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융기
도상체
돌출부
돌출
가장자리
장식돌기
회전
뉴스
"
돌기
"(으)로 총 41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양이 혓바닥이 까끌까끌한 이유
2018.12.25
모방한 빗’이 등장하지 않을까. 페르시아고양이처럼 털이 긴 품종은 혀로 핥을 때
돌기
가 피부까지 닿지 못해 털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 고양이 혀를 모방한 빗이 나온다면 주인들이 수고를 꽤 있을 것이다. 위키피디아 제공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 ...
‘꽃잎 지는 원리’‘기억의 장소’규명…올해를 빛낸 생명과학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서울대 교수팀이 새로 개발한 화학 탐지 기법으로 시냅스를 구분했다. 빨간색 수상
돌기
위에 있는 노란색 지점이 기억저장 시냅스가 있는 곳이다. 왼쪽은 관측 이미지, 오른쪽은 3차원 모델링 이미지다. -사진 제공 서울대 생명과학과 다른 분야의 공동연구를 다루는 바이오융합 부문에서는 실용적인 ... ...
헌팅턴병 초기 발생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3
관련이 깊다. 이들 단백질이 병 초기에 신경세포 수상
돌기
를 변형시키는 것도 헌팅턴병과 비슷한 점이다. 향후 이들 퇴행성 뇌질환들에 대한 연구에도 폭넓게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 11월 6일자에 발표됐다 ... ...
뇌연구원, 퇴행성뇌질환 치료물질 보로노이에 기술이전
동아사이언스
l
2018.11.26
반응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확인했다. 기억력에 관여하는 수상
돌기
의 가시(신경세포 수상
돌기
표면에 돌출된 구조) 형성을 증가시킨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연구진은 시판 중인 희귀질환 치료제를 이용해 안전성을 검증할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였다. 일반 신약개발은 연구 착수부터 임상까지 ... ...
[표지로 읽는 과학] 신경세포 분류학 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3
모양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삼각형 모양의 신경세포체를 중심으로 축삭과 수상
돌기
가 아래와 위로 뻗어 있는 피라미드 신경세포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이제는 유전자에 근거해 보다 명확하게 신경세포의 종류를 분류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보실카 타직 미국 앨런뇌과학연구소 ... ...
[화보]독도엔 누가 살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0.25
볼 수 있다. 용치놀래기 - 사진 김지현 박사 저울베도라치 머리 위에 뿔처럼 생긴
돌기
가 있어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저울베도라치 - 사진 김지현 박사 문어 독도에서 만난 이 문어가 긴 다리를 뻗어 카메라를 움켜 잡았다. 빨판을 붙여 끌어당기는 힘이 얼마나 세던지, 하마터면 ... ...
치료후 몸 속에서 '스르륵'…저절로 녹는 전자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21
신경세포의 활성도가 높아지면 신경세포에서 신호를 다른 신경세포에 전달하는 ‘축색
돌기
’의 분화가 빨라져 신경 재생을 돕는 돕는다. 하지만 기존 잔자약은 수술이 필요해 부작용 위험이 컸다.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머리카락 굵기의 신경을 전선으로 감아야 하는데, 치료 뒤 전선을 ... ...
[표지로 읽는 과학]위장술 끝판왕 갑오징어 뇌를 연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0
일부 실험에서 뇌의 명령을 피부에 전달하는 운동 신경을 차단해도 갑오징어가 피부의
돌기
를 바위처럼 바꾸는 위장술을 1시간 이상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 피부색의 변화 패턴을 먼저 확인한 다음, 오징어의 뇌의 신호 변화를 역추적하는 방법이 고안됐다. 피부가 변신하는 과정에서 뇌 ... ...
[이강운의 곤충記]소리로 짝을 찾고, 소리 때문에 죽는다. 땅강아지!
2018.10.05
청날개애메뚜기(삽사리과)는 뒷다리에 마찰판의 기능을 하는 짧은 못처럼 생긴
돌기
들을 앞날개에 비빈다. 풀무치(메뚜기과)는 반대로 앞날개 마찰판을 뒷다리로 비벼 소리를 내어 암컷을 유인한다. 특별한 발성 기관이 없이 뒷날개와 앞날개를 부딪쳐 따다다다닥 소리를 내는 방아깨비도 ... ...
올 한가위 보름달 24일 저녁 6시19분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8
보름달 크기도 그때그때 다르게 보인다. 이 역시 달이 지구 주위를 타원 궤도로
돌기
때문이다.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가 가까우면 달이 커 보이고 멀면 작게 보인다. 이번 추석 보름달이 보이는 24일 저녁 지구와 거리는 39만6000㎞로, 평균 거리인 38만4400km보다 1만1600㎞가량 멀다. 기상청은 추석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