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사람이 만들고 바람이 키운 산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불게 되죠. 우리나라의 역대 최대 산불이었던 2000년 동해안 산불과 1996년 고성 산불 모두 이 양간지풍이 키운 것이랍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긴급취재, 산불을 막아라!Part 1. 72시간 동안 태백산맥이 활활~!Part 2. 사람이 만들고 바람이 키운 산불Part 3. 꺼진 불도 다시 보는 진화 ... ...
- [Future] ‘부정맥 모음곡’으로 부정맥 조기 진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과학자’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츄 교수 : 먼저 과학과 수학, 그리고 음악을 모두 열심히 공부하세요. 음악과 과학을 융합하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테크닉도 중요하지만, 무엇을 표현할지 구체적으로 떠올릴 수 있도록 음악적인 감각을 갖는 일이 중요합니다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수정란의 유전물질은 아빠의 유전물질 반, 엄마의 유전물질 반이지만 수정란의 세포질은 모두 난자의 것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수정 뒤 첫 세포분열, 난자 속 RNA 덕분수정란은 배아로 발달하기 위해 세포분열을 시작합니다. 그런데 이때 수정란 안에있는 DNA는 단백질을 만들어내지 못하는 ... ...
- Part 2. 무리생활을 하는 동물의 게임이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신호를 보냅니다. 그런데 그중에는 가짜로 소리를 지르는 새도 있습니다. 소리를 듣고 모두 도망가버리면, 혼자 주변에 벌레를 모조리 잡아먹으려는 수작이지요. 비록 거짓말하는 동물도 있지만 대부분 동물은 협동하며 살아갑니다. 예를 들어 원숭이는 무리에서 서로 해충을 잡아주며 협력하고 ... ...
- 사진 속에 비밀을 감춰라! 스테가노그래피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총 3×8=24개 숫자로 이뤄진 셈입니다. 그런데 숨겨줄 사진의 픽셀 하나에 숫자 24개를 모두 숨길 수는 없어요. R 값, G값, B 값의 끝자리 하나만 바꿀 수 있으므로 3개만 숨겨줄 수 있지요. 즉, 픽셀 한 개를 숨기려면 8배 많은 픽셀이 필요한 셈입니다. 이 방법을 이용해 모나리자의 픽셀 8개에 생뚱맞은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마고의 최후?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다른 누군가에게 뺏겼을 때 내용물을 숨기기 위한 암호였다. 한 번만 틀려도 내용이 모두 지워지게 되어 있었다.암호는 간단했다. BOY미리 정한 규칙에 따라 영문자를 숫자로 바꾸면 됐다. 하림은 틀리는 일이 없도록 신중하게 엄마가 알려준 규칙을 떠올렸다. ‘원소 주기율표에 따라서….’쉬익 ... ...
-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석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씨앗이나 식물을 먹는 잡식성이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답니다.두 공룡 모두 용각류처럼 뱃속에 있는 질긴 식물을 잘게 부수기 위해 돌을 삼켰을 것으로 보여요.해양파충류 ‘플레시오사우루스’의 뱃속에서도 위석이 나왔어요. 또한 현생 악어의 몸에서도 위석이 종종 발견되기도 하지요. ... ...
- Part 1. 플라스틱 소라게가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사를 하는 순간이 소라게에게 가장 위험해요. 연약한 배 부분이 천적이나 외부 환경에 모두 노출되니까요.소라게는 사실 집의 종류나 모양을 크게 따지는 편은 아니에요. 몸을 밀어넣어 자신을 보호할 수만 있다면 고둥껍데기는 물론 조개껍데기, 산호, 관갯지렁이 관, 썩은 나무, 구멍 난 돌 등을 ...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노벨상 수상자는 세 명이지만, 극저온전자현미경 기술을 발전시켰고 앞으로 더 발전시킬 모두가 주인공”이라는 말과 함께. 이병길고려대에서 구조생물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영국 MRC 분자생물학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하며 세포분열과 관련된 생체분자의 구조를 ...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본래 우리 몸은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면역 활성화 시스템과 면역 억제화 시스템을 모두 갖고 있다. 그런데 암세포는 면역체계의 감시를 피하기 위해 면역 억제화 시스템을 강화한다. 이렇게 되면 면역 억제화 시스템을 이루는 분자인 ‘면역관문’들이 강해져 T세포의 ‘눈’을 가린다 ... ...
이전3193203213223233243253263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