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돌기"(으)로 총 417건 검색되었습니다.
- 3D프린트로 뽑아낸 비밀의 뇌 신경세포동아사이언스 l2017.11.12
- 3 등 세 가지가 알려져 있는데요. 연구팀은 일반적인 모양을 하고 있는 신경세포의 수상돌기 끝에 들어있는 뉴렉신(neurexin) 단백질과 대뇌피질 속 성상교세포에서 생성된 뉴로리긴족 단백질이 반응하면 새로운 성상교세포의 형상으로 변한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연구팀은 또 대뇌피질의 ... ...
- 긴 몸을 꿈틀꿈틀! 뱀 로봇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10.30
- 김정 기자 제공 비법 ➋ 좌우 균형을 잘 맞춰라! “어? 뱀 로봇이 제자리에서 빙글빙글 돌기만 해요!” 뱀 로봇을 완성한 뒤 전원을 연결했지만, 일부 뱀 로봇은 제대로 움직이지 않았어요. 브래드보드에 전기 부품을 모두 정확히 꽂았는데도 이런 현상은 계속됐지요. 알고 보니 뱀 로봇의 좌우 ... ...
- 아이폰7의 1년, 그리고 앞으로의 아이폰2017.09.02
- 최호섭 제공 아이폰의 카메라는 늘 만족스럽다. ‘사진은 아이폰’이라는 말이 유행처럼 돌기도 했고, 미국에서도 비슷한 의미로 ‘아이포노그래피(iPhonography)’라는 신조어도 생겨났다. 지금이야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카메라들이 매우 좋아지면서 아이폰보다 좋다는 평가를 받는 기기도 많지만 ... ...
- 식물과 두뇌의 성장이 유사하다?과학동아 l2017.08.10
- 같은 모양을 공유한다는 성질이다. 이전 연구에서 연구팀은 뇌 신경세포의 수상돌기와 축삭이 뻗은 모양도 같은 함수로 표현할 수 있으며, 특성 역시 같다는 사실을 밝힌 바 있다. 두 연구에 모두 참여한 찰스 스티븐스 연구원은 “뉴런과 식물의 가지가 이처럼 유사한 수학 규칙을 따라 자라는 ... ...
- 치매 등 퇴행성 뇌질환 초기 치료법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7.07.17
- 뉴런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뉴런의 세포막을 공급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하는 수상돌기 특이적 골지체에 변형 등 이상이 생기면, 뉴런도 구조적으로 변형이 일어나면서 퇴행성 뇌질환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환자의 뉴런에서 CrebA 유전자를 과발현시킬 경우, 병든 뉴런을 회복시킬 ... ...
- 멸종위기 곤충을 보존하라!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7.07.12
- 제공 ●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에서 만난 알록달록 애벌레 주황색 몸에 검은 반점과 돌기가 특징인 꽃술재주나방 애벌레예요. 8~10월에 신나무를 관찰하면 사진처럼 몸을 동그랗게 말아 반원을 만들고, 머리와 꼬리 부분을 아래로 늘어뜨린 채로 나뭇가지에 매달려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답니다. - ... ...
- 연잎처럼 물에 오래둬도 젖지 않는 기술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7.06.22
- 비가 와도 연잎이 젖지 않는 이유는 표면이 거칠기 때문이다. 표면에 무수한 미세 돌기가 있어 물방울과 표면 사이에 미세한 공기층을 만든다. 하지만 장시간 물 속에 두면 공기 분자가 물에 녹아들어가며 차츰 초발수 특성을 잃게 된다. 연구진은 연잎에 공기층을 한층 더 덧대 장시간 안정성을 ... ...
- [팔라우에서 온 힐링레터] 바다의 마술사 ‘문어’를 본 적이 있나요?2017.06.18
- 수 있다. 주변의 산호초, 바위, 모래 등의 색으로 피부색을 변화시킨다. 더러는 몸에 돌기를 이용해 피부의 모양도 바꾸기도 한다. 문어는 제법 똑똑하다. 자신의 위장술을 이용해 천적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도 하지만, 사냥할 때도 활용한다. 마치 산호의 일부인 것처럼 산호 위에 앉아 있다가 ... ...
- 문어 빨판처럼 물 속에서도 찰싹 달라붙는 소재, 세계 최초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7.06.15
- 수분을 밀어낸다. 이때 수분의 일부는 표면장력으로 인해 내부로 들어와 구형 돌기와 돌기 주변 사이 공간으로 모여든다. 부착을 위해 가했던 힘을 빼고 나면 표면과 흡착판 내부 사이의 공간이 진공 상태로 변해 높은 흡인력이 생긴다. 연구진은 이 구조에 착안, 탄성이 좋은 고분자를 이용해 ... ...
- [카드뉴스] 공포의 기억, 지워버릴 순 없나요?동아사이언스 l2017.05.21
- 축색돌기와 편도체 안에 있는 신경세포 사이인 편도체 시냅스입니다. 신경세포의 축색돌기 끝에 신경전기신호가 전달되면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가 나옵니다. 이에 다음 신경세포 막에 있는 글루타메이트 수용체가 결합해 세포 밖의 양이온을 안으로 가져오면 신경전기신호가 발생합니다.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