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학과"(으)로 총 4,705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18) 내가 무조건 옳다고! 과잉 확신의 심리학2017.10.21
- 현재 동화약품 연구개발본부에서 심신을 치유하는 좋은 약을 개발하며,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신경인류학 논문을 쓰고 있다. ‘행복의 역습’, ‘여성의 진화’를 옮겼고, ‘재난과 정신건강’, ‘토닥토닥 정신과 사용설명서’ 등을 썼다 ... ...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신임 이사장에 원광연 KAIST 명예교수동아사이언스 l2017.10.20
- 8일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추천위원회는 원 이사장과 함께 유진 KAIST 신소재공학과 명예교수, 유희열 부산대 석좌교수(전 과학기술부 차관) 등 후보자 3명을 선정했다. 원 이사장은 유영민 과기정통부 장관이 최종 적임자로 추천해 선임됐다. 한편 연구회 이사장은 올해 7월 이상천 전 ... ...
- [뉴스 되짚어보기] 뒤바뀌는 인류 연표… ‘사피엔스’의 시대는 언제부터인가동아사이언스 l2017.10.18
- 나오면서 후자가 서서히 주목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크리스토퍼 배 하와이대 인류학과 교수는 “인류의 모든 특성들은 31만 년 전에 갑자기 등장한 게 아니라 서서히 변화하며 등장했다”며 “만약 아프리카가 현생인류의 고향이라면 이렇게 형질이 바뀌는 중인 ‘전이 상태’의 화석이 존재해야 ... ...
- 던지고 보는 댓글 시대, 우리는 어떻게 남을 비난할지 결정할까동아사이언스 l2017.10.18
- '반사실적 사고'로 인해 발생한다. 조쉬 테넨바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뇌인지과학과 교수팀은 실험을 통해 반사실적 사고를 증명하고 그 결과를 학술지 ‘정신과학’ 10월 1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두 개의 공이 충돌하거나 통과해 지나가는 18개의 상황을 비디오로 만들었다. 그 뒤 ... ...
- 멸종위기 민물고기, 좀수수치는 어떻게 한국에서만 살게 됐을까?동아사이언스 l2017.10.17
- brevifasciata)는 비교적 유속이 빠른 곳에 서식하는 종이다. 1995년 김익수 전북대 생물학과 교수가 좀수수치를 신종으로 등록했다. 깁 교수는 당시 좀수수치가 수심이 80㎝ 이하의 유속이 빠른 자갈바닥의 주로 서식하며, 섬의 경우 하구로부터 약 2~3㎞ 떨어진 수역에 산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당시 ... ...
- 우주 보는 ‘중력의 눈’ 위력 확인해... 중성자별 세밀하게 밝힌 것도 의의동아사이언스 l2017.10.17
- 물리천문학부 교수가 이끄는 한국 연구팀이 큰 역할을 했다. 박일흥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우주의 기본 입자 중 하나인 중성미자(뉴트리노)를 관측하는 남극의 아이스큐브(IceCube) 뉴트리노 천문대를 이용해 중성미자 관측을 시도했다. 킬로노바 현상과 함께 중성미자가 방출됐을 가능성이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17) 공생, 기생 혹은 악의2017.10.15
- 성안드레아병원 정신과장 및 이화여대, 경희대 의대 외래교수를 지내면서,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정신장애의 신경인류학적 원인에 대해 연구 중이다. 현재 호주국립대(ANU)에서 문화, 건강 및 의학 과정을 연수하고 있다. '재난과 정신건강(공저)'(2015), ‘토닥토닥 정신과 사용설명서’(2016) 등을 ... ...
- 포획된 범고래가 야생 범고래를 부러워하는 이유동아사이언스 l2017.10.12
- 것을 볼 수 있다. - University of Stetson 제공 논문의 공동저자인 뉴질랜드 오타고대 구강과학과 카로리나 로치(Carolina Loch) 교수는 “특히 아래턱 왼쪽과 오른쪽 2,3번 치아가 거의 완전히 마모된 상태”라며 “범고래가 극심한 치통에 고통 받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범고래는 특유의 지능으로 사냥 ... ...
- [인터뷰] ‘데이터야놀자’를 준비하는 사람들 “좀 놀자구요” 바이라인 네트워크 l2017.10.12
- 모든 지원을 끊어버렸어요. 아르바이트를 해야했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매카트로닉스학과 교수였던 아버지가 프로젝트를 도와달라며 프로그래밍을 하면 50만원을 주겠다고 하시더라구요. 그때 저에게 50만원은 2주 동안 매일 일해야 벌 수 있는 돈이었습니다. 결국 아버지 프로젝트에서 프로그램을 ... ...
- [사이언스 지식IN] 외래 붉은불개미는 얼마나 위험한가요?동아사이언스 l2017.10.10
- 붉은 불개미의 이동경로 - University of lllinois 제공 앤드루 수아레즈 미국 일리노이대 동물학과 교수팀은 붉은불개미 192개 지역의 표본을 얻어유전자를 분석을 통해 스페인 범선의 무역 패턴을 추적해 밝혀냈고, 이를 2015년 2월 학술지 ‘분자 생태학’에 발표했습니다. 수아레즈 교수는 논문에서 ... ...
이전32632732832933033133233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