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학과"(으)로 총 4,705건 검색되었습니다.
- 녹는 점 350도 낮은 석영이 거대 지진 키운다? 과학동아 l2017.12.15
- 제공 네이처 지구과학은 네이처출판그룹이 매달 발행하는 국제학술지다. 지구물리학과 지질학, 지구대기학, 빙하학, 고생물학 등 지구과학 관련 모든 연구를 아우른다. 올해 5월호에는 이성근 서울대 교수 등 공동연구팀이 진행한 지층 속 석영의 녹는점에 대한 연구 결과가 실렸다. 연구팀은 ... ...
- [카드뉴스]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동아사이언스 l2017.12.13
-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고 싶지 않은데 왜 이런 마음이 들까.” 김지은 뇌·인지과학과 교수는 질투가 인간의 유일한 본성은 아니므로 좌절할 필요가 없다고 말합니다. 만 2세 미만의 어린 아이도 다른 사람에게 자기 음식을 줄 때 기쁨을 느낀다거나 자기보다 다른 사람을 위해 돈을 쓸 때 더 큰 ... ...
- 선비? 과학자?...창 열면 풍기는 매화 향 과학으로 재현동아사이언스 l2017.12.12
- 통해 후계목을 만들었고 그 중 하나가 우리나라에 왔다. 피재호 단국대 분자생물학과 교수 - 오가희 기자 solea@donga.com 제공 ● 매화 향을 사시사철 즐기는 방법 피 교수의 연구는 매화 자원을 수집하는데 그치지 않았다. 매화의 매력은 ‘은은하게 풍기는 향’이라는 점에 착안, 매화 향수를 ... ...
- 비트코인 투자가 마약 같은 이유는?2017.12.12
- 사용해 돈을 모으려고 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금융위기를 예측했던 뉴욕대 경제학과 누리엘 루비니 교수는 이러한 현상을 ‘거대한 투기 거품’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비트코인은 체계화된 지불방법도 아니고, 자본을 저장하는 좋은 방법도 아니다”라며 “규제가 없어 돈을 세탁하려고 하는 ... ...
- DNA 나노 구조물로 그린 모나리자 미소동아사이언스 l2017.12.10
- “이를 확장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하버드대 시스템생물학과 펜잉 박사팀도 같은 날 벽돌 모양으로 쪼갠 DNA 가닥을 쌓는 방식으로 3차원의 DNA 나노구조물을 만드는 데 성공해 그 연구 결과를 네이처에 실었다. 연구팀은 약 32개의 핵산 단위로 자른 DNA 조간 1만 개로 ... ...
- “현생인류, 12만 년 전 아프리카 벗어나 아시아에 첫 발”동아사이언스 l2017.12.08
- 물론 아직 반론은 있다. 고기후 전문가인 피터 드 메노컬 미국 컬럼비아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12만~7만 년 전에 인류가 아프리카 밖 아라비아반도까지 나간 것까지는 맞지만 더 이상 유라시아로 진출하지 못했다”며 “인류가 유라시아로 처음 떠난 것은 6만 년 전이 ... ...
- 역대 가장 먼 준항성체 발견...초기 우주 수수께끼에 한걸음 더동아사이언스 l2017.12.07
- 밝은 빛을 내뿜었을 것으로 분석됐다. 논문 제1저자인 미국 카네기과학관측소 천문물리학과 에두아르도 바나도스 연구원은 논문에서 “퀘이사 중심에 있는 블랙홀이 주변의 것을 삼키며 성장할 때 나오는 에너지를 연구하면 블랙홀의 생성과 진화과정을 밝힐 수 있을 것”이라며 “더 많은 ... ...
- 산호도 씹어 먹는 돔의 비밀 밝혔다과학동아 l2017.12.07
- 이렇게 만드는 모래의 양은 연간 90kg에 이른다. 푸파 길버트 미국 위스콘신매디슨대 물리학과 교수와 매튜 마르쿠스 로런스버클리국립연구소 연구원 등 공동연구팀은 파랑비늘돔의 이빨이 강력한 이유가 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0만분의 1m) 크기의 미세한 법랑질 섬유로 이뤄졌기 때문이라는 ... ...
- 타래과학(2) 성감별 출산, 여전히 존재한다?동아사이언스 l2017.12.07
- 증가했고, 넷째아 이상은 108.3명입니다.(경북 135.8, 대구 119.2 등)*1 김두섭 한양대 사회학과 교수가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인공유산 건수를 추정한 결과, 2009년 전국 2336건 중에서 영남지역이 1069건으로, 영남지역에서 성감별 출산을 하는 임산부의 비중은 2.0%로 전국의 두 배로 추정됐습니다.*2 ... ...
- 카드뉴스ㅣ벌써 12월이라니, 이건 너무 빠르잖아동아사이언스 l2017.12.07
- 시간은 우리가 기억하는 정보량에 따라 달라지기도 합니다. 미국 스탠퍼드대 심리학과 로버트 오른스타인 교수의 실험 다수의 실험참가자들은 피터 브뢰겔의 동판화인 ‘연금술사’와 단순한 사각형 그림을 똑같이 15초 동안 보았음에도 브뢰겔의 그림을 더 오래 봤다고 응답했다. 기억하는 ... ...
이전3223233243253263273283293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