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뒷날
내일
앞날
명일
다음날
이튿날
익일
뉴스
"
훗날
"(으)로 총 33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결과라는 해석이 우세했다. 즉 항원을 만난 항체들은 거기에 맞게 구조가 변형돼
훗날
같은 항원을 만나면 바로 결합할 수 있다는 것. 그러나 에델만은 항체의 인식과정이 학습이 아니라 선택임을 밝혔다. 즉 우리 몸에는 유전자재조합으로 이미 수백 만 종의 항체가 존재해 외부 항원이 침입하면 ... ...
태양보다 150배 더 무거운 별이 있을까?
2014.11.17
관측된 별의 밝기를 토대로 질량이 태양 질량의 수천 배에 이른다는 주장이 나왔지만
훗날
최소한 수십 개의 별에서 나온 빛이 합쳐진 것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럼에도 이 가운데는 태양 질량의 150~300배인 별이 포함돼 있다는 주장도 여전히 있다. 또 다른 유명한 예는 용골자리 에타(η Carinae ... ...
노벨상 받은 '부산 싸나이'
과학동아
l
2014.10.01
광산에서는 매달 대청소날에 시안(Cyanide)을 이용해 노다지에서 금을 추출했다. 피더슨은
훗날
"시안에 금이 녹는 모습이 정말 아름다웠다"며 "이것이 나와 화학의 첫 만남"이라고 회고했다. 8살 때 한국을 떠나 미국과 일본에서 화학을 공부한 피더슨은 42년간 다국적 화학회사 듀퐁의 연구원으로 ... ...
과학♥만화 연애한지 10년째 되는 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9.30
가지 복잡한 기계로 단순한 일을 하는 장치를 만화로 그렸다. 이 만화 속 기계장치는
훗날
만화가의 이름을 딴 루브 골드버그 장치로 불리며 실제 다양한 모습으로 제작되고 있다. 또한 모든 상상이 현실로 이루어지는 만화 속에서는 슈퍼맨, 아이언맨 같은 슈퍼히어로들이 단골로 등장한다. ... ...
1976년 에볼라 역병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2014.08.04
좀 덜 심각한 것 같다고 언급했다. 사람들은 맥코믹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훗날
사실로 드러난다. 맥코믹은 1983년 발표한 논문에서 게놈분석을 통해 자이르의 에볼라 바이러스와 수단의 에볼라 바이러스는 서로 다른 유형임을 밝혔다. 사실 수단에서의 에볼라 발생 시기는 자이르보다 ... ...
임신부가 다이어트했다간 손주 정자까지…
과학동아
l
2014.07.11
쥐들보다 체중이 5% 이상 덜 나갔다. 또 임신 후기에는 수컷 새끼쥐의 정자 전구체(
훗날
정자가 되는 세포)의 유전자에 메틸화가 일어나는 데, 어미쥐가 굶게 되면 이 과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동일한 유전자를 갖고 태어나도 유전자 중 어느 부위가 활성화되고 비활성화 ... ...
과학도에게 필요한 것은 도전정신과 목표 의식
동아사이언스
l
2014.06.17
힘든 시기는 인생에 있어 짧은 시간”이라며 “그 시기만 슬기롭게 잘 헤쳐나간다면
훗날
자녀들도 어머니의 직업에 자부심을 갖게 될 것이니 과학도로서의 꿈을 포기하지 말라”라고 덧붙였다. “자신의 일에 흥미를 갖고 열정을 쏟으라”라는 손 소장의 조언을 따라 더 넓은 세계를 향해 당당히 ... ...
생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2014.05.06
생쥐를 대상으로 한 동물실험에서 방광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져 판매금지가 됐지만
훗날
이는 생쥐 특유의 생리 메커니즘의 결과로 사람에서는 그런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현재는 판매가 재개됐다. 학술지 ‘PLOS 의학’ 4월호에는 1993년 임상에서 환자 5명이 목숨을 ... ...
호모 하빌리스, 당신은 누구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4.04.14
용어다. ‘진지(Zinji)’라는 애칭으로 불린 이 두개골은 180만 년 전 화석으로 밝혀졌는데,
훗날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Paranthropus boisei)라는 학명을 얻게 되고 인간의 직계조상은 아닌 것으로 결론났다(당시 이미 호모속 인류가 살고 있었으므로). ‘사이언스’의 고인류학 담당 기자 앤 시먼스가 ... ...
태양계에서 고리를 지닌 다섯 번째 천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08
일주일 뒤에 무려 20.9kg의 네 번째 운석이 발견되면서 스포트라이트가 옮겨졌다. 아마
훗날
진주운석을 언급할 문헌은 ‘무게 20.9kg인 국내 최대 운석을 비롯해 운석이 네 개 발견됐고…’라는 식으로 적지 않을까. 그런데 무리 가운데 두 번째로 큰 게 주인공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경우가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