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융기
도상체
돌출부
돌출
가장자리
장식돌기
회전
뉴스
"
돌기
"(으)로 총 417건 검색되었습니다.
좁은 틈도 문제없다…근육 닮은 초슬림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5.07.24
움직이며 작은 힘을 차곡차곡 모아 큰 이동을 만들어 낸다. 로봇이 구부러진 상태에서도
돌기
만 이용해 애벌레처럼 기어갈 수 있다. 표면은 위, 아래, 옆 등 6가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속도와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연구팀은 다양한 실험을 통해 기술 성능을 검증했다. 물체를 ... ...
6배 정밀해진 '3D 뇌 모사 플랫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16
안정성을 위해 고점도 바이오잉크를 사용한다. 고점도 잉크는 신경세포 증식과 신경
돌기
성장을 제한한다는 문제가 있다. 저점도 하이드로겔은 신경세포에 친화적이지만 정밀한 패턴 형성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묽은 젤(하이드로겔)로 정교하면서 안정적인 뇌 모사 플랫폼을 ... ...
[동물do감] 집게발 털 많은 소라게는 왜 대담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7.04
환경의 안전성을 살핀다. 센실라는 곤충이나 무척추동물에 있는 감각기관으로 털이나
돌기
형태로 존재한다. 소라게의 센실라는 털 형태로 포식자를 비롯한 주변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집게발에 센실라가 많이 분포한 소라게일수록 ‘놀람 반응’에서 빠르게 회복한다는 점을 ... ...
포식자 '티라노사우루스' 새 종 발견…공룡 왕 진화 연구 새 국면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369개의 해부학적 특징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칸쿠울루는 코뼈에 낮고 울퉁불퉁한
돌기
가 있고 어깨뼈 윗부분에 함몰이 있는 등 알렉트로사우루스와 형태가 다른 부분이 많았다. 수천만 년 동안 이뤄진 티라노사우루스류 진화는 3단계로 나뉜다. 작고 민첩한 원시형, 몸집이 커지고 두개골과 다리 ... ...
진짜 뇌 같은 3D프린팅 인공 뇌 개발…알코올 주입하자 치매유발 단백질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6.11
것이 핵심이다. 회백질은 신경세포의 본체가 모여있는 영역이고 백질은 신경세포 축삭(
돌기
)들이 정렬돼 위치하는 정보 고속도로 같은 영역이다. 연구팀은 BENN 모델이 실제 뇌처럼 작동하도록 전기자극을 가해 신경세포들이 정해진 방향으로 길게 자라도록 유도했다. 신경세포들이 자연스럽게 ... ...
직각 소용돌이? '피카소 달팽이'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6.07
대표 화가인 피카소의 이름을 붙였습니다. 또 A. 피카소는 등껍질 입구에 이빨 같은
돌기
도 가지고 있습니다. 일부 종은 입구가 위쪽이나 아래쪽을 향해 나 있기도 하죠. 이는 포식자가 등껍질 안쪽까지 쉽게 침범하지 못하도록 하는 독특한 구조입니다. 한편 연구팀이 분석한 A. 피카소의 등껍질 ... ...
"알츠하이머 원인 단백질 잡는다"…새로운 억제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6.02
구조 변화가 필요하다. 응집 억제가 제대로 된 힘을 발휘하려면 자물쇠의 홈과 열쇠의
돌기
처럼 서로 모양이 잘 맞아야 하지만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과 펩타이드 응집 억제제의 경우 비정형의 구조를 갖고 있어 서로 결합하는 힘이 약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비정형 ... ...
기적의 항암제 'CAR-T', 건망증·집중력 저하 일으킬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5.13
샘플을 사용해 CAR-T 치료 후 쥐에서 관찰했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미세아교세포와 희소
돌기
아교세포의 조절 장애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두뇌 안개 현상을 완화하는 약물을 사용하면 CAR-T 항암제 치료 후 환자가 더 빠르게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고 설명했다. ... ...
환각제 LSD, 원자 2개 바꾸니 조현병 치료제 후보로
동아사이언스
l
2025.04.15
합성 분자인 JRT를 만들었다. 쥐 실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 JRT는 LSD처럼 대뇌 피질에서 수상
돌기
척추 밀도를 증가시키고 시냅스 생성을 촉진했지만 쥐에게 LSD를 투여했을 때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환각과 유사한 행동은 없었다. 일반적으로 LSD를 투여했을 때 촉진되는 조현병 관련 유전자 발현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1㎣ 생쥐 뇌에 담긴 우주
동아사이언스
l
2025.04.12
존재하는 것이 확인됐다. 축삭은 뉴런에서 전기 신호를 다른 세포로 전달하는 가느다란
돌기
다. 연구팀은 이어 동일한 뇌 조직을 전자현미경으로 분석해 개별 뉴런의 위치와 형태, 연결망을 재구성했다. 기록된 뇌 활동 영상에서 얻은 데이터와 빈틈없이 일치시켰다. 뇌의 구조와 활동 데이터를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