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리
잴리
쩰리
한천
캔디
jelly
뉴스
"
젤리
"(으)로 총 83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연물 '세큐린진 B' 최초 합성…분자 광스위치로 응용
동아사이언스
l
2024.11.11
427nm 파장의 파란색 가시광선에서는 무색, 310nm 파장의 자외선에서는 노란색으로 변하는
젤리
물질이 형성됐다. 연구팀은 개발한 광스위치 소재를 액정에 카이랄성을 부여하는 카이랄 혼입제로 사용하는 실험도 진행했다. 카이랄은 거울쌍을 이루지만 서로 겹치지 않는 성질을 의미한다. ... ...
투명인간이 되는 두 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24.09.17
대표적으로 해파리는 물 속에서는 투명해서 잘 보이지 않지만 공기 중으로 나오면 하얀
젤리
같은 모습으로 눈에 띈다. 이는 해파리의 굴절률이 물의 굴절률과 비슷하고 공기의 굴절률과는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온몸이 투명해 내장이 그대로 보이는 유리 문어는 굴절률이 바닷물과 유사해 ... ...
말랑말랑 '하이드로젤'이 게임을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23
수 있는 대표적인 하이드로젤이다. 하이드로젤은 친수성 고분자가 물속에 분산돼 있는
젤리
형태의 물질이다. 2022년 12월 호주의 생명공학 기업인 ‘코티컬 랩스’가 배양 접시에 키운 뇌세포를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해 게임 퐁을 하도록 학습시켰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뉴런’에 실었다. ... ...
[푸드테크 뜬다]⑩ 초밥과 케이크도 인쇄하듯 찍어내는 '3D 푸드 프린팅'
동아사이언스
l
2024.08.16
3D 프린터로 치즈 케이크를 만드는 기술을 선보였다. 치즈 케이크는 누텔라 초콜릿과
젤리
필링 위에 딸기 맛 아이싱이 올려진 형태였다. 컬럼비아대가 만든 치즈 케이크는 7가지 재료를 모두 3D 프린터 노즐로 제조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컸다. 초콜릿, 밀가루 반죽 등 한 가지 재료만이 아닌 ... ...
카페인 든 열매 함량까지…영양표시, 모든 가공식품으로 확대
동아사이언스
l
2024.08.09
모든 가공식품 품목에 영양표시가 전면 의무화된다. 특히 청소년 등의 고카페인 함유
젤리
등을 통한 카페인 과다 섭취를 예방하기 위해 그간 액체 식품에만 표시하던 고카페인 주의 표시를 카페인 성분이 들어있는 열매 ‘과라나’가 함유된 고체 식품까지 확대한다. 이에 따라 2026년부터 ... ...
머스크의 '뉴럴링크' 부작용 해결할 생체 전극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기술을 개발했다. 서울대는 고승환 기계공학부 교수와 김택수 KAIST 교수 공동연구팀이
젤리
처럼 부드러운 전도성 하이드로젤을 머리카락 20분의 1 두께로 패터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28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에 공개됐다. 뇌-컴퓨터 ... ...
불소 치약 대신 '이것'?…'욱신욱신' 충치 막으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6.08
음식이 치아에 달라붙는 정도를 계산해서 충치유발지수 목록을 만들었습니다. 1위는
젤리
, 2위와 3위는 캐러멜과 엿이였어요. 모두 충치균이 좋아하는 당이 잔뜩 들어간 데다 치아에 잘 달라붙고 양치질을 해도 빠지지 않는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비스킷 등 부스러기가 작아 치아 사이에 잘 끼는 ... ...
음식·농산물 플라스틱 포장 규제 잇따라…대체재 개발 '활기'
2024.04.07
식품기술학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은 재사용 가능한
젤리
얼음을 발명했다.
젤리
얼음은 얼음보다 가볍고 열로 쉽게 녹지 않으며 12번 정도 사용한 후 정원이나 쓰레기통에 버리면 녹아 없어진다. 이외에도 수확 후 남은 볏짚, 풀, 사탕수수 줄기, 심지어 음식물 쓰레기까지 활용해 모두 ... ...
'두개골 타투' 전자회로, 뇌·컴퓨터 연결 새 패러다임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3.12
만들어 쥐의 뇌 12곳에 설치했다. 새로운 전극의 지름은 머리카락 10분의 1 수준으로 얇고
젤리
처럼 말랑하다. 뇌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뇌에 신경 전극을 더 많이 배열해 뇌 신호를 동시에 많이 수집할 수 있다. 연구팀은 3D 프린터로 쥐 두개골 곡면을 따라 전자회로를 얇게 인쇄해 뇌에 ... ...
'
젤리
' 입자로 1000km 달리는 전기차 가능성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젤 형태의 고분자 전해질을 활용해 마이크로 실리콘 기반 고에너지 밀도 리튬이온배터리 시스템을 개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젤(gel) 형태의 고분자 전해질로 에너지 밀도가 기존보다 약 40% 향상된 리튬이온배터리 시스템을 개발했다. 간단한 공정으로 바로 적용 가능하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