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야(Maya)문명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석조건물 피라밋 신전 궁전 등을 비롯해 훌륭한 조각으로 장식된 건물들이 곳곳에
남아
있다. 특히 과테말라의 티칼(Tikal), 온두라스의 코판(Copán) 멕시코의 팔렝케(Palenque) 툴룸(Tulum) 욱스말(Uxmal) 치첸 잇사(Chichén Itza) 유적지는 전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이런 유적지는 대개가 종교적인 성지거나 ... ...
태양만 뜨겁게 작열하는 수성(Mercury)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그러나 이론적인 가능성은 몇가지 있다. 수성의 생성 당시에 생긴 자기장으로서 아직
남아
있는 것이거나, 태양풍과의 상호 작용으로 생겨난 것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수성 중심부의 비교적 차가운 금속성 물질이 어떤 알려지지 않은 메커니즘에 의해서 자기장을 만들어냈을 것이라는 가능성 등을 ... ...
나만 엉뚱하게 이해하고 있는 게 아닐까?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느끼기 시작한 영어에 대한 두려움은 2년 반이 지난 지금까지도 많은 부분이 그대로
남아
있다. 컬럼비아대학을 포함해 미국의 모든 대학들은 외국인 유학 지망생들에게 토플(TOEFL)과 GRE 성적을 요구하고 있다.토플의 경우, 여러 번 시험본 뒤 그중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제출하면 되는데 최소한 5백5 ... ...
금속은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한다. 우리나라의 고전인 동의보감에도 빈혈을 치료하는데 쇳가루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만화영화의 주인공인 뽀빠이가 시금치를 먹고 힘을 되찾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것은 철이 풍부한 시금치를 먹도록 유도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철의 주요 공급원은 육류(肉類) 계란 등이다.■구리 ... ...
밖에서 본 북한의 동식물 실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이런 자원들이 보존돼 있지 않을까 기대합니다. 일례로 남한에서는 이제 표본으로나
남아
있는 장수하늘소가 북한에서는 종종 발견된다는 보고를 일본을 통해 들은 적이 있습니다.공동연구 책임기관 없다사회-지금까지의 얘기로 보아 교류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모든 분들이 공감하고 계시는 것 ... ...
PARTⅡ 성운설(星雲說)이 유력 납작한 원반이 원시 태양계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강한 태양의 복사압과 태양풍 입자들은
남아
있는 가스입자들을 태양계 밖으로 밀어낸다.
남아
있던 미행성 조각들은 행성의 중력에 끌려 행성을 때리고 이로 인해 행성의 표면은 온도가 올라간다. 내부도 방사능 붕괴로 온도가 올라가서 물질을 녹인다. 그렇게 되면 밀도가 높은 니켈과 철 등은 ... ...
미국, 플루토늄생산계획 전면중지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플루토늄처리시설인 퓨랙스공장을 당분간 재가동하지 않을 계획이다. 이 공장은 미국에
남아
있는 마지막 플루토늄처리시설인데 지난 88년 안전성문제로 일시 폐쇄됐었다. 환경단체들이 연합해서 소송을 제기했기 때문. 에너지부의 한 관리는 "금년내로 재가동할 계획이었으나 상황이 호전될 ... ...
자장(磁場)이 여아(女兒) 출생비율 높여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연구원 1백9명에 대해 그들 자녀들의 성비(性比)를 조사했다. 그 결과 여아 1천명에 대한
남아
의 비율은 9백18명이었다. 일본인의 평균치가 1천60명(
남아
)인 점을 감안하면 엄청나게 여아의 비율이 높은 셈이다.가메이 실장은 이어 유엔의 인구통계자료를 이용해 나라마다 지자기(地磁氣)의 강약이 다른 ... ...
동물한테 배우는 비만치료법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비만했던 사람은 체중이 줄어든 이후에도 LPL과 기타 관련효소들의 농도가 상승된 채로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약물로 이 효소의 농도를 조절해 비만을 퇴치할 수 있는 방법을 구상하고 있다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같은 중요시설이 채 이전하지 못했고 전자현미경 등 필수적인 장비도 서울의 '골방'에
남아
있다. 서울에 가족이 있는 중견연구원들의 불만도 완전히 가라앉지는 못했다. 자녀들의 교육문제도 여전히 골칫거리다. 또 대덕이전 문제로 연구원들과 갈등을 겪은 한문희박사가 소장직을 내놓아 높은 ... ...
이전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