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뒷날
내일
앞날
명일
다음날
이튿날
익일
뉴스
"
훗날
"(으)로 총 332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학생창의력올림피아드 결선현장, 경연대회 의미 넘어 세계인들과 즐기는 축제·교류의 장!
동아일보
l
2013.06.04
어느 정도의 창의성을 갖고 태어나지만 학교에서 창의력을 어떻게 발전시키느냐에 따라
훗날
결과는 엄청난 차이가 난다는 것. 그는 “상상력을 실행에 옮기고 도전을 거듭하는 과정을 통해 창의력은 후천적으로 길러질 수 있다”면서 ‘창의적으로 생각하기’의 과정을 소개했다. 미클러스 박사는 ... ...
능력없이 자존심만 세우다 무릎 꿇은 王
동아사이언스
l
2013.05.19
후계자로 정하지 않고 둘째 아들인 봉림대군을 세자로 세웠다. 이같은 인조의 조치는
훗날
현종과 숙종 때 치열하게 전개된 예송(禮訟)의 불씨가 됐다. 비각 - 이종호박사 제공 소현세자도 비운의 세자라고 하는데 이 역시 인조의 작품이기도 하다. 청나라의 화평조건에 따라 청나라에서 인질을 ... ...
고려대 학교장추천전형으로 행정학과 합격한 배주현 씨
동아일보
l
2013.05.14
학교장추천전형으로 정경대학 행정학과에 합격한 배주현 씨(18·서울 경성고 졸)는
훗날
경제, 통일, 복지 등 우리나라의 해묵은 과제를 푸는 국정책임자가 되기 위한 첫 단계로 행정학과에 지원했다.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마음, 갈등을 조정해 합리적인 대안을 도출하는 리더십을 지녔음을 ... ...
[과학카툰] 로봇 세상, 꼭 행복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5.08
업데이트 안 된 채 방치된 구식 로봇이 집안 구석구석 천덕꾸러기처럼 차지할 날이 먼
훗날
의 일이 아니다. 거의 인간 같이 생겨서 밤에 베란다나 창고를 지나치다 ‘깜짝’ 놀라지나 않길 미리 맘의 준비부터 해놓자…. 글, 그림 정영훈 ... ...
후사 없이 요절한 닮은 꼴 자매 왕비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자리잡았다. 공혜왕후는 장순왕후의 동생으로 역시 한명회의 딸이다. 12세에 자을산군(
훗날
의 성종)과 혼인하고 14세에 왕비로 책봉되었으나 19세의 나이로 슬하에 소생도 없이 요절했다. 마지막으로 영조의 맏아들이었지만 10세의 어린 나이로 죽은 효장세자, 즉 진종(眞宗)의 능인 영릉(永陵)이 ... ...
표독한 계모에도 孝를 다한 인종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도모했다. 그녀에게 날개를 달아준 것은 왕비가 된지 20년이 다 되어 낳은 아들 경원대군(
훗날
명종) 덕분이다. 중종의 왕비임에도 후계를 이을 아들이 없으므로 그녀는 20년 동안 세자(인종)의 방패막이를 자임했지만, 본인이 아들을 낳자 상황은 급변했다. 그동안 보살펴준 세자는 자신의 아들인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있던 셔츠가 탈 뻔 했다고 한다. 실제로 한 이웃집에서는 은식기가 녹아내렸다고 한다.
훗날
과학자들이 조사한 결과 놀랍게도 이 폭발이 세메노프의 집에서 거의 60km나 떨어진 곳에서 일어났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역시 농부인 바실리 일리치는 거대한 화염이 숲과 함께 순록을 비롯한 모든 동물을 ... ...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대한 열정을 불태우게 된다. 슈뢰딩거는 하젠욀을 박사과정 지도교수로 모시기도 했다.
훗날
슈뢰딩거는 “다른 누구도 프리츠 하젠욀만큼 나에게 강한 영향을 준 사람은 없다. 아버지만 빼고. 하젠욀에게는 기사도가 느껴졌다. 그의 다정함에 학생과의 격식이나 나이차는 더 이상 장벽이 되지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에서 RNA가 DNA나 단백질이 나오기 전 있었던 원초적인 생체분자라고 추측했다.
훗날
생명의 기원을 설명하는 유력한 이론인 ‘RNA 세계 가설’의 기본개념을 생각해낸 것이다. ‘RNA 세계(RNA world)’는 1986년 하버드대의 월터 길버트가 토머스 체크의 ‘RNA효소(ribozyme)’ 발견의 의미를 해설하면서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물론 2진수 역시 17세기 초 토머스 해리엇이 먼저 생각해내기는 했다. 정작 라이프니츠는
훗날
‘주역’을 공부하면서 고대 중국인들이 음양을 통해 2진수 체계를 이해하고 있었다고 믿었다. 2진수를 발견한 게 별 일 아닌 것 같지만 사실 이런 아이디어를 떠올리기는 쉽지 않다. 필요는 발명의 ... ...
이전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