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뒷날
내일
앞날
명일
다음날
이튿날
익일
뉴스
"
훗날
"(으)로 총 332건 검색되었습니다.
창조성의 대가는 정신질환?
2015.06.15
지난 5월 23일 불의의 교통사고로 사망한 존 내쉬는 22세 때
훗날
노벨상을 받게 되는 게임이론을 만든 천재 수학자였지만 31세에 정신분열증이 발병해 오랫동안 고생했다. 내쉬의 삶을 그린 영화 ‘뷰티풀 마인드’의 한 장면. - 드림웍스픽처스 제공 어느 정도 광기의 기미를 보이지 않는 위대한 ... ...
[사설]‘사스 방역 모범국’이 어쩌다 ‘메르스 후진국’ 됐나
동아일보
l
2015.06.03
법석을 떨었지만 정부의 안전 대책 수준은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 고건 전 총리는
훗날
“사스 방역을 전쟁처럼 치렀다”고 말했다. 그만큼 치열하고 민첩해야 하는 게 방역이다. 이제부터 대통령이라도 직접 소매를 걷어붙이고 나서야 한다.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 ...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렙타일
과학동아
l
2015.05.28
불과한 갓 태어난 아기 붉은바다거북이 자신이 태어난 곳의 지구 자기를 기억한 후, 먼
훗날
어른이 된 뒤에 귀향한다는 사실이다. 거북의 머릿속 내비게이션에도 ‘우리 집’ 메뉴가 있는 셈이다. 코스타리카 가시꼬리이구아나의 속력은 단거리 육상선수와 맞먹는다. - Christian MehlFuhrer(w) 제공 ● ... ...
홍역백신, 없어서 못 맞히고 있어도 안 맞히고
2015.05.18
나오면서 MMR백신과 자폐증 관련성이 주목을 받으며 영국의 백신접종률이 급감했다.
훗날
이 논문은 문제가 많은 것으로 밝혀져 2010년 철회됐다. - 랜싯 제공 ● 홍역 후유증도 무섭다 그럼에도 여전히 꺼림칙하다며 “백신을 안 맞아도 홍역에 안 걸릴 수 있고 설사 걸리더라도 사망률이 0.2%에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
2015.05.11
어떤 식으로든지 경직된 세포벽 대신 유연한 세포내부골격을 지닌 원핵세포가 등장해야
훗날
세포소기관이 될 세균을 잡아먹는 일이(식세포작용) 가능할 텐데 지금까지 그런 원핵세포는 없었다. 그런데 이번에 발견된 로키아케움에서 액틴 유전자를 비롯해 세포내부골격과 식세포작용에 관여하는 ... ...
DDT, 그 영욕(榮辱)의 역사
2015.04.20
사람의 목숨을 구하고 수많은 새들의 목숨을 빼앗았다. 1939년 스위스 제약회사 가이기(
훗날
합병을 거쳐 노바티스가 된다)에서 일하던 뮐러는 1874년 오스트리아의 화학자 오트마 자이들러가 처음 합성한 DDT라는 분자가 강력한 살충효과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뮐러는 좀 더 효과적인 ... ...
운동호르몬 ‘이리신’, 과학인가 신화인가?
2015.03.23
바이러스(XMRV) 입자가 나오는 장면을 포착한 전자현미경 사진으로 2009년 논문에 실렸다.
훗날
조사한 결과 시약이 바이러스에 오염된 것으로 결론이 나 논문이 철회됐다. - 사이언스 제공 그러나 환호성도 잠시, 이 연구결과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려오기 시작했다. 이들의 ... ...
6억 년 전 해면 동물 화석 발견
2015.03.16
있는 한 폐광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다가 우연히 사암 조각에서 화석을 발견했다.
훗날
‘에디아카라(Ediacara) 화석군’으로 불리게 된 선캄브리기아 시대의 이 화석들은 다양한 동물화석으로 여겨졌지만 1980년대 독일의 고생물학자 아돌프 자일라허가 이들을 단세포 생물의 군체일 뿐이라며 통칭해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당시 그 실험실에는 마크 스토네킹 박사와 대학원생인 린다 비길란트가 있었다.
훗날
둘은 결혼했고 아이도 둘 낳았다. 1996년 펜실베이니아주립대 교수였던 마크는 안식년을 맞아 가족들을 데리고 독일 뭰헨의 패보 박사 실험실로 왔다. 패보는 린다와 가끔 영화를 같이 보곤 했다. “어느 밤 내 ... ...
컴퓨터가 0과 1만 알아듣는 이유는?
수학동아
l
2015.03.01
어떤 말도 0과 1의 조합으로 바꿀 수 있다. 튜링은 이런 원리를 튜링기계에 적용했다.
훗날
이것이 컴퓨터 제작에 반영돼 오늘날 컴퓨터가 0과 1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밖에도 수학동아 3월호 기획 기사에서는 리만가설부터 수리생물학까지 암호 해독이나 컴퓨터 관련 업적에 가려져 잘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