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마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하마는 현재 아프리카의 여러 곳에서 살고 있으나 옛날에는 유럽에서도 서식했던 흔적이
남아
있다. 유럽의 여러 지역에서 가끔 화석이 발견되는 것이다.볕이 뜨거울 때는 온종일 물속에서 사는 하마지만 그렇다고 수중생활의 전문가는 아니다. 눈과 콧구멍이 높이 돌출한 점은 개구리와 흡사해 ... ...
금이 없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양이라도 바다로 흘러들어간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바다 속의 물질은 물속에 영원히
남아
있지 않는다. 바다의 얕은 부분이 마르면 염전이 남는데 여기에는 주성분인 소금외에도 분해된 모든 유형의 물질이 포함되어있다. 이렇게 가끔씩 메마르고 없어져가는 동안 해수(海水)속의 금을 포함한 모든 ... ...
PARTⅡ 최고의 명예와 상금 걸린 노벨상 수상자 어떻게 결정되나?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발생학자인 이반즈(1882~1974)가 노벨상에서 제외된 것은 아직도 이해할 수 없는 일로
남아
있다. 그는 내분비학을 하나의 학문으로 정착시켰으며 불임방지효과가 있는 비타민E를 발견한 공적이 있다. 이반즈의 업적은 높은 평가를 받아 33세의 젊은 나이에 미국 과학아카데미회원으로 선출됐고 줄잡아 ... ...
제작술보다 한발 앞선 보존술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7권이 인쇄·제작되었다. 그 인본 중 40권이 지금 일본의 나라(奈良) 도다이지(東大寺)에
남아
있다. 그것은 송판본(宋板本)을 그대로 모각한 것이 아니고, "자체(字體)는 송판본 보다 청아(淸雅) 단정(端正)하다"고 김두종씨는 평가했다.송판본의 아름다움에 끌려 그런 인쇄본을 갖고 싶어했던 고려의 ... ...
사설 단체의 탐사선이 달에 간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되었으니 도랑치고 가재잡은 격이다.이제 루나 프로스펙터에게는 마지막 고민이
남아
있을 뿐이다. 누가 이 탐사선을 달까지 태워다 줄까. SSI 임원들은 미국의 아틀라스, 타이탄로켓, 유럽의 아리안, 소련의 프로톤을 그 대상으로 꼽고 있다.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고 그 로켓을 사용한다면 만사가 ... ...
파리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일류대에 대한 선별의식이 없는 편이지만 소르본대학과 같은 학교에 대한 일종의 향수는
남아
있는 듯 하다.비에 젖은 파리에 매료돼기념비 유적 성당 박물관들만 보고 다니려 해도 끝없이 볼 거리가 많은 곳이 파리다. 그러나 파리가 아름다운 이유는 그런 문화유산이 풍부해서만은 아닌 것 같다. ... ...
PART4 소피아 안티폴리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기후다.사시사철 꽃이 피는 이곳은 유사이래 그리스 로마 등의 문명의 발자취가 아직
남아
있는 곳이며, 화가 음악가 문인 등 예술가들이 활동하던 무대로 그들의 유품이 곳곳에 보존되어 있다. 인근의 휴양문화도시 칸과 니스까지는 자동차로 30분 이내에 도착할 수 있으며 니스에는 국제공항이 ... ...
붕괴위기에 처한 마다가스카르섬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현재
남아
있는 부분은 원래 면적의 10%에 불과하다고 한다. 세계 자연보호기금(WWF)은
남아
있는 원시림도 30년 이내에 파괴될 것이라고 경고했다.마다가스카르섬은 1억6천만년전 대륙으로부터 떨어져나왔기 때문에 독특한 진화를 한 동식물이 많아 '생물학 표본실'로 불리고 있다. 70~80%는 고유종. ... ...
남극의 얼음이 줄고 있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올해 초에 NASA(미국항공우주국)에 의해 결성된 전문가 조직에서는 해수면 아래의 땅에
남아
있는 얼음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지구 기온이 상승한다면 그 영향은 극지방에 제일 먼저 미친다. 미국 지질 조사단의 리처드 윌리엄즈 박사는 "남극의 얼음이 떨어져 나가는 현상이 수백년 전부터 ... ...
운석과 혜성으로 지구에 접근하기도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자체의 인력이 소행성대에 영향을 주었다고 가정했다. 원시 태양계가 생성된 후, 태양이
남아
있는 행성간 가스를 밖으로 밀어내고 있을 때, 목성은 소행성체를 빠른 속도로 자신의 궤도로부터 밀어내어 지금과 같은 위치에 소행성대를 이루게 했을 가능성이 있다. 커크우드의 틈새가 목성의 ... ...
이전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