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뒷날
내일
앞날
명일
다음날
이튿날
익일
뉴스
"
훗날
"(으)로 총 339건 검색되었습니다.
1990년 밸런타인데이, ‘보이저 1호’가 준 선물
2015.02.12
980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칼 세이건은 NASA에 제안을 하나 하는데요. 보이저 1호가
훗날
태양계 밖으로 떠날 무렵, 카메라를 돌려 지구를 한번 찍어보자는 내용이었습니다. 이에 NASA 전문가들은 대부분 반대하는데요. 본래 계획에도 없었을뿐더러 지구 쪽으로 렌즈를 돌리면 강력한 에너지를 ... ...
양자역학 없는 세상
2015.02.01
화가 난 바딘은 벨연구소를 떠났고, 브래튼은 쇼클리와 같이 일하기를 거부했다(바딘은
훗날
초전도이론연구로 두 번째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이후 쇼클리는 칼텍(캘리포니아공대)을 거쳐서 ‘쇼클리반도체연구소’로 자리를 옮겼다. 실리콘밸리에 들어선 최초의 실리콘 기반 ... ...
아이 러브 ♥ 고기
2015.01.28
정도입니다. 그런데 팔다리의 뼈나 머리뼈는 매우 단단합니다. 특히 팔다리 뼈는 먼
훗날
무기로도 사용할 정도로 굵고 단단합니다. 이빨로는 이런 뼈를 깰 수 없습니다. 초기 인류는 돌로 뼈를 깨서 골수를 빼먹는 방법을 찾았습니다. 뼈 깨는 돌은 점점 그럴싸 한 모양새를 갖춘 ‘석기’가 ... ...
IS 대원이 되고 싶은 김 군의 뇌 구조는?
2015.01.23
겁니다. 과거 학계에선 청소년의 뇌는 어른의 뇌와 거의 유사하다고 봤습니다. 하지만
훗날
연구를 더 해보니 유아기에 못지않은 ‘뇌의 성장’이 이뤄지는 시기라는 게 밝혀졌다고 합니다. 특히 전두엽 부위의 신경세포가 사춘기에 가장 왕성히 성장하는데, 김경진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 ...
손톱만한 실험실을 만드는 그녀
동아사이언스
l
2015.01.16
학생들에게 열정적으로 강의하기 위해 항상 최선을 다한다. 그녀가 가르친 학생들이
훗날
자신의 분야에서 인정받는 학자가 되기를 바라면서…. UNIST-싱가포르국립대 연구팀, 카페인 농도 식별 형광염료 및 카페인 자동 검출용 디스크 개발 (Scientific Reports, 2013) - 조윤경 교수 제공 ● 카페인 ... ...
‘뉴로마커’가 예측하는 나의 미래
2015.01.09
결과 일부 아기는 말소리를 들어도 전두엽에서 나타나는 뇌파가 저조했다. 이 아기들은
훗날
실제로 난독증을 앓았고, 연구진의 예측 정확도는 81%를 기록했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연구팀은 6~16세 학생 46명을 대상으로 수학 실력을 평가할 수 있는 일종의 시험을 보게 하고, 그동안 이들의 뇌가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유전자와 공통으로 지니고 있는 염기 180개(아미노산 60개)로 이뤄진 부분이 존재했다.
훗날
‘호메오박스(homeobox)’라고 명명된 이 부분은 표적이 되는 DNA의 특정 염기서열에 달라붙어 발현을 조절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초파리는 호메오유전자 8개가 3번 염색체에 나란히 배열돼 있는데 놀랍게도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결과라는 해석이 우세했다. 즉 항원을 만난 항체들은 거기에 맞게 구조가 변형돼
훗날
같은 항원을 만나면 바로 결합할 수 있다는 것. 그러나 에델만은 항체의 인식과정이 학습이 아니라 선택임을 밝혔다. 즉 우리 몸에는 유전자재조합으로 이미 수백 만 종의 항체가 존재해 외부 항원이 침입하면 ... ...
태양보다 150배 더 무거운 별이 있을까?
2014.11.17
관측된 별의 밝기를 토대로 질량이 태양 질량의 수천 배에 이른다는 주장이 나왔지만
훗날
최소한 수십 개의 별에서 나온 빛이 합쳐진 것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럼에도 이 가운데는 태양 질량의 150~300배인 별이 포함돼 있다는 주장도 여전히 있다. 또 다른 유명한 예는 용골자리 에타(η Carinae ... ...
노벨상 받은 '부산 싸나이'
과학동아
l
2014.10.01
광산에서는 매달 대청소날에 시안(Cyanide)을 이용해 노다지에서 금을 추출했다. 피더슨은
훗날
"시안에 금이 녹는 모습이 정말 아름다웠다"며 "이것이 나와 화학의 첫 만남"이라고 회고했다. 8살 때 한국을 떠나 미국과 일본에서 화학을 공부한 피더슨은 42년간 다국적 화학회사 듀퐁의 연구원으로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