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학과"(으)로 총 4,70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술고래 아빠의 변명, 근거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2018.01.20
- 알코올 중독에 빠질 확률이 크다는 것이 확인된 것이다. 미국 시카고 일리노이의대 생리학과 에이미 라섹 교수팀은 여성호르몬의 농도가 높으면 술을 쉽게 끊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해 1월 6일 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에 발표했다. 우리 몸의 ‘보상 센터’라 불리는 뇌 속 복측피개영역(ventral ... ...
- 퀀텀닷 디스플레이 더 싸게, 더 밝게동아사이언스 l2018.01.15
- 핵심 기술로 꼽히는 퀀텀닷 LED의 효율을 높이는 기술이 나왔다. 조용훈 KAIST 물리학과 교수팀은 금속의 나노 구조를 이용해 적색, 녹색 퀀텀닷 LED의 발광 휘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실제로 구현하는데도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퀀텀닷 LED는 스스로 빛을 내는 나노 크기 반도체다. OLED의 ... ...
- 강아지는 주인을 닮는다? 강아지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들2018.01.15
- 것이죠. 그렇다면 개는 인간의 표정을 어떻게 읽을까요? 핀란드 헬싱키대의 수의학과 연구팀은 옥시토신이 개로 하여금 인간의 미소에 관심을 끌게 만든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개와 인간 사이 상호작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옥시토신은 사랑 호르몬이라고도 불립니다. 연구진은 43마리의 ... ...
- “인체 냉동보존 기술, 장기 이식에서부터 활용 가능할 것”동아사이언스 l2018.01.15
- 원숭이 머리 이식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한 바 있으며, 제임스 투어 미국 라이스대 화학과 교수팀과 함께 그래핀을 활용한 척수신경 재생 연구도 수행 중이다. 김 교수는 “관건은 해동 기술이다. 현재까지는 냉동보존만 가능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자나 난자, 피부세포, 세균 등 단일세포를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인간 문화, 유전자가 결정할까? 2018.01.14
- 현재 동화약품 연구개발본부에서 심신을 치유하는 좋은 약을 개발하며,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신경인류학 논문을 쓰고 있다. ‘행복의 역습’, ‘여성의 진화’를 옮겼고, ‘재난과 정신건강’, ‘토닥토닥 정신과 사용설명서’ 등을 썼다 ... ...
- 혹시 내 아이가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아닐까?2018.01.14
- 돌아와서, 그렇다면 ASD의 징후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최근 캐나다 캘거리대학교 교육학과 부교수이자 심리학자인 애덤 맥크리몬 박사는 ASD일 때 나타나는 징후에 대해 발표했는데요. 그 체크리스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말하기에 있어 18개월에 이르기까지 한 마디도 하지 못하거나 33개월이 ... ...
- 과기한림원, 신입 정회원 24명 선발동아사이언스 l2018.01.12
- 정보기술(IT)과 바이오기술(BT)을 융합한 연구를 수행해온 조광현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46)다. 역대 최연소로 영입된 정회원은 당시 44세였던 정선양 건국대 교수(2004년)와 김빛내리 IBS RNA연구단장(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2014년)이다. 이날 과기한림원은 성남 분당구에 위치한 한림원 ... ...
- [과학자의 부엌]크루아상과 애플파이 맛의 비밀은?2018.01.12
- 깊고 진한 향의 에스프레소 한 잔과 딱 어울리는 크루아상. 프랑스어로 ‘초승달’이라는 이름답게, 통통하면서도 양 끝이 뾰쪽하게 말려 있는 모양이 친숙합니다. 손으로 집으면 무척 가볍고, 손끝에 약간만 힘을 줘도 껍데기가 얇게 부서져 가루가 날립니다. 그런데 속살은 무척 부드럽습니다. ... ...
- 사람이 본 장면, 인공지능이 그려준다…원리는? 동아사이언스 l2018.01.12
- 글자인지 알아낼 확률이 최대 99.1%까지 높아졌다. 논문의 제1저자인 선궈화 ATR 신경정보학과 연구원은 “데이터베이스(DB)가 있고 그 안에서 컴퓨터가 비슷한 이미지를 찾는 것과는 차원이 다르다”며 “인공지능이 이미지를 직접 생성하는 것이니 어떤 장면이든 복원이 가능한 셈”이라고 설명했다 ... ...
- 그래핀과 포스포린 장점만 모았다과학동아 l2018.01.12
- 쉽지만, 디락 입자가 없어 전하가 훨씬 느리게 이동한다. 그런데 최근 김근수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두 가지 재료의 장점을 합치는 데 성공했다. 포스포린에 인공적으로 디락 입자의 물성을 구현한 것이다. 연구팀이 포스포린의 밴드갭을 제어해 에너지 준위 차이를 0에 가깝게 만들자, ... ...
이전3183193203213223233243253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