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나무를 올라타는 염소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어과동 친구들 안녕~! 나는 귀염둥이 과학마녀 일리야. 얼마 전 푸푸와 아프리카 여행을 갔는데, 거기서 정말 신기한 광경을 목격했어~. 높은 나무 꼭대 ... 사실을 알 수 있었다”고 말했어요.앞으로 우리의 똥뿐만 아니라 침을 뱉는 행동까지 모두 주의 깊게 관찰해 주세요! 그럼 이만 안녕 ... ...
- [Issue] 동물정신과 측면에서 본 공격성과 치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높은 동물이 모두 공격성을 띠는 것은 아니다. 서열이 높다고 아래 서열의 동종 동물들을 모두 공격했다면, 이미 그 종은 멸종했을 것이다. ‘나쁜’ 개가 아니라 ‘아픈’ 개일 수도개가 사람과 함께 살게 된 지는 1만 년이 훨씬 넘었다. 그 긴 시간을 거치며 개는 사람의 삶에 도움을 주는 ... ...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아직도 해결해야 할 부분이 많고 기술적인 한계도 분명히 있다. 기술을 개발할수록 모두가 안전한 환경에서 살아가고, 수많은 실종 어린이들이 가족의 품 안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생각에 힘을 얻고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바라보면 잠금해제, 얼굴 신분증Part 1. 뇌는 어떻게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프로그램이 대국을 반복하면서 그 결과를 가지고 최종 함수를 도출해 기존 알파고를 모두 패배시켰다. 상식적으로 기본 데이터로 초기화된 함수를 최적화하는 것이 무작위 함수에서 시작하는 것보다는 더 효율적일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알파고 제로는 초반의 학습 효율성을 조금 포기하고, ... ...
- Intro. 새로운 기하학의 탄생, 그로텐디크의 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017년 5월 10일, 프랑스 몽펠리에대학교는 그동안 베일에 싸여있던 그로텐디크의 노트를 모두가볼 수 있도록 온라인에 공개했다. 노트를 쓴 장본인은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2014년 11월 8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그는 필즈상 수상자조차 경외심을 갖고 바라보는, 대수기하학 분야에서 위대한 업적을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책임까지 있었습니다.” 말구아르 교수는 이 노트를 계속 보관하다가 2017년 5월 10일, 모두가 볼 수 있도록 온라인에 공개했다. 모 아니면 도인 성격의 소유자, 그로텐디크 말구아르 교수는 그로텐디크가 극단적인 성격을 갖고 있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며칠 동안 굶다가도 무언가 한 가지를 꼭 ... ...
- Part 3. 손님이 기다리게 하지마라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쉬는 시간을 최소화해야 손님의 대기 시간도 최소화할 수 있다. 순서도에 나타난 시간을 모두 더하면 20분이므로, 3명이서 공평하게 나눈다면 각자 일하는 시간은 6~7분이다. 종업원A가 야채를 볶고 종업원B가 갈릭새우를 만들고 사장이 나머지를 하면 각각 7분, 6분, 7분 일하므로 최적의 분배법 중 ... ...
- [DJ CHO의 롤링수톤] 김소희의 ‘춘향가’ 판소리 명창의 비법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목소리는 관현악의 반주를 뚫고 청중의 귀에 들리지요. 소리꾼과 성악가의 소리 모두 중간 높이 음역이 핵심이지만 차이는 있습니다. 서양의 성악은 공명을 이용하고, 판소리는 생목을 이용합니다. 그래서 판소리를 하는 소리꾼은 평소 목소리가 곧 판소리를 할 때 목소리인 반면 성악가는 평소 ... ...
- 이 상자의 주인은 나야! 도트 앤 박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합니다. 이제 상대와 번갈아 가며 가위로 끈을 하나씩 끊습니다. 동전과 연결된 끈 4개를 모두 끊으면 그 동전을 가질 수 있고, 도트 앤 박스와 마찬가지로 동전을 얻은 뒤엔 끈 하나를 더 끊어야 합니다. 도트 앤 박스의 상자 한 개가 동전 한 개와 같고, 이웃한 두 상자는 끈으로 연결한 동전과 ... ...
-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블리츠코리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바이오블리츠’는 지정된 장소에 모인 사람들이 총 24시간 동안 그 지역의 생물을 모두 조사하는 활동이에요. 1996년 미국 지리 조사국(USGS)과 국립공원(NPS)의 활동을 시작으로, 매년 전세계에서 이루어지고 있어요.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2010년 경북 봉화에서 시작돼, 지난 5월 27일 전북 고창 ... ...
이전3173183193203213223233243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