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버릇
관습
관례
풍습
습성
기벽
성질
어린이과학동아
"
습관
"(으)로 총 357건 검색되었습니다.
뉴턴, 아인슈타인과 함께 보낸 한달 국립과천과학관 스토리텔링대회에 참여하게 된 이야기(ing)
기사
l
20140903
하냐? 개미에 비하면 넌 우사인 볼트다.앗 이것이 상대성이론인가? 막 이러고 있답니다. 온통 두 과학자의 법칙에 연관해서 생각하는
습관
이 생겼어요. 오늘 제가 곰곰이 생각해봤는데.. 사실 투덜대고는 있지만 저는 점점 이 두 과학자에게 마음을 뺏긴 것 같습니다. 아직 무지하게 긴장될 프레 ...
식중독 Go~~ 식중독은 멀리 떠나자
기사
l
20140730
자, 그러면 이 무시무시한 식중독을 에방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1. 자주 손씻기 많은 세균이 사는 손을 자주 씻는
습관
으로 식중독의 50%를 예방 할 수 있습니다. 2. 아까워도 버리기 쉰맛이나 냄새가 나지 않더라도 상온에 오래 배치된 음식은 과감히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3. 냉동식품의 해동 음식을 조리하기 전 얼린 ...
섭섭박사님이 전수해주신 글쓰기 비법
기사
l
20140720
문장도 마찬가지이다. `구들장이 뜨겁게 되어집니다.`를 ~구들장을 뜨겁게 달굽니다.`로 바꾸어 쓸 수 있다. 외국 말버릇은 않좋은
습관
이다.비법 제 5장! (반복하지 말고, 간결하게 써라) 비법제 3장에서처럼 똑같은 단어나 문장을 반복하게 되면 글이 꼬이게 된다.또, 글을 멋지게 보이려고 길게 쓰는 경우가 있는데 오히려 그 정반대다.글은 간결 ...
서대문 자연사 박물관을 다녀오다!
기사
l
20140604
바꾸지 못하고 있다. 이러다가는 어느날 자신이 안써야지라는 생각 없이 강제적으로 쓰지 못하게 되는 날이 올 것이다. 생활
습관
을 바꾸지 못한다고 하면 우리가 빨리 바꿀 수 있는 것들. 지구를 더럽히는 그냥 아무데나 쓰레기를 버리는 것은 줄이면 지구를 조금 더 살릴 수 있을 것이다. -휴.. 드디어 끝이 났네요... 쓰다가 코피 ...
나의 잠
습관
이 내 성격을 좌우한다! *잘 살펴보세요. *(출처:대교눈높이)
포스팅
l
20140320
나의 잠
습관
이 내 성격을 좌우한다! *잘 살펴보세요. *(출처:대교눈높이) ...
몸 튼튼, 마음도 튼튼! 건강한 식생활
습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013
그동안 ‘식품의약품안전청과 함께하는 어린이 영양교육 캠페인’을 통해 건강한 식생활
습관
을 갖게 되었나요? 그렇다면 마지막으로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이 건강한 식생활을 얼마나 실천하고 있는지 한번 알아볼까요? * 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 20호(2011년 10월15일 발행)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사막이라도 괜찮아~! 낙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0609
살 수 있는 두 번째 비결! 타고난 신체조건도 중요하지만 음식을 가리지 않고 먹는 식성도 중요하단다. 먹을 게 부족한 사막에서는 식
습관
이 생존의 필수요소거든. 물론 초식동물이기에 동물이나 벌레를 잡아먹진 않지만, 가시가 잔뜩 나 있는 거친 식물을 잘 먹을 수 있어. 가리지 않고 잘 먹는 타고난 식성 낙타가 사는 곳은 사막이라 물도 부족하지만 먹 ...
초강력 거미줄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090514
수도 있단다. 이 때 키가 잘 크는 음식을 먹고 운동을 하면 서현이를 따라 잡을 수도 있겠지. 하지만 지금부터라도 밤에 일찍 푹 자는
습관
을 들여야 키가 조금씩 크지 않겠니?” “그런데 애들은 성장판이 닫혀서 더 이상 크지 않을 거래요.” “성장판은 성호르몬이 나오기 시작하며 닫히기 시작해. 대개 사춘기와 2차 성징이 시작되는 시기가 비슷한데, ...
백두대간 종단 열차를 타다!(2)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111
있나요?” “보시다시피 경치를 구경하면서 볼일을 보고 있어요. 우리 동물들은 경치 좋은 곳에 와서 기분이 좋아지면 똥을 누는
습관
이 있어요. 뭐, 동물학자들은 그런 우리 똥과 발자국을 보고 조사를 한다더군요. 당신들도 그래서 왔지요?” “맞아요. 그런데 질문이 있어요. 어떤 점이 좋아서 백두대간에서 사나요?” “백두대간은 동물에게는 정말 중요한 ...
소금 법정 대소동(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013
합니다. 1998년에 비해 2005년에는 모든 연령층에서 소금 섭취량이 늘어났다. 점점 짠맛에 길들여져 더욱 더 짠맛을 선호하는 음식
습관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소제시작]첫 번째 변호인 : 생물학자 소금이 없으면 생물도 없다[소제끝] 저는 지금 이 사태가 너무나도 걱정스럽습니다. 소금을 없애 버려야 한다니요? 그건 말도 안 되는 소리입니다.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