달리도록 실험을 했을 때, 처음에는 쥐들이 음식 쪽으로 발길을 움직였으나 잠시 뒤에는 음식을 포기하고 ... ...
우리은하 향해 돌진하는 거대한 가스구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수소가스 덩어리로 1963년 네덜란드의 천문
학자
게일 스미스가 처음 발견했다. 천문
학자
들은 스미스구름이 우리은하나 이웃 은하가 탄생할 때 떨어져 나왔으며 태양 같은 별 수백만 개를 만들 수 있을 만큼의 수소를 갖고 있다고 추측했다. 그러나 그동안 이 구름의 정확한 크기나 이동방향에 ... ...
해충 바퀴가 해충 제거에 유용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사랑받게 될지도 모른다.지난 1월 7일 미국 사이언스데일리는 미국 농업연구청 곤충
학자
밥 판넨스틸이 바퀴벌레가 콩과 목화의 잎을 공격하는 해충의 알을 먹어 치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보도했다.판넬스틸 박사는 수년간 나비목 해충들의 알을 먹는 포식자에 관한 연구를 해오다 2006년 여름, ... ...
사형용 '죽음의 칵테일' 시험대 올라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접하는 온대 북부지역에 서식한 것으로 추정되는 화석거상(化石巨象)1927~ 미국의 생화
학자
플로리다 대학, 미시간 대학 졸업 후 1957년 미국립보건연구원(NIH)에 들어갔다1961년에 시험관 내에서 단백질 합성에 성공하여 유전정보 해독에의 생화학적 접근의 길을 열었다1964~65년에는 H G 코라나(Khorana)와 ... ...
EPISODE2 판게아 프록시마 원정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않고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2007년 1월 9일 미국의 뉴욕타임스는 미국 텍사스대의 지질
학자
크리스토퍼 스코티즈 교수가 추정한 2억 5000만 년 뒤 나타날 초대륙의 새로운 버전을 소개했다. 스코티즈 교수가 제시한 초대륙은 지금까지 제시된 모델과 달리한반도가 초대륙의 동쪽끝에 붙어 있다. ... ...
인간광우병 공포 누그러뜨린 프리온 발견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발판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과학 지식의 틀에 맞지 않는 새로운 아이디어에 대해 과
학자
들이 회의적인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지만, 최고의 과학은 현재의 패러다임과 맞지 않는 결과들을 주의 깊게 모아놓은 상황에서 튀어나옵니다.”터무니없는 짓을 한다며 연구비가 끊기는 경우가 ... ...
이전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