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융기
도상체
돌출부
돌출
가장자리
장식돌기
회전
스페셜
"
돌기
"(으)로 총 7건 검색되었습니다.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7.02.03
속 시냅스를 모방한 반도체 소자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인간의 뇌 속 시냅스는 2개의
돌기
(소자의 전극에 해당)로 신호를 주고받으며, 신호의 잔상을 남겨 기억을 저장한다. 뇌는 이 같은 시냅스 시스템을 바탕으로 적은 에너지로도 고도의 병렬연산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인간의 뇌 속에서 ... ...
우리보다 한발 앞선 스위스 그림젤 연구소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1.04
영원히 처리하는 방법을 연구해 오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원전의 터빈이
돌기
시작한지 30년이 넘은 2008년에서야 방사성폐기물관리법을 만드는 등 더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올해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를 통해 방사성폐기물 영구처리시설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앞으로 갈 길이 ... ...
기억을 잃는다는 것
KISTI
l
2015.10.24
신호를 받는 수상
돌기
, 다른 세포에 신호를 전달하는 축삭
돌기
로 이뤄져 있는데 두 신경
돌기
가 서로 맞닿아 신호를 주고받는 부분이 시냅스다. 문제는 새 뉴런이 기존 뉴런을 대체하면서 기존의 뉴런과 연결돼 있던 시냅스들이 끊어질 가능성이 있고, 이 과정이 기억을 저장하는 해마에 영향을 ... ...
손목에 차고만 있어도 전기가 생긴다?
KISTI
l
2015.06.09
표면에 수천 개의 작은
돌기
를 만들었다. 말하거나 팔을 구부리는 행동을 할 때 이
돌기
와 마찰을 일으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압전 기술에 비해 조 교수의 열전 소자 기술과 싱가포르국립대 연구진의 마찰전기 기술은 웨어러블 기기에 더 적합하다. 그러나 조 교수의 기술은 입고만 있어도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는가?
IBS
l
2015.03.26
말하면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는 이유는 지구를 둘러싼 입자들이 태양 주위를 뱅뱅
돌기
때문에 지구가 이러한 흐름에 휩쓸려 같이 움직인다는 것이다. 데카르트의 소용돌이 이론은 지금에야 역사서 한 켠에서나 언급될 정도로 버려진 이론이지만, 기묘한 방식으로 살아남아 명맥을 유지했다. 바로 ... ...
엔지니어들이 꼽는 위대한 스승, 자연
KISTI
l
2013.05.22
동물에게서 얻은 지혜가 적용됐다.혹등고래는 이름 그대로 등과 지느러미에 혹과 같은
돌기
가 잔뜩 나 있다. 물속에서 생활하는 동물이라면 물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피부가 매끈해야 할 것 같은데 이처럼 울퉁불퉁한 표면을 지닌 이유가 무엇일까? 혹등고래 앞지느러미의 앞쪽에 난 작은 ... ...
자연에게서 배운 인간의 수강 이력
KOITA
l
2013.05.14
동물에게서 얻은 지혜가 적용된다. 혹등고래는 이름 그대로 등과 지느러미에 혹과 같은
돌기
가 잔뜩 나 있다. 물속에서 생활하는 동물이라면 물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피부가 매끈해야 할 것 같은데 이처럼 울퉁불퉁한 표면을 지닌 이유가 무엇일까? 혹등고래 앞 지느러미의 앞쪽에 난 작은 ...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