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돌고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전체 모양도 커다란 물고기같이 변했지만 몸의 내부구조는 그대로 포유동물인 채로
남아
있다.그러므로 그들은 허파로 공기를 호흡하며 이를 위해 콧구멍이 필요하다. 새끼 때는 콧구멍이 주둥이의 앞부분에 위치하고 있으나 성장하면서 차차 정수리 쪽으로 옮겨간다.고래는 바다 속을 헤엄치며 ... ...
PARTⅣ 생명과학자들의 최대고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남아
의 사망률이 높기 때문에 장년이 되면 저절로 평형이 잡혀지게 돼 있다. 또 전쟁후엔
남아
의 출생률이 자동적으로 현저히 높아져서 전몰희생으로 생긴 성비의 불균형이 교정되는 현상 등이 바로 자연의 내재율을 보여주는 산 증거다. 분자생물학에 기반을 둔 유전공학기술은 이러한 자연의 ... ...
1402년의 세계지도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1년 전인 태종1년(1401년)에 박돈지(朴敦之)가 일본에서 일본지도를 가지고 왔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이 사실만으로도 당시의 조선학자가 일본의 지형을 제대로 알지 못해 거꾸로 그렸다고는 생각할 수 없다.이 세계지도는 언제나 그 당시의 최신자료를 활용해 정확한 지도를 만들고자 했던 조선 ... ...
PARTⅠ 2000년대를 내다 본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있는 유전자들이 있다면 그 산물인 기억단백질이 어떻게 오랜 기간 파괴되지 않고
남아
있을 수 있었을까. 또 기억과 직접 연결된 생명현상인 인간의 본능, 의식과 행동(판단에 따른 행동의 자제)등의 조절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이처럼 많은 의문들이 아직 미궁에 빠져 있다. 최근 이런 복잡한 ... ...
낭성섬유증에 유전자 치료 효과보여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인체에 해가 없는 바이러스가 이용된다.그러나 이 치료법에는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아
있다. 첫째는 어떻게 세포의 결함이 유전자복제를 통해 바로 잡히는지 그 메커니즘을 규명해야 한다는 것이다. 주입된 유전자들이 낭성섬유증 치료외에 다른 기능을 함으로써 인체에 위험한 영향을 ... ...
베를린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있지만 우거진 숲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외관상 평화로워 보인다.도시 곳곳에 여전히
남아
있는 2차대전의 흔적은 보는 이의 마음을 가다듬게 한다. 히틀러 독재에 의해 희생된 사람들을 위한 추모비와 기념물들은 나치체제와 같은 악몽이 다시는 반복돼는 안된다는 경고를 보내고 있다. 베를린은 4 ... ...
도도새 같은 죽음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전에 몇이라도 구제할만한 동물원같은 제도도 없었다. 1698년에 이르자 마지막으로
남아
있던 도도까지 죽음을 당했으며 정말 훌륭하고 흔치 않은 이 동물체는 영원히 사라져 버린 것이다. 근처의 섬에 있던 연관이 있는 새조차도 그후 몇십년이 지나지 않아 멸종돼 버렸다.이제 도도새는 우리가 흔히 ... ...
유럽과 북미에 2세대 오존층 구멍?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인 CFC 방출을 억제하는 강력한 조치를 취한다고 해도 2070년까지는 오존층의 구멍이 계속
남아
지구의 전 지역 모든 생명체를 심각하게 위협할 것이라고 예언한다.한편 영국남극탐사대 소속 조파맨박사는 아시아지역은 오존층의 구멍으로 인한 피해를 당분간 피해 갈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하고 ... ...
제주도 남쪽과 동해 남부지역에 관심 집중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이유가 아닌 정치 군사적인 요인으로 석유값이 뛰고 공급불안이 야기되었다. 현재
남아
있는 전세계의 석유매장량은 최소한 38년간은 쓸 수 있는 양이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새로운 유전이 발견될 것이고, 석유 채굴기술의 진보에 따라 회수율(매장량에 대한 실제 채굴량의 비율)이 높아지게 되면, ... ...
은행 잎 속에 담긴 「비방」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수령이 1천1백27년으로 이 부문에서 가위 세계 챔피언급이다. 이 나무에는 전설도 많이
남아
있다. 그중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의 세자였던 마의태자가 나라를 잃은 슬픔을 달래기 위해 금강산에 가면서 짚고 가던 지팡이를 꽂았는데 그 지팡이가 뿌리를 내려 오늘에 이르렀다는 전설이 널리 ... ...
이전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