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10주년을 맞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1995년, 영국의 사회학자 앨런 어윈이 시민과학이라는 개념을 정립했다. 전 세계의 개인용 컴퓨터를 연결해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Rosetta@home’ 프로젝트는 물론, 넓게는 중근세인들이 기상 현상이나 천문 현상 등을 기록으로 남긴 사례도 시민과학으로 보기도 한다.지구사랑탐사대는 어린이 ... ...
- [5년 후 과학] 나만의 맞춤 구름 모바일 클라우드과학동아 l2022년 12호
- 교수. 1996년 연세대 환경과학과, 2000년 서강대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하고, 2002년에 컴퓨터공학 석사학위를 서강대에서 받았다. 2008년까지 LG전자에서 휴대폰 개발 및 모바일 기술 관련 국제 표준을 담당했고, 이후 영국 임페리얼칼리지 런던으로 옮겨 2013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3년부터 세종대 ... ...
- [통합과학 교과서] 맷돌 도난사건의 범인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강력한 지진이 생겨요. 이를 ‘해구형 지진’이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연구팀은 쓰나미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나즈카판과 남아메리카판의 수렴 경계에서 약 1000km 길이를 따라 해구형 지진이 나타난 것을 확인했어요. 연구팀은 이 지진으로 높이 21m의 큰 쓰나미가 발생해 육지에 살던 생명체는 모두 ... ...
- [특집] 경기장 온도 관리는 수학 모형을 이용한 모의실험으로!수학동아 l2022년 11호
- 만든 뒤 바람이 어떻게 부는지 온도는 어떤지 수학 모형을 이용해 실제 환경을 그대로 컴퓨터 프로그램에 구축했어요. 그리고 지붕의 모양에 따라 실내 온도가 어떻게 유지되는지 확인했지요. 그 결과 기존 경기장을 재건축해 지금과 같은 지붕을 완성할 수 있었어요. 이번 월드컵 개막전이 열리는 ... ...
- [화보] 콕콕, 네모 세계로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컴퓨터에서 이미지를 아주 크게 확대하면 이미지가 작은 정사각형들로 이뤄졌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이 정사각형이 디지털 이미지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인 ‘픽셀’입니다. 이 픽셀에 다채로운 색을 입혀 작품을 만드는 예술을 ‘픽셀 아트’라고 하는데요. 오늘 전 세계가 주목하는 픽셀 ... ...
- [함께해요, 로블록스 코딩] 폴리매스 미궁 2. 문제 맞히면 보상을, 틀리면 벌칙을! 문제 내는 NPC 만들기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주는 아이템인 횃불을 주고, 틀리면 체력을 깎는 코드를 작성해 볼게요. ※ 편집자 주컴퓨터 게임부터 보드게임, 방 탈출 등 노는 것을 좋아하는 김미래 기자가 로블록스 코딩에 도전 합니다! 1년 동안 로블록스 코딩을 배우며 함께 폴리매스 방 탈출을 만들어 봅시다 ... ...
- [킹앤포] 급한 과제도 함께하면 문제없지!수학동아 l2022년 11호
-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어려워요. PPC의 문제는 이전 기수의 PPC 수상자가 출제하고, 컴퓨터공학과 교수님들이 검수해요. PPC에 참가한 학생들은 실시간으로 팀 순위를 볼 수 있어요. 올해는 학생들의 뛰어난 실력과 문제에 대한 집념이 더해져, 마지막까지 순위가 서로 뒤바뀌는 치열한 접전이 ... ...
- [출동! 슈퍼M] 축구공을 알면, 첨단 과학이 보인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1호
- 만들기 위해서였지요. 다각형 패널이 아닌 곡선 패널이 가능했던 건 축구공 제작에 컴퓨터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사용한 덕분이었어요.2014년 공인구 ‘브라주카’의 패널 개수는 6개로, 역대 가장 적은 패널로 만들어져 가장 둥근 축구공이라는 평가를 받았어요. 2018년 러시아 월드컵의 ‘텔스타1 ... ...
- [특집] 2022 카타르 월드컵 16강 진출, 통계로 점치다!수학동아 l2022년 11호
- 대한민국~ 짝짝짝짝짝! 4년마다 돌아오는 월드컵. 이번 월드컵은 역대 처음으로 서아시아의 아랍 지역인 카타르에서 열려요. 여름철 최고 기온이 50°C를 넘는 더운 지역인만큼 평소 월드컵을 개최하던 6, 7월이 아닌 11월 20일부터 12월 18일까지 진행돼요. 새로운 지역, 새로운 기간에 열리는 2022 카타 ... ...
- [특집] 공은 둥글지만 통계는 날카롭다 월드컵 예측!수학동아 l2022년 11호
- 교수팀이 만든 모형을 이용해서 분석해 봤어요. 폴리매스 어셈블인 유태영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학생과 김홍녕 KAIST 수리과학과 학생이 2001년부터 2021년까지의 A매치 결과를 김 교수님의 통계 모형에 넣어 2022 카타르 월드컵의 각 팀의 16강 진출 확률을 예측했습니다. 그 결과 우리나라와 같은 H조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