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통해 논문의 질적 수준을 일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논문 수와 피인용횟수를 모두 고려한 H-지수의 경우 연구자의 전체 논문 중에서 특정 피인용횟수를 넘긴 논문이 최소 몇 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질적 성과지표의 활용도 향상 연구에 참여한 김민우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 ...
- [Future] 인기 웹툰, 과학기자가 쓴다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있습니다. ‘평행우주론’ 가설에 따르면 주인공들이 결혼을 안 한 우주1과 한 우주2가 모두 존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닫힌 우주’ 가설도 있습니다. 결혼을 막아 과거를 바꾸면 미래의 아들 서진이는 사라지게 됩니다. 여러분들은 어떤 우주를 그리시겠습니까. 신과 함께: 과학으로 ... ...
- Intro. 새로운 기하학의 탄생, 그로텐디크의 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017년 5월 10일, 프랑스 몽펠리에대학교는 그동안 베일에 싸여있던 그로텐디크의 노트를 모두가볼 수 있도록 온라인에 공개했다. 노트를 쓴 장본인은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2014년 11월 8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그는 필즈상 수상자조차 경외심을 갖고 바라보는, 대수기하학 분야에서 위대한 업적을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책임까지 있었습니다.” 말구아르 교수는 이 노트를 계속 보관하다가 2017년 5월 10일, 모두가 볼 수 있도록 온라인에 공개했다. 모 아니면 도인 성격의 소유자, 그로텐디크 말구아르 교수는 그로텐디크가 극단적인 성격을 갖고 있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며칠 동안 굶다가도 무언가 한 가지를 꼭 ... ...
- [DJ CHO의 롤링수톤] 김소희의 ‘춘향가’ 판소리 명창의 비법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목소리는 관현악의 반주를 뚫고 청중의 귀에 들리지요. 소리꾼과 성악가의 소리 모두 중간 높이 음역이 핵심이지만 차이는 있습니다. 서양의 성악은 공명을 이용하고, 판소리는 생목을 이용합니다. 그래서 판소리를 하는 소리꾼은 평소 목소리가 곧 판소리를 할 때 목소리인 반면 성악가는 평소 ... ...
- [과학뉴스] 몸 속이 다 보이는 투명 개구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yaku)’라는 이름을 붙였어요.이 개구리는 ‘유리개구리’의 일종이에요. 유리개구리들은 모두 투명한 피부를 가지고 있어요. 등과 다리의 위쪽 부분은 일반 개구리처럼 녹색이지만, 배 쪽의 피부는 투명하지요.하지만 하이알리노베트라키움 야쿠는 배뿐만 아니라 가슴까지 전체적으로 투명해서 ... ...
- [가상인터뷰] 나무를 올라타는 염소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어과동 친구들 안녕~! 나는 귀염둥이 과학마녀 일리야. 얼마 전 푸푸와 아프리카 여행을 갔는데, 거기서 정말 신기한 광경을 목격했어~. 높은 나무 꼭대 ... 사실을 알 수 있었다”고 말했어요.앞으로 우리의 똥뿐만 아니라 침을 뱉는 행동까지 모두 주의 깊게 관찰해 주세요! 그럼 이만 안녕 ... ...
- [Focus News] 피내용과 경피용 뭘 맞아야 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없다는 것이다. 이상 반응이 생길 경우에는 보상도 받을 수 있다. 피내용과 경피용 모두 이상 반응으로 치료를 받아야 할 경우 진료비 중 본인부담금이 30만원이 넘을 때에는 신고를 하면 심의를 거쳐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신고 기관이 다르다. 피내용의 경우 보건소와 예방접종도우미 ...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보고서를 10월 발표했다. 생화학 물질 13종에는 바이러스와 세균, 인공 화학물질이 모두 포함된다. 이 중 12종이 생물, 1종이 화학물질이다. 보고서에는 탄저균, 보툴리누스균, 콜레라균, 한타 바이러스, 페스트균, 두창 바이러스, 티푸스균, 황열 바이러스, 이질균, 브루셀라균, 황색포도상구균,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프로그램이 대국을 반복하면서 그 결과를 가지고 최종 함수를 도출해 기존 알파고를 모두 패배시켰다. 상식적으로 기본 데이터로 초기화된 함수를 최적화하는 것이 무작위 함수에서 시작하는 것보다는 더 효율적일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알파고 제로는 초반의 학습 효율성을 조금 포기하고, ... ...
이전316317318319320321322323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