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뒷날
내일
앞날
명일
다음날
이튿날
익일
뉴스
"
훗날
"(으)로 총 332건 검색되었습니다.
“핵무기 개발하느냐고 묻지 마시오”
2016.01.26
얻는 데 뒤쳐지지 않기 위해서다. 오 연구원은 오늘날 선진국들이 화석에너지가 바닥난
훗날
, 에너지 문제로 허덕일 개발도상국과 제3세계에 새로운 불꽃을 전수해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 불꽃은 원자력보다는 핵융합이 더 적절하다는 것이 오 연구원의 주장이다. “화석에너지는 ... ...
[책의 향기/이 책, 이 저자]“2만 년 전 에덴동산에 초고대문명이 실재했다”
동아일보
l
2016.01.02
대양을 건너 남미 안데스 산맥 중부의 알티플라노 고원에 정착했다고 주장한다. 그곳이
훗날
에덴동산으로 불리는 ‘신들의 고향’이라는 것. “알티플라노 고원에 살던 사람들을 후세인이 신격화한 것이지요. 남미의 계단식 피라미드가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에서도 발견되고, ‘갈대의 평원’과 ... ...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 물리학의 대가도 설명할 수 없었던 현상들
과학동아
l
2015.10.30
원자 모형의 변화.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톰슨, 러더퍼드, 보어의 원자모형이다. 마지막은
훗날
하이젠베르크와 슈뢰딩거가 제안한 양자모형. - Ville Takanen(W) 제공 당시는 광전효과뿐만 아니라 고전물리학의 균열도 띄엄띄엄 드러나던 시대였다. 예를 들어보자. 고루 퍼져 있는 양전하에 군데군데 ... ...
일본 노벨상의 비결은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5.10.07
‘새로운 발상의 비밀’, 65쪽). ‘과학을 일본에서도 할 수 있다’는 패러다임 변화가
훗날
의 노벨상을 낳은 것이다. 교육뿐만이 아니다. 이 교수의 저서에 따르면, 유카와 교수는 일본 물리학 학술지도 새로 창간해 권위지로 키웠다. 1965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도모나가 신이치로, 2008년 ... ...
신토불이 과학연구 노벨상 거머쥐다!
2015.10.06
열어 필요로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신약을 무료로 나눠주겠다고 선언했다. 바겔로스는
훗날
“나는 기적의 신약을 실험실의 선반 위에서 썩혀야 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 잠을 이룰 수 없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이렇게 해서 이버멕틴이 인간의약품(상표명은 멕티잔(Mectizan))으로 다시 태어났다 ... ...
화성에도 여름엔 물 흐른다
2015.09.30
미생물이 과거에 생존했거나 오늘날에도 생존할 가능성에 힘을 실어줄 수 있다”며 “
훗날
물이 있는 화성 표면을 탐사할 때 혹시 존재할지 모를 화성 생태계를 해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28일 네이처 자매지 ‘네이처 지오사이언스’에 실렸다. ... ...
알츠하이머병도 전염 될까?
2015.09.21
한스 게르하르트 크로이츠펠트와 알폰스 야콥이 객원연구원으로 있었다. 두 사람은
훗날
크로이츠펠트-야콥병으로 불리는 프리온 질환을 각각 독립적으로 발견했다. 1906년 4월 아우구스테 데터가 죽었다는 전화를 받은 알츠하이머는 뇌와 의무 차트를 받아 환자의 증세변화를 파악했고 현미경을 ... ...
1953년 스탠리 밀러의 초기 지구 조건에서 아미노산 합성 실험
과학동아
l
2015.09.20
있다. 그렇다면 메탄이나 암모니아에서 어떻게 글리신 같은 아미노산이 만들어질까.
훗날
반응메커니즘을 규명한 결과 먼저 포름알데히드와 시안화수소 같은 간단한 화합물이 만들어진 뒤 아미노니트릴이라는 분자를 거쳐 글리신이 만들어졌다. 그 뒤 밀러와 유리 교수는 조건을 바꿔가며 여러 ... ...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하면발효 효모에 대해 사카로미세스 파스토리아누스(S. pastorianus)라는 학명을 지었고
훗날
둘은 같은 종이라는 게 밝혀지면서 칼스버겐시스는 더 이상 쓰이지 않는다. 참고로 파스토리아누스는 파스퇴르의 라틴어식 표기다. 유전자분석기술이 발달하면서 사람들은 사카로미세스 파스토리아누스가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특정한 세균이 특정한 질병을 일으킨다는 ‘세균이론(germ theory)’의 창시자가 됐고
훗날
‘세균학의 아버지’로 불리게 된다. 코흐는 결핵균 발견 업적으로 1905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그런데 글 말미에 흥미로운 에피소드가 나온다. 당시 떠오르던 세균이론에 반감을 갖고 있던 막스 폰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