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현대판 「지킬박사와 하이드」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힘겨운 탄생을 한 중성미자는 6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물리학자들의 힘겨운 대상으로
남아
있다. 아직 질량이 얼마인지조차 모르고 있다.그러나 우리는 중성미자의 역할에 대해 많은 것을 알고 있다. 예를 들면 태양은 수소핵융합반응에 의해 열을 발생시켜 우리에게 생명을 주는 햇빛을 내고 있다. ... ...
자동차를 순식간에 쇳덩어리로 녹여버리는 1백만W 전구는 어디에 쓰일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만약 재개된다고해도 군사위성에 탑재하기에는 이 전구의 크기가 너무 크다는 문제점이
남아
있다. 알바크씨는 "SDI가 아니더라도 군수산업에는 5백만~1천만W의 강력한 단일 광원이 필요한 경우도 존재한다. 이러한 고온실험에 이 전구는 반드시 유용할 것"이라고 예상한다 ... ...
가장 밝고 푸른 '사랑의 여신' 금성(Venus)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어느 우주선도 금성에서 자기장을 탐지하지 못했다. 이 문제는 아직도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금성에는 자기장이 없으므로 지구에서와 같은 이온층도 존재하지 않는다.우주선에 의한 금성 탐사는 1961년 2월 11일 소련이 발사한 금성 탐사선 베네라(Venera, 러시아어로 금성이라는 뜻) 호로 시작됐다. ... ...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세계지도 수집가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그 목판의 유물도 지금 서울대 박물관에
남아
있어, 조선시대 지도 판각(板刻) 기술의 높은 수준을 그대로 말해주는 귀중한 유물로 평가되고 있다 ... ...
갈릴레이를 부끄럽게 한 기체 온도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문제(1) 우리의 온도감각은 과연 정확할까? 다음 그림처럼 세숫대야 두개를 준비해서 한쪽은 뜨거운 물(약 60℃)을 다른 쪽은 차가운 물 (약 10℃)을 붓는다. 여 ... 생기지 않도록 철저하게 준비해야 한다. 끓는 물과 얼음 물에 번갈아 여러 번 넣으면 알코올에
남아
있던 기포가 나가게 된다 ... ...
물속에 들어가지 않고 수중촬영 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이 물고기TV가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 모니터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아
있다.자페는 최근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으로부터 물고기TV 연구개발비 50만달러를 지원받았다. 일단 그는 5천갤런짜리 물탱크를 이용, 자신의 TV 성능시험을 거치고 있지만 이 단계를 마치고 나면 곧바로 그의 ... ...
장미꽃잎이 검게 물든 사연 식물도 스트레스를 받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정상인 경우에도). 그러나 10℃의 환경에 노출시킬 때에도 잎속에는 녹말이 그대로
남아
있다. 이러한 녹말의 이동방해 현상은 낮의 온도가 30℃ 이상일 때 발생하는 광합성 및 성장의 감소현상을 설명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식물기형을 유발하기도그동안 낮은 온도에서의 단백질의 합성속도가 ... ...
풀어쓰는 컴퓨터역사① 셈의 기원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포획물의 통계계산이 우선하였음을 알 수 있다. 현대에 와서도 이런 전통은 유감스럽게
남아
있다. 2차대전시에 공중전에 혁혁한 공훈을 세운 전투기의 옆면에는 으레 그때까지 격투시킨 전투기의 대수가 보다 상징적인 기호로 표시되어 있었다. '17대 격추'라고 쓰는것 보다는 '士士······士격추' ... ...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Homo sapiens neanderthalensis) : 10만년에서 3만5천년 전에 살았던 종으로 보이며 유럽과 서
남아
시아에 분포했고 뇌의 용량이 최고 1천6백㏄에 달하는 것도 있다. 이것은 현대인의 뇌의 크기와 비슷하다(그림4).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Homo sapiens sapiens) : 현대인의 학명이 H. sapiens이고 본 종 ...
신경망군과 퍼지양의 「결혼」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몇명의 전문가가 각 가정을 가가호호 방문, 세탁일을 도와줄 수는 없다.이제 어떤 방법이
남아
있을까. 여기서 인공지능연구의 부산물인 전문가시스템(expert system)을 활용하는 방법이 등장한다. 이 방법의 요체는 세탁기에 미리 전문가의 지식을 기억시켜 놓는 것이다. 그리고 센서를 통해 세탁물의 ... ...
이전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